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 모델 표준
시스템들의 상호 연결에 있어 문제없도록 표준을 정한 것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
각 계층을 지날 때마다 header가 붙게 되고, 수신 측은 역순으로 header를 분석함.
✅ TCP/IP는 OSI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상업적이고 실무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단순화한 것이다.
→ 케이블, 리피터, 허브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
- 허브:
다수의 pc 장치를 묶어 LAN을 구성할 때 각각 PC에 연결된 노드를 한 곳으로 모아줌- 리피터:
신호를 증폭해 다음 구간으로 재전송하는 장치.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는 세그먼트 확장 및 연결
물리적 연결을 통해 인접한 두 장치 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담당 (Point – to – Point)
물리 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안전한 전달을 위해 오류 검출, 재전송, 흐름 제어 기능이 존재
MAC 주소를 통해서 통신
데이터링크 계층에서의 단위는 ‘프레임 (Frame)’
장비로는 브리지, 스위치가 있음
→ 브리지나 스위치를 통해 프레임에 맥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가지고 물리 계층에서 받은 정보를 전달함
- 스위치: Mac 주소를 가진 장비가 연결된 포트로 프레임 전송
라우팅 기능을 맡고 있는 계층으로,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데이터를 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 (최적의 경로 설정 가능)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고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
컴퓨터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주소를 갖고 있어 통신 가능
IP(논리적인 주소구조)가 네트워크 계층 헤더에 속함 (= IP주소를 사용함)
여러 개의 노드를 거칠 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
중계 노드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 중계 방식을 규정
라우팅, 흐름제어, 세그멘테이션, 오류 제어, 인터네트워킹 수행
데이터를 연결하는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인터넷이 가능하게 만드는 계층
데이터 단위는 ‘패킷(Packet)’
장비로는 라우터, L3 스위치
→ 주소 부여 (IP), 경로 설정 (Route)
- 라우터는 보안설정 가능, 스위치는 불가능
- 라우터: L3 주소 (IP 주소)를 이용해 패킷을 전달
→ 패킷 생성 및 전송
- IP:
비연결성, 비신뢰성의 한계를 가짐. 그래서 TCP와 함께 쓰임
- TCP:
연결 지향적이며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함.
패킷 손실, 중복, 순서 바뀜이 없도록 보장함.
연결 관리(설정/해제)가 필요함.
- UDP:
신뢰성 낮은 비연결성 프로토콜.
확인 응답/순서 제어/흐름 제어/오류 제어 없음.
비연결접속상태 하에서 통신하기에 논리적인 가상회선 연결이 필요 없음.
헤더가 단순하며 빠른 요청과 응답이 필요한 실시간 응용에 적합.
→ 통신 사용자들 동기화, 오류 복구 명령 일괄적으로 다룸. 통신을 위한 세션 확립/유지/중단
- 전이중: 두 디바이스간 통신선이 두개
- 반이중: 통신선이 하나. 동시송수신 불가, 번갈아가며
- MIME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전자우편을 위한 인터넷 표준 포맷
이메일과 함께 동봉할 파일을 텍스트 문자로 전환해 전달하기 위해 사용함.
ASCII가 아닌 파일 전송의 어려움을 보완하고, 문제없이 전달하기 위해 텍스트 파일로 변환함.
UUEncode 단점 보완- 문서 끝 부분 공백은, 공백이 아니라 변환되어야 할 값인데 공백을 무시하는 시스템의 경우 파일을 원형 그대로 전달받을 수 없었음
- 텍스트 파일로의 변환을 인코딩,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하는 것을 디코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