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 : 여러개의 변수를 한 번에 선언해 다룰 수 있는 자료형
배열 만들기 [요소,요소,요소,요소, ···]
(4) → 요소 개수 / ['여러가지', 10, '하찌', 1] → 요소
(index)
const numbers = [255, 319, 42, 83]
> numbers[0]
255
> numbers[1]
319
> numbers[1 + 1]
42
> numbers[1 * 3]
83
length
배열.length
요소 개수를 확인하는 함수
const fruits = ['배', '사과', '키위', '바나나']
> fruits.length
4 // 배열 안에 4개의 요소가 들어있으므로 4를 출력
> fruits[fruits.length-1]
"바나나" // fruits[4-1], 배열의 3번째 요소인 "바나나" 출력
배열.push(요소)
const fruits = ['배', '사과', '키위', '바나나']
> fruits.push('딸기')
5
> fruits
(5) ['배', '사과', '키위', '바나나', '딸기']
> fruits[10] = '귤' // 배열이 10번째 인덱스에 "귤" 추가하기
'귤'
> fruirs
(11) ['배', '사과', '키위', '바나나', '딸기', empty × 5, '귤']
// 6 ~ 9번째 인덱스는 아무것도 없는 empty가 된다.
//length 속성을 사용해 배열의 마지막 위치에 요소 추가
> fruits[fruits.length] = '수박'
'수박'
> fruits
(12) ['배', '사과', '키위', '바나나', '딸기', empty × 5, '귤', '수박']
splice(인덱스, 0, 요소)
const a = [123, 456, '안녕', '하세요']
> a
(4) [123, 456, '안녕', '하세요']
> a.splice(1, 0, '추가') // 첫번째 자리에 추가
[]
> a
(5) [123, '추가', 456, '안녕', '하세요']
배열.splice(인덱스, 제거할 요소의 개수)
const a = [123, '추가', 456, '안녕', '하세요']
> a.splice(1, 1)
['추가']
> a
(4) [123, 456, '안녕', '하세요'] //첫번째에 있던 '추가'가 삭제됨
배열 내부에서 값의 위치 찾기
indexOf(요소)
const a = [123, 456, '안녕', '하세요'] a.indexOf('안녕') 2 a.indexOf('아무말') -1 // 원하는 요소가 배열 내부에 없을경우 -1 출력
indexOf() + splice()
활용
const a = [123, 456, '안녕', '하세요']
const index = a.indexOf('하세요')
> a.splice(index, 1)
['하세요']
> a
(3) [123, 456, '안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