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ber 객체toFixed()소수점 이하 몇자리까지만 출력하고 싶을 때 사용
const a = 123.456789
> a.toFixed(0) // 0번째 자리까지
"123"
> a.toFixed(3)
"123.456"
숫자열이아닌 문자열로 출력됨
Number.isNaN()어떤 숫자가 NaN인지 확인할 때 사용
const a = Number('안녕하세요')
> a
NaN
> Number.isNan(a)
true
매개변수에 NaN이오면 true, 아니면 false 출력
Number.isFinite()어떤 숫자가 무한인지 확인할 때 사용
const a = 10 / 0
const b = -10 / 0
> a
Infinity // 자바스크립트가 표현할 수 없을 정도의 큰 숫자
> b
-Infinity
> Number.isFinite(a)
false
> Number.isFinite(1)
true
셀 수 있는 일반적인 숫자는 true, 아니면 false 출력
String 객체많이 사용되니 꼭 기억하세요
trim()문자열 양쪽 끝의 공백을 없앨 때 사용
> ` 안녕하세요 `.trim()
"안녕하세요"
split()문자열을 특정 기호로 자르기
알고리즘 할 때 많이 사용
>'하찌,리치,달이,박이,탐탐이'.split(',')
['하찌', '리치', '달이', '박이', '탐탐이']
>'하찌 리치 달이 박이 탐탐이'.split(' ')
['하찌', '리치', '달이', '박이', '탐탐이']
>'하찌|리치|달이|박이|탐탐이'.split('|')
['하찌', '리치', '달이', '박이', '탐탐이']
수학과 관련된 기본적인 연산을 할 때 사용
pi, e같은 수학 상수와 Math.sin(), Math.cos(), Math.tan() 같은 삼각함수가 있음
자주 사용하는 것들
Math.floor() : 내림
Math.ceil() : 올림
Math.round() : 반올림
Math.max(): 최댓값
Math.min(): 최솟값
> Math.floor(10.1)
10
> Math.ceil(10.1)
10
> Math.round(10.1)
10
> Math.max(522, 610, 27)
610
> Math.min(522, 610, 27)
27
😊
max와min사용시 배열 안에 있는 값을 구하고자 할 때
배열전개연산자 이용
> Math.max(...[522, 610, 27])
610
> Math.min(...[522, 610, 27])
27
랜덤한 숫자 만들기
const num = Math.random()
console.log('# 랜덤 숫자 만들기')
console.log('0-1 사이의 랜덤한 숫자:', num)
console.log('')
console.log('# 랜덤 숫자 만들기')
console.log('0~100 사이의 랜덤한 숫자:', Math.floor(num * 100))
console.log('')
console.log('# 랜덤 숫자 만들기')
console.log('-100 ~ 100 사이의 랜덤한 숫자:', Math.floor(num * 200 - 100))
console.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