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토폴로지란 노드와 링크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를 말하며 버스, 스타, 트리 등의 토폴로지가 있음.
중앙에 있는 노드를 기반으로 연결된 형태
노드 추가, 삭제 쉬움
장점 | 단점 |
---|---|
- 중앙노드가 아닌 노드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노드에 영향X - 중앙노드가 아닌 한 노드에 침해가 발생했을 때 다른 노드로 확장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안정성이 높음 - 한 링크에 문제가 생겨도 해당 부분만 영향을 받고 나머지 부분은 정상적으로작동 |
- 중앙노드 에러시 큰 문제 |
고리형태
노드 추가, 삭제가 쉬움
장점 | 단점 |
---|---|
- 토큰을 기반으로 연속적으로 노드를 거치며 통신권한 여부를 따지고 해당 권한이 없는 노드는 데이터를 전달받지 않아서 데이터 손실이 없음 |
- 링크 또는 노드가 하나만 에러 발생해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 - 토큰이 없는 노드는 통신에 참여를 못하며 데이터 공유가 안됨. |
그물망 형태
노드 추가, 삭제 어려움
풀(full)메시 토폴로지의 경우 n * (n - 1) / 2 의 회선이 필요함.
장점 | 단점 |
---|---|
- 안정성이 높다. |
- 회선이 비효율적으로 많기 때문에 구축비용이 고가임 |
하나의 회선에 여러개의 노드
노드 추가, 삭제 쉬움
설치비용 적음
장점 | 단점 |
---|---|
- 소규모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매우 쉬움. - 한 노드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노드에 영향X |
- 메인 링크에 많은 트래픽이 생기면 정체현상 발생가능성 높음. - 패킷 손실율 높음 - 메인 링크 망가지면 큰 문제 |
트리형태(계층적 토폴로지라고도 함)
노드 추가, 삭제 보통(리프노드를 기반으로 확장은 용이하지만 다른 노드는 어려움)
버스 토폴로지와 스타토폴로지의 하이브리드 형태
장점 | 단점 |
---|---|
- 노드 확장이 용이(주로 리프노드로 확장함) - 리프노드의 에러는 나머지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
- 특정 노드 트래픽 집중시 하위노드에 영향. - 루트노드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네트워크에 큰 문제 |
트래픽에 의해 데이터 흐름이 제한되는 상황
구축된 시스템의 토폴로지를 알고 있다면 어떠한 부분에 어떠한 회선 또는 어떠한 서버의
용량을 증가시켜야하는지 알 수 있기때문에 토폴로지는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