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4 정리 - EIGRP 라우팅 및 neighbor 인증, Unequal Load Balancing, Summary(자동, 수동)

HakJin Kim·2023년 6월 14일
0

패킷 트레이서 실습

목록 보기
11/18

[RIP Passive-Interface]

  • 라우팅 테이블의 용량이 크기 때문에 그리고 불필요한 패킷을 줄이기 위해서 설정함
  • Passive-Interface (포트번호)를 사용하면 라우팅 정보를 받기만 하고 보내지않음
  • 이때 라우팅 정보를 한번만 못받으면 라우팅 테이블에서 삭제하는 것이 아님
    30초 동안 6번을 기다리고 추가적으로 60초를 더 기다린 후에야 라우팅 테이블에서 삭제_
    240초가 지나고 나서야 라우팅 테이블에서 삭제되고 그 이후로 라우팅이 안됨.


RIP version 1과 version 2의 라우팅 통신

  • 버전이 다른 서로 통신이 안됨.
    왜? => version1에서는 A클래스에 대한 정보를 보내지만 version2에서는 서브넷 정보까지 포함한 C클래스에 대한 정보를 보내기 때문에 서로 상이한 정보를 주고받게됨.

[EIGRP]

IGRP = RIP version 1
EIGRP = cisco 전용 프로토콜
방법은 총 세가지 방식

첫번째 방식 = RIP방식과 동일

(Router0)

Router(config)#router eigrp 7
Router(config-router)#network 192.168.10.0
Router(config-router)#network 1.1.12.0
Router(config-router)#no auto-summary 

(Router1)

Router(config)#router eigrp 7
Router(config-router)#network 192.168.20.0
Router(config-router)#network 1.1.12.0
Router(config-router)#no auto-summary 
  • 서로 연결이 되면 해당 메세지가 자동으로 뜸
%DUAL-5-NBRCHANGE: IP-EIGRP 7: Neighbor 1.1.12.1 (Serial0/0/0) is up: new adjacency

두번째 방식 = 주소를 콕 찍기 + 와일드 카드 마스크

(Router0)

Router(config)#router eigrp 7
Router(config-router)#network 1.1.12.1 0.0.0.0
Router(config-router)#network 192.168.10.1 0.0.0.0
Router(config-router)#no auto-summary 

(Router1)

Router(config)#router eigrp 7
Router(config-router)#network 1.1.12.2 0.0.0.0
Router(config-router)#network 192.168.20.1 0.0.0.0
Router(config-router)#no auto-summary 

세번째 방식 = 네트워크 ID + 와일드 카드 마스크 범위 제한

(Router0)

Router(config)#router eigrp 7
Router(config-router)#network 1.1.12.0 0.0.0.255
Router(config-router)#network 192.168.10.0 0.0.0.255
Router(config-router)#no auto-summary 

(Router1)

Router(config)#router eigrp 7
Router(config-router)#network 1.1.12.0 0.0.0.255
Router(config-router)#network 192.168.20.0 0.0.0.255
Router(config-router)#no auto-summary 


cf)
와일드 카드 마스크 0.0.0.255 =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
간단하게 서브넷 마스크의 반대 동작방식


EIGRP의 인증 기능(Neighbor 인증)

  • 암호화 인증 기능만 사용가능 (md5만 사용)

(Router0) / (Router1)

  • 라우터에서 적용 {정책생성}
Router(config)#key chain test
- key chain (키체인 이름)
Router(config-keychain)#key 1
- key (키 인식 번호)
Router(config-keychain-key)#key-string cisco
- key-string (키스트링 비밀번호)

= 키체인 이름은 인퍼테이스에 적용시 매칭되게, 인식번호와 비밀번호는 라우터 상호간 동일하게

  • 라우터의 인터페이스에 적용 {정책적용}
Router(config)#int se0/0/0
Router(config-if)#ip authentication key-chain eigrp 7 test
- ip authentication key-chain eigrp (초기 설정 숫자) (키체인 이름)
Router(config-if)#ip authentication mode eigrp 7 md5
- ip authentication mode eigrp (초기 설정 숫자) md5

실습

  • 노란색 원 라우터와 연결된 시리얼 포트에 정책적용을 시켜주어야 통신이 가능
    Static Routing 처럼 상호 명령어를 입력해야 됨

EIGRP의 경로설정

  • BW, reliability, DLY, tx/rxload, MTU = Metric값의 요소 및 우선순위

  • 기본 경로 설정 상태
  • se0/0/0의 bandwidth값을 2048로 조정했을때
  • se0/0/1의 bandwidth값을 2048로 조정했을때

정리)
RIP와 다르게 경로 설정 공식에 의해 최적의 경로가 생기면 바로바로 적용됨.


실습

  • 지금 30.30.30.0/24 경로로 잡혀있는데 이것을 10.10.10.0/24~20.20.20.0/24 경로로 잡히게 설정해보기

  • 기본 경로 설정 상태

  • bandwidth값 2048, bandwidth값 2048+DLY값 9000 ,bandwidth값 4096+DLY값 9000, bandwidth값 4096+DLY값 7000, bandwidth 16384 + DLY 7000, bandwidth 2048+DLY 3000

1544 20000
= 경로 동일

결론)
위의 두 경로를 설정하는것보다 30.30.30.0/24 경로에서 수치를 조정하는것이 더 빠르고 확실한 방법


Unequal Load Balancing

  1. 과정
    FD값이 AD/RD값보다 커야한다.
  • 30.30.30.0/24 경로 상 variance 값을 2로 설정
    그래도 안될시 전체 딜레이값 감소시켜주기

정리)
FD??? -> ip route를 치고 나온 [90/1711616]에서의 1711616(metric값)
AD??? -> ip route를 치고 나온 [90/1711616]에서의 90(라우팅 프로토콜마다 다름)
Variance??? -> 최적 경로의 FD값에 숫자만큼 곱하여 나온 결과보다 낮은 FD를 갖는경로들을 라우팅 테이블에 올려서 Load Balancing을 실시함.


축약 Summary

자동축약

  • no auto-summary의 연계 개념.
  • Router0(왼쪽)에서 Router1(오른쪽)으로 라우팅 정보를 보낼때 같은 Class의 주소를 172.16.0.0이라는 주소로 축약한 뒤 보내는 것

  • 추가적으로 Router1(오른쪽)에도 loopback 주소를 추가해준 뒤 auto-summary를 적용시켜보자

  • 단점 = 한 인터페이스가 셧다운 된 상태지만 반대쪽 라우터에선 인식을 못하고 계속 통신을 시도하려고함.

(셧다운 시도한 라우터)

(반대쪽 라우터)


수동축약

  • 루프백 주소를 router1에 적용
  • no auto-summary를 적용한 상태에서 해당 명령어(라우팅 테이블을 묶어주는)를 적용시키면
ip summary-address eigrp 7 172.17.0.0 255.255.128.0
ip summary-address eigrp 7 172.17.128.0 255.255.128.0
  • Router0에서 라우팅 테이블은 해당 결과처럼 0~127, 128~ 처럼 나온다.

실습

  • 수동축약의 연장선으로 윗 예제는 172.17.0~127.0/17과 172.17.128~255.0/17로 나누어졌다.
  • 그렇다면 172.17.0.0에 대한 주소를 세개의 파트로 나누어보자.
Router(config)#int se0/0/0
Router(config-if)#ip summary-address eigrp 7 172.17.128.0 255.255.192.0
Router(config-if)#ip summary-address eigrp 7 172.17.192.0 255.255.192.0

  • 서브넷 마스크를 192(/18)로 설정하면 주소 범위(128~255)는 128~191, 192~255 나뉘게 된다.
    192(/18)이라면 주소 범위를 총 4개(1,2,3,4)로 나누는데 1,2의 범위는 172.17.0.0/17로 설정된 주소대역이 차지하고 있다. 나머지 3과 4는 /18로 인해 128~191 192~255 나뉨

실습2

  • 0.0은 두 개 128.0과 192.0은 각 두 개(총 네 개)로 나누어보자.
    그렇다면 0~127을 두개, 128~191, 192~255를 각 두 개씩 네개니까
    0~63(/18-192), 64~127(/18) /// 128~159(/19-224), 160~191(/19), 192~223(/19), 224~255(/19)
    = 해당 주소 범위로 나뉘어진다.
 Router(config-if)#ip summary-address eigrp 7 172.17.0.0 255.255.192.0
 Router(config-if)#ip summary-address eigrp 7 172.17.64.0 255.255.192.0
 Router(config-if)#ip summary-address eigrp 7 172.17.128.0 255.255.224.0
 Router(config-if)#ip summary-address eigrp 7 172.17.160.0 255.255.224.0
 Router(config-if)#ip summary-address eigrp 7 172.17.192.0 255.255.224.0
 Router(config-if)#ip summary-address eigrp 7 172.17.224.0 255.255.224.0

  • 지금 224~255에 대한 루프백 주소가 없으므로 Router0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172.17.224.0/19 주소가 없다.

  • 172.17.224~229.1에 대한 주소를 추가해준 뒤 다시 확인을 해보면 해당 주소에 대한 축약이 추가됐다.

profile
처음 시작하는 사람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