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LAN이란?
물리적으론 하나의 네트워크지만, 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나누는 것
(네트워크의 갯수 = 물리적 연결 + VLAN의 갯수)
포트는 Dynamic Port(자동)
와 Static Port(수동)
로 나뉨
Dynamic Port때 스위치를 연결하면 30초동안 주변 장비를 서칭 + 스스로 세팅함
Static Port는 Access Port
와 Trunk Port
로 나뉨
Access Port
는 인터페이스에서 하나의 프레임 종류만 포트를 넘나들게 하는 것
Trunk Port
는 여러개의 프레임 종류를 넘나들게 하는 것
기본적으로 VLAN 네트워크 끼린 연결이 안된다.
그렇다면 연결하는 방법은? = L3장비(라우터, 게이트웨이, 멀티스위치)
가 필요함
VLAN의 생성방식에는?
cf 1.
IP주소로 MAC주소를 찾을때는 ARP라는 프로토콜을 사용.
이떄 IP주소와 MAC주소가 존재하는 위치는NIC(랜카드)
cf 2.
Ping이 뜻하는 종류
1. 프로토콜
2. 프로그램
3. 도구
4. 명령어cf 3.
컴퓨터 앞까진 IP주소로 찾아가며 컴퓨터와 컴퓨터의 통신은 MAC주소로 함
네트워크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ICM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실행됨
하나의 도구/프로그램으로서
목적지 주소까지 도달 후 목적지에서 응답하는 과정을 확인 할 수 있음
1. 응답 메세지
- ICMP에서 메세지를 뿌려줌
2. 응답시간
- 회선의 속도를 판별 가능하다
3. TTL
- IP 헤더에 소속된 요소
- 라우터를 거칠때마다 -1이 되며 0이 된 TTL값을 받은 라우터는 0값의 TTL을 삭제함.
-t 4번 이상으로 계속 ping을 확인
-n 횟수 지정
-s 패킷 지정 (2의 16승까지=65535)
스위치에서 확인
1. BW, reliability, DLY, txload, rxload
- 라우팅 시 최적의 경로를 설정할 때 관여 및 수정 가능한 값들
- keepalive
- 생존신고를 요구
- Full-duplex
- 단방향, 반이중, 양방향(전이중)
cf 1. 속도 조절은 회선 종단 장치에서 조절한다.
cf 2. K1~5
K1 = BW K2 = reliability K3 = DLY K4 = txload, rxload K5 = MT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