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진 식(조건식)의 결괏값이 참인지 거짓 인지에 따라 코드를 실행할 것인지 혹은 다른 코드를 실행 할 것인지 판단하는 프로그래밍 문법
**기본 문법** :
if ( 조건식 ) {
조건이 참일 경우 실행할 코드
}
**특징** :
if 문의 조건식에는 비교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를 사용한 조건식만 사용할 수 있다.
조건식의 결과는 Boolean 타입인 ture/false로 나타난다.
**if else 문 :**
if 문에 else 를 같이 사용하면 조건이 참이면 if 다음의 {} 안에 있는 코드가 실행되고,
거짓이면 else 다음의 {} 안에 있는 코드가 실행된다.
**if else 문 :**
if 문에 else 를 같이 사용하면 조건이 참이면 if 다음의 {} 안에 있는 코드가 실행되고,
거짓이면 else 다음의 {} 안에 있는 코드가 실행된다.
**기본 문법** :
if ( 조건식 ) {
조건이 참일 경우 실행할 코드
} else {
조건이 거짓일 경우 실행할 코드
}
**if ~else if ~else 문 :**
조건을 여러개 쓰고싶을 때 쓰는 if 문
****
**기본 문법** :
if ( 첫번째 조건식 ) {
첫번째 조건이 참일 경우 실행할 코드
} else if(두번째 조건식) {
첫번째 조건은 거짓이고 두번째 조건이 참일 경우 실행할 코드
} else{
위의 조건들이 다 거짓일 경우 실행할 코드
}
var a = 5
var b = 10
var bigger = if(a < b) a else b
이렇게 변수에 직접 if 문을 사용해서 값을 대입할 수 있다
**기본 문법 :**
when (파라미터) {
비교값1 -> {
변수 값이 비교값1과 같으면 실행할 코드
}
비교값2 -> {
변수 값이 비교값2와 같으면 실행할 코드
}
else -> {
변수 값이 앞의 비교값들과 다르면 실행할 코드
}
**특징 :**
선택문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다른 언어에서는 주로 switch 라는 이름으로 사용된다.
같은 값 뿐만 아니라 범위 값도 처리 가능하다.
if 문의 확장판 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특정 값을 비교하는데 결과 처리가 동일하면 콤마로 구분해서 한번에 처리 가능 하다.
Ex)
var now = 9
when (now) {
8, 9 -> {
Log.d("when", "현재 시간은 8시 또는 9시 입니다.")
}
else -> { // 위의 모든 조건에 맞지 않으면 else 다음 코드가 실행 됩니다.
Log.d("when", "현재 시간은 9시가 아닙니다.")
}
}
in을 사용해서 범위 값을 비교할 수 있다.
파라미터를 생략하고 if문 처럼 사용할 수 있다.
범위가 넓고 값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 >> if 문
범위가 제한되고 값을 특정할 수 있는 경우 >> when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