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data) : 프로그램이 처리할 수 있는 모든 것
자료형(data type) : 자료 형태에 따라 나눠 놓은 것
작은 따옴표 또는 큰 따옴표로 감싸면 문자열이 만들어짐
"this is \"string\""
→ this is "string" 이 외의 특수 기능
- \n : 줄바꿈
- \t : 탭
- \\ : 역슬래시(\) 그 자체를 의미
'안녕' + '하세요'
→ 안녕하세요"안녕하세요"[0]
→ 안"안녕하세요"[1]
→ 녕"안녕하세요".length
→ 5"자바스크립트".length
→ 6수로 나타내는 모든 것을 숫자 자료형으로 인식
10 % 2
→ 010 % 3
→ 110 % 4
→ 2참과 거짓 값을 표현할 때 → true, false
불린(boolean)이라고도 표기
<, >, <=, >=
크다, 크거나 같다===
양쪽이 같다!==
양쪽이 다르다** 비교 연산자가 오른쪽으로만 입을 벌리게 하는 방식, 변수를 왼쪽에 쓰는 방식을 많이 씀
/* 불 표현식 이해하기 (조건문) */
if(22 < 5) {
alert('22는 5보다 작습니다.')
}
if(22 > 5) {
alert('22는 5보다 큽니다.')
}
→ 실행 결과 : 22는 5보다 큽니다.
!
기호를 사용하며 참을 거짓으로, 거짓을 참으로 바꿈!true
→ false!false
→ true!(10 === 10)
→ false!("안녕".length >= 5)
→ true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개수에 따라서 단항 연산자, 이항연산자, 삼항 연산자로 구분
-단항 연산자 : 피연산자가 하나
-이항 연산자 : 피연산자가 두개-10 //피연산자가 -10으로 1개 → 단항 연산자 10 + 20 //피연산자가 10과 20으로 2개 → 이항 연산자 true ? 10 : 20 //피연산자가 true, 10, 20으로 3개 → 삼항 연산자
연산자 : || (또는)
논리합 연산자. 양쪽 변의 값 중 하나만 true여도 true를 결과로 냄.연산자 : && (그리고)
논리곱 연산자. 양쪽 변의 값이 모두 true일 때 true를 결과로 냄. 이외에는 모두 false 범위 표현할 때 쓰임
α <= x < β → α <= x && x < β (닫힌 범위를 나타낼 때)
x < α 또는 β < x → x < α || β < x (열린 범위를 나타낼 때)
var card = prompt("어떤 카드로 결제하시나요? ex)신한, 현대")
if (card == "신한" || card == "삼성")
alert("해당 카드로 결제시 10% 할인")
else
alert("할인 불가 카드")
드 모르간의 법칙 이해하기..
숫자, 문자열, 불 같은 자료형을 확인할 때는 typeof 연산자
를 사용
자료형 구분할때 쓰임
typeof('문자열')
→ "string"
typeof('true') === 'boolean'
→ true
typeof('문자열') === 'number'
→ false
백틱(`)기호로 감싸 만듦.
문자열 내부에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식을 넣으면 표현식이 문자열 안에서 계산됨
===
, !==
: 값과 자료형이 같은지 비교하는 연산자
==
, !=
: 값이 같은지만 비교하는 연산자
안녕하세요. 베끼러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