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de: ECR

55 oqsis·2024년 6월 10일
0

re:code

목록 보기
15/16

ECR은 엘라스틱 컨테이너 레지스트리의 줄임말이다. Docker Hub와 같은 역할로써 컨테이너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소인데, AWS에서 ECS와 연결하기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정말 다행히도 프리티어가 있습니다. 프리티어 나의 빛, 나의 소망, 나의 꿈..!!
하지만 그래도 좀 무섭네요

레포지토리 이름만 적고 레포지토리를 생성해줍니다.

이제, 프라이빗을 선택했기 때문에 당연하겠지만 보안이 따라옵니다. 프라이빗 == 보안 == 과정이 좀 귀찮다
그치만 퍼블릭했다가 털리는것보단 100배 나으니까요><

우선, IAM으로 들어가줍니다.

사용자가 있다면, 그 사용자로 들어가면 되겠지만 전 없기 때문에 일단 사용자를 하나 만들어줍니다.

저흰 좀 있을 aws-cli에서 access key가 필요하기 때문에 IAM 사용자를 생성해야합니다.

사용자 그룹 생성을 눌러 사용자 그룹을 하나 만들어줍니다.

생성완료~

그리고 생성한 사용자로 들어가서, 액세스키를 만들어줍니다.
이때 꼭 액세스키랑 시크릿키를 모두 저장해두셔야합니다.

이제 AWS CLI로 가줍니다.
만약 AWS CLI가 없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보고 설치하시면 됩니다.
https://docs.aws.amazon.com/ko_kr/cli/latest/userguide/getting-started-install.html

그런데 리눅스, 맥, 윈도우 버전이 다 있습니다.
아마 본인이 윈도우이신 경우 윈도우버전을 깔수도 있습니다

윈도우 버전이라면 이걸 꼭 보셔야합니다 제발요

윈도우에서 aws를 다 까셨다면, 아래 처럼 버전이 잘 나올 것입니다.

아래에 기억해준 액세스키와 프라이빗키를 적어줍니다. 리전은 서울기준으로 적었는데, 만약 리전이 다른 곳이라면 해당 리전을 적어주셔야합니다.

이제 다시 프라이빗 레지스트리로 가보면, 푸시명령 보기 버튼이 있습니다.

그런데 시작부터 쉽지 않습니다.

알고보니 AWS TOOLS for PowerShell을 사용해야 하네요
근데 그냥 윈도우말고 리눅스명령어를 cmd에 쳐주면 됩니다.

쨔잔~ Login Success가 떴습니다. 나머진 그냥 푸시명령 그대로 해주시면 됩니다.
"Failed to get console mode for stdin" 오류 메시지가 뜨긴하는데, 해당 메시지는 보통 콘솔 모드를 가져오는데 실패했다는 의미이므로 저는 신경을 안썼습니다.

어찌저찌.. 업로드 완료!!

아래에 기억해준 액세스키와 프라이빗키를 적어줍니다. 리전은 서울기준으로 적었는데, 만약 리전이 다른 곳이라면 해당 리전을 적어주셔야합니다.

이제 다시 프라이빗 레지스트리로 가보면, 푸시명령 보기 버튼이 있습니다.
해당 푸시 명령대로만 해주면 됩니다.

업로드 완료!!

profile
코딩 일기장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