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객체.textContent : 입력된 문자열을 그대로 넣음
문서객체.innerHTML : 입력된 문자열을 HTML 형식으로 넣음
<head>
<title>글자 조작하기</title>
<script>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 => {
// 특정 아이디로 요소 선택
const header1 = document.querySelector('#textContent')
const header2 = document.querySelector('#innerHTML')
// 조작
// 값을 추출한다
console.log(header1.textContent)
console.log(header2.innerHTML)
// 값을 넣는다
header1.textContent = '원하는<br>문자열'
header2.innerHTML = '원하는<br>문자열'
})
</script>
</head>
<body>
<h1 id="textContent">textContent 속성 기존 문자열</h1>
<h1 id='innerHTML'>innerHTML속성 기존 문자열</h1>
</body>
실행 결과

일반적으로 textContent 속성을 많이 사용
innerHTML 속성은 보안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어 많이 사용하진 않음
문서객체.setAttribute(속성이름, 값) : 특성 속성에 값을 지정
문서객체.getAttribute(속성이름) : 특성 속성을 추출
<head>
<title>글자 조작하기</title>
<script>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 => {
// 조작
const img = document.querySelector('img')
// 값을 넣는 행위
img.setAttribute('src', 'https://media.vlpt.us/images/onezeun/post/485ec27f-cca5-412d-98ed-203ac8153b9f/%EB%82%98%EC%9D%98%ED%94%84%EB%A1%9C%ED%95%84.png')
// 값을 추출하는 행위
console.log(img.getAttribute('src')) // 개발자 도구 콘솔에서 이미지 주소 확인 가능
/* 간단하게 코드 쓰기
값을 넣는 행위
img.src = 'https://media.vlpt.us/images/onezeun/post/485ec27f-cca5-412d-98ed-203ac8153b9f/%EB%82%98%EC%9D%98%ED%94%84%EB%A1%9C%ED%95%84.png'
값을 추출하는 행위
console.log(img.src)
*/
})
</script>
</head>
<body>
<img src='' alt=''>
</body>
style속성(객체) 사용
내부에는 속성으로 CSS를 사용해서 지정
그라데이션 만들기
<head>
<meta charset="UTF-8">
<title>글자 조작하기</title>
<script>
document.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 => {
const divs = document.querySelectorAll('div')
divs.forEach((div, index) => { // div 개수만큼 반복하여 출력
div.style.backgroundColor = `rgb(${index * 25.5},${index * 25.5},${index * 25.5})`
div.style.height = '10px'
})
})
</script>
</head>
<body>
<div></div>
<div></div>
<div></div>
<div></div>
<div></div>
<div></div>
<div></div>
<div></div>
<div></div>
<div></div>
</body>
실행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