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진수 | 10진수 |
---|---|
0과 1로 이루어진 수 | 0부터 9까지 이루어진 수 |
2의 거듭제곱의 합을 줄여 표기 | 10의 거듭제곱의 합을 줄여 표기 |
비트를 모아 수로 해석이 가능 | 레이블을 차례로 할당하여 수를 파악 |
다루는 숫자가 0과 1밖에 없어 덧셈, 곱셈에 유리하다. 이진연산용 컴퓨터 회로가 십진 연산보다 단순한 이유 (0~9보다 0,1 로 연산하기 때문)
비트 8개를 모아 바이트로 표현한다.
최신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 및 메모리 구성의 기본 단위로 진화하여 하나의 단위로 취급된다.
1바이트는 256개의 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0~255 사이의 정수 혹은 7비트 아스키코드로 사용하는것을 자주 볼 수 있다.
유니코드 더 알아보기 (➡문자 디지털화)
유니코드에서 문자를 식별할 때 16진수를 사용하며, 문자는 각 2바이트를 할당한다.
1개 이상의 바이트가 나타내는 수를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10진수로 변환한다면?
10진수보다 많은 숫자가 사용되기 때문에 더 큰 공간이 필요하다 ➡ 그렇게 16진수가 사용되기 시작
0~9,A~F 까지 16개 방식으로 네개의 비트를 표현하며 RGB인코딩에 사용된다
➡ 웹상에서 색상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000000 ~ #ffffff 까지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