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테스트(백준 탐욕법(GREEDY) (2810번: 컵홀더))

나이브한코딩·2021년 7월 12일
0
post-thumbnail

문제
십년이면 강산이 변한다.

강산이네 동네에 드디어 극장이 생겼고, 강산이는 극장에 놀러갔다. 매점에서 콜라를 산 뒤, 자리에 앉은 강산이는 큰 혼란에 빠졌다. 양쪽 컵홀더를 이미 옆 사람들이 차지했기 때문에 콜라를 꽂을 컵 홀더가 없었기 때문이다. 영화를 보는 내내 콜라를 손에 들고 있던 강산이는 극장에 다시 왔을 때는 꼭 콜라를 컵 홀더에 놓겠다는 다짐을 한 후 집에 돌아갔다.

극장의 한 줄에는 자리가 N개가 있다. 서로 인접한 좌석 사이에는 컵홀더가 하나씩 있고, 양 끝 좌석에는 컵홀더가 하나씩 더 있다. 또, 이 극장에는 커플석이 있다. 커플석 사이에는 컵홀더가 없다.

극장의 한 줄의 정보가 주어진다. 이때, 이 줄에 사람들이 모두 앉았을 때, 컵홀더에 컵을 꽂을 수 있는 최대 사람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모든 사람은 컵을 한 개만 들고 있고, 자신의 좌석의 양 옆에 있는 컵홀더에만 컵을 꽂을 수 있다.

S는 일반 좌석, L은 커플석을 의미하며, L은 항상 두개씩 쌍으로 주어진다.

어떤 좌석의 배치가 SLLLLSSLL일때, 컵홀더를 *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SLLLLSSLL*
위의 예에서 적어도 두 명은 컵홀더를 사용할 수 없다.

입력
첫째 줄에 좌석의 수 N이 주어진다. (1 ≤ N ≤ 50) 둘째 줄에는 좌석의 정보가 주어진다.

출력
컵을 컵홀더에 놓을 수 있는 최대 사람의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3
SSS
예제 출력 1 복사
3
예제 입력 2 복사
4
SLLS
예제 출력 2 복사
4
예제 입력 3 복사
9
SLLLLSSLL
예제 출력 3 복사
7

나의 풀이: ***풀었을 때 런타임에러가 뜬다...

seats = int(input()) # 한 열에 앉은 총 관객 수
type_of_seat = input() # "S" 석 아님 "L" 석
count = 0

for types in type_of_seat:
    if types == 'L':
        count += 1/2 # L석일때마다 0.5 더해줌.

answer = seats + 1 - count # 쓸 수 있는 총 컵홀더 수

if 'L' not in type_of_seat: # L석이 없을 경우, seats 그대로 print
    print(seats)
else: # L석이 있을 경우
    print(answer)
    

다른 사람 풀이:

N = int(input())
member = input()
count = member.count('LL')

if count <= 1:
    print(N)
else:
    print((N - count) + 1)

OR

n = int(input())
line = input()
num_L = line.count('L')
num_ch = n + 1 - int(num_L//2)   # 컵홀더 개수(자리 개수 + 1 - 커플석 쌍 수)
if num_L == 0 :   # 커플석이 없는 경우
    print(n)
else:   # 커플석이 있는 경우
    print(num_ch)

TAKEAWAY:

  • 'LL' 을 같이 묶어서 생각해도 좋았을 듯 싶다.
  • count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컵홀더 개수는 "n+1-'L석의 개수/2'" 인 것을 기억하자!

느낀점:

  • 계속틀린다 ㅜㅜ
profile
안녕하세요, 코딩 공부하는 비전공자 취준생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