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lin] 함수

오리너구리·2024년 5월 22일
0

개발 공부 정리

목록 보기
3/9
post-thumbnail

함수란?

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 최소 단위

fun 으로 정의하고 반환값이 있는 함수는 내부에서 return 으로 값을 반환한다

함수 정의 방법

(1) 반환값과 입력값이 있는 함수

fun 함수명(파라미터 이름: 타입): 반환 타입 {
    return}

Ex )

fun Hello (x : Int) : Int {
return x + x
} 

(2) 반환값이 없는 함수

fun 함수명(파라미터 이름: 타입) {
}

Ex)

fun printSum(x: Int, y: Int) {
    Log.d("fun", "x + y = ${x + y}")
}

(3) 입력값 없이 반환값만 있는 함수

fun 함수명() : 반환 타입 {
return}

Ex) 

fun getPi(): Double {
    return 3.14
}

함수 사용

함수를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함수이름 뒤에 괄호를 붙여서 호출하면 된다.

함수 파라미터 정의

함수에 입력되는 파라미터는 변수 정의와 마찬가지로 이름: 타입 의 형태로 정의한다.

fun 함수명((val 생략) name1: String, name2: Int, name3: Double) { 실행 코드 }
fun newFunction(name: String, age: Int = 29, weight: Double = 65.5){
    Log.d("fun", "name의 값은 ${name}입니다.")
    Log.d("fun", "age의 값은 ${age}입니다.")
    Log.d("fun", "weight의 값은 ${weight}입니다.")
}

newFunction("Hello")

/** [로그캣 출력 내용]
name의 값은 Hello입니다.
age의 값은 29입니다.
weight의 값은 65.5입니다.
*/

파라미터를 정의할 때 = 을 사용해서 기본값을 설정할 수있고,

함수를 호출하면서 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설정한 기본값이 자동으로 입력된다.

미니 퀴즈

  1. 2개의 Int 타입 입력 파라미터를 가지고 입력된 2개의 값을 더한 후에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해보세요.

    fun sum (num1 : Int , num2 : Int): Int {
    return num1 +num2
    }
  2. 1개의 Int 타입 입력 파라미터를 가지고 0부터 입력된 값까지 순서대로 모두 더한 후에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해보세요.

    fun sumAll (answer : Int): Int {
    var answer = 0
    var range = 0
    
    for(i in 0..range){
    answer += i
    }
    return answer
    }
  3. 1개의 문자열 입력 파라미터를 가지고 입력된 값을 그대로 출력하는 함수를 작성해보세요.

    fun print(print1: String) : String {
    log.d("$print1") 
    }
  4.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 println("문자열")을 Log.d() 대신에 사용해보세요.

    fun print(print1: String) : String {
    println ("$print1")
    }
profile
오리너구리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