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자, 웹에 있는 리소스의 위치 를 표현하는 문자열.
URL은 Scheme, Authority (Userinfo, Host, Port), Path, Query, Fragment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Scheme : 웹 서버와 어떤 프로토콜로 통신할지 나타낸다. 위 그림에서 Protocol부분이다.
Domain :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할 때, IP주소로 매번 방문할 수 없기에 접속할 웹 서버의 주소를 "naver.com"과 같이 사용자가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정보를 지니고 있는 것을 말한다.
Port : 접속할 웹 서버의 포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위 그림에서는 보이지는 않지만 주로 도메인 주소 뒤에 위치.
Query : 웹 서버에 전달하는 파라미터이며 URL에서 '?' 뒤에 위치한다. 파라티머
Fragment : 메인 리소스에 존재하는 서브 리소스를 접근할 때 이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다. '#' 문자 뒤에 위치한다.
위 내용이 URL의 기본 구성 요소이다.
IP 대신 외우기 쉽게 사용
사용자가 접속 -> DNS 쿼리 요청 -> 응답 -> IP 주소에 접속
서버로부터 받은 리소스를 사용자에게 시각화하는 행위
ex) 서버로부터 HTMl과 CSS를 받으면 그걸 보여주는거임
command + shift + c키로 해당 요소의 리소스를 확인 가능
위 사진은 임시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HTMl 코드를 확인한 것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html 소스도 브레이킹과 디버깅이 가능함
문제
개발자 도구의 Sources에서 플래그를 찾으라해서 진짜 css, html, js 파일 돌아다니면서 찾았다... 주석으로 있더라 ... ^^
끝. 다음 시간에는 쿠키로 돌아오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