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포스트는 kocw 이석복 교수님의 컴퓨터 네트워크 강의를 듣고 작성하였습니다.
Caravan analogy

(그림은 패킷과 딜레이를 차와 톨게이트에 비유했다.) 10비트짜리 패킷이 두 번째 라우트까지 도달하는 과정은 어떻게 진행될까? 먼저 패킷의 앞부분들은 빛의 속도로 링크를 통해 다음 라우트로 이동하고, 뒷부분들은 전송 중이다. 이 때 패킷은 한 묶음이기 때문에 앞부분은 나머지 부분들이 올 때까지 기다리게 된다.
layer
- L4 Application Layer - http
- L3 Transport Layer - tcp, udp
- L2 Internet Layer - ip
- L1 Network Access Layer - wifi, lte, 유선이더넷
하위 계층에서 상위기층으로 서비스를 제공
Client and server
- Server
- 영구적인 주소가 가진다.
- 항상 켜져 있어야한다.
- Client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피시에 접속하기 위해 pc 주소를 알아야한다.
Transport layer
- TCP / UCP
- TCP / UCP 모두 초창기에 data integrity를 위해 고안된 프로토콜이라 나머지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 data integrity: 내가 보내는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았으면 - 현재 tcp에서 이 기능만 제공함
- timing: 데이터 빨리도착했으면 좋겠음
- throughput: 내가 보내는 데이터가 최소 1기가비트 용량이 나왔으면
- security: 내가보내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
WEP and HTTP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ttp는 TCP를 이용해 (순차적으로 손실되지 않게) 메세지를 교환하기 때문에 TCP 커넥션을 생성해야함
-
http is stateless
- 각각 http 통신은 독립적이기 때문에 이전의 통신내용을 기억하지 않음.
- 매 통신마다 모든 필요한 정보를 보내야 함
- 그래서 필요한 것이 토큰, 쿠키, 세션, 로컬 스토리지 등
-
2가지 TCP 연결 방식
- non-persistent http
- http 메세지 주고 받으면 TCP 커넥션 끊어짐
- TCP 커넥션은 양쪽에서 끊어줘야 하는 데, non-persistent http는 서버에서 클로즈함.
- persistent http
- 추가적으로 요청할 오브젝트가 있는 경우, TCP 커넥션을 끊지않고 재사용
- 브라우저들 디폴트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