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Level 1] 햄버거 만들기

OOING·2023년 8월 31일
0

백준+알고리즘 공부

목록 보기
24/75

햄버거 만들기

햄버거 가게에서 일을 하는 상수는 햄버거를 포장하는 일을 합니다. 함께 일을 하는 다른 직원들이 햄버거에 들어갈 재료를 조리해 주면 조리된 순서대로 상수의 앞에 아래서부터 위로 쌓이게 되고, 상수는 순서에 맞게 쌓여서 완성된 햄버거를 따로 옮겨 포장을 하게 됩니다. 상수가 일하는 가게는 정해진 순서(아래서부터, 빵 – 야채 – 고기 - 빵)로 쌓인 햄버거만 포장을 합니다. 상수는 손이 굉장히 빠르기 때문에 상수가 포장하는 동안 속 재료가 추가적으로 들어오는 일은 없으며, 재료의 높이는 무시하여 재료가 높이 쌓여서 일이 힘들어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상수의 앞에 쌓이는 재료의 순서가 [야채, 빵, 빵, 야채, 고기, 빵, 야채, 고기, 빵]일 때, 상수는 여섯 번째 재료가 쌓였을 때, 세 번째 재료부터 여섯 번째 재료를 이용하여 햄버거를 포장하고, 아홉 번째 재료가 쌓였을 때, 두 번째 재료와 일곱 번째 재료부터 아홉 번째 재료를 이용하여 햄버거를 포장합니다. 즉, 2개의 햄버거를 포장하게 됩니다.

상수에게 전해지는 재료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수 배열 ingredient가 주어졌을 때, 상수가 포장하는 햄버거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시오.

제한사항

  • 1 ≤ ingredient의 길이 ≤ 1,000,000
  • ingredient의 원소는 1, 2, 3 중 하나의 값이며, 순서대로 빵, 야채, 고기를 의미합니다.

코드

시간 초과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int burger[4] = {1, 2, 3, 1};

int solution(vector<int> ingredient) {
    int answer = 0;
    int i = 0, j = 0;
    while(i < ingredient.size()) {
        if(ingredient[i] == burger[j]){
            ++i; ++j;
            if(j == 4) {
                ++answer;
                ingredient.erase(ingredient.begin() + i - 4, ingredient.begin() + i);
                j = 0;
                i = 0;
            }
        }
        else {
            if(ingredient[i] == 1) j = 1;
            else j = 0;
            ++i; 
        }
    }
    return answer;
}

첫번째 코드에서는 시간 초과로 테스트 케이스 3개를 통과하지 못했다(통과한 테스트 케이스도 실행 시간이 엄청 오래 걸리기도 했다)

무지성 반복문으로 영원히 확인하기.. 1, 2, 3, 1 이 나오면 ingredient에서 지우고, 답 개수 1 늘리고, 다시 맨 처음부터 확인하고... 시간 초과!

가만 생각해보니 맨 처음부터 확인할 필요가 없었다. 어차피 이번에 햄버거로 만든 1, 2, 3, 1 을 삭제하고, 그 다음 재료를 확인할 때 앞의 3개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그 다음 재료부터 확인하면 된다!


통과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int burger[4] = {1, 2, 3, 1};

int solution(vector<int> ingredient) {
    int answer = 0;
    int i = 0, j = 0;
    while(i < ingredient.size()) {
        if(ingredient[i] == burger[j]){
            ++i; ++j;
            if(j == 4) {
                ++answer;
                ingredient.erase(ingredient.begin() + i - 4, ingredient.begin() + i);
                j = 0;
                i = (i >= 7) ? i - 7 : 0; 	// i는 ingredient에서 원소 4개를 삭제하기 전 위치이므로 
                							// 삭제하는 4개 + 그 앞의 3개 원소 확인을 위해 -7
            }
        }
        else {
            if(ingredient[i] == 1) j = 1;
            else j = 0;
            ++i; 
        }
    }
    return answer;
}

다른 사람의 풀이들을 확인해보니 다들 새로운 vector에 재료들을 넣고 햄버거가 되면 pop 하는 형식으로 하던데.. (나도 생각하긴 했는데 약간 모르겠어서 그냥 배열로 했다)

다른 사람의 풀이 맨 첫번째 방식이 엄청 신기하다.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vector<int> ingredient) {
    int answer = 0;
    vector<int> v = { -1 };
    for(int x : ingredient){
        if(v.back() == 1 && x == 2) v.back() = 12;
        else if(v.back() == 12 && x == 3) v.back() = 123;
        else if(v.back() == 123 && x == 1) answer++, v.pop_back();
        else v.push_back(x);
    }    
    return answer;
}

새로운 백터 v에 현재 확인한 재료를 넣어주고, v.back() 으로(!!!) 햄버거의 요소를 바꿔서 저장(?)해준다.
이러면 햄버거 순서대로 백터 v에 1, 3, 12, 123, ... 이런 식으로 저장되어있을테니 햄버거가 되고 다음 재료를 확인할 때도 바로바로 빠르게 체크할 수 있다

profile
HICE 19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