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de:운영

55 oqsis·2024년 6월 10일
0

re:code

목록 보기
10/16

Cost Manage Console에서

표시해주기

MobaXterm을 사용해주자

나는 Installer edtion으로 설치했다

싸피에서 빵빵한 서버를 줬을 때는 젠킨스,그라파나, 프로메테우스, 로키 전부 EC2서버에 올렸는데 프리티어를 사용하게 된 이상은 그럴 수 없다

나는.. 가난하기 때문이다.. 가난해요ㅠㅜ

내게 선택권을 2가지 였다.
1. AWS 람다+ GateWay API+ S3
2. AWS ECS + EC2
3. AWS ECS + Fargate
4. AWS EKS

1번째는 사실 내 의도에 가장 부합하는 조합이다. 초기 서비스 특성상 유저 수가 별로 없는 관계로 항상 서버를 켜놓는 EC2보단 람다가 더욱 적합하다
하지만 중요한 점은 난 도커를 이용해서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싶었다. AWS에서 도커를 이용해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ECS와 EKS가 존재한다.
EKS는 쿠버네티스 기반이기 때문에 많은 러닝커브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므로 EKS보다 간편하지만 도커를 운용하기 편한 ECS를 선택하였다.
여기서 또 선택이 갈리는데 ECS는 EC2와 Fargate를 선택할 수 있다. Fargate의 경우 서버리스지만 프리티어가 없고 요금이 람다보다 비싸다.

그래서 최종적으로 AWS ECS+ EC2를 선택하기로 했다. 아직 초기 서비스니까 EC2에서 트래픽 수를 보고 차후 프리티어를 다 쓰면 Fargate로 옮겨도 될 것같다.

profile
코딩 일기장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