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용어 정리
함수 : 코드의 집합
함수의 자료형 : function
함수호출 : 함수를 사용하는 것
매개변수 : 함수를 호출할 때 넣는 괄호 안에 자료
리턴값 : 함수를 호출해서 최종적으로 나오는 결과. 함수 내부에 return
키워드를 입력하고 뒤에 값을 넣어서 생성
함수 형태
// 익명 함수
const f = function(매개변수, 매개변수) {
return 리턴값
}
// 선언적 함수
function f (매개변수, 매개변수) {
return 리턴값
}
표기 방법만 다를 뿐 같은 형태로 동작함
선언 순서에 차이가 있다.
최근엔 익명함수를 주로 사용
함수를 사용하면 좋은 점
- 반복되는 코드를 한 번만 정의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반복 작업을 피할 수 있음
- 긴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나눠 여러 함수로 나누어 작성하면 모듈화로 전체 코드의 가독성이 좋아짐
- 기능별(함수별)로 수정이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쉬움
매개변수를 갖지 않는 함수
const f = function() {
//점프
console.log(`'안녕하세요' + ${x}`)
console.log(`'안녕하세요' + ${x}`)
console.log(`'안녕하세요' + ${x}`)
//함수 끝 → 원래 위치로 돌아감
}
const x = 10
f()
//const x =10 이 이 위치에 있다면 점프해서 함수를 실행할 때 x의 값이 없기때문에 오류남
/* 실행결과
안녕하세요 + 10
안녕하세요 + 10
안녕하세요 + 10
*/
const f = function(아무거나) {
// 점프
return 아무거나 + 5 // 리턴값
}
console.log(f(1))
console.log(f(2))
/* 실행결과
6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