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 ( git hub ) 사용 방법

김대일·2021년 4월 24일
0

개발자로써 깃허브는 필수이다. 사실 이전엔 쓸데없이 저런걸 왜 하나 싶었다. 하지만, 개발 공부를 하다보니 깃허브는 선택이 아닌 필수인것 같다. 그동안 사용 해본적이 없기 때문에 어제 한번 해본걸 복습할겸, 또 언젠간 헤메고 있을 나를 위해 사용방법을 정리 해놓는다.

깃허브란?

  •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공유하고 협업하여 개발할 수 있는 버전 관리 시스템인 깃(Git)에 프로젝트 관리 지원 기능을 확장하여 제공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이다.

깃허브를 사용 하는데 꼭 필요한 개념!!

  • 커밋(commit) : 파일을 추가하거나 변경 내용을 저장소에 저장하는 작업
  • 푸시(push) : 파일을 추가하거나 변경 내용을 저장소에 업로드하는 작업

로컬저장소와 원격 저장소의 차이는 무엇인가

저장소란,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저장하는 곳을 말한다. 변경하고자 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저장소에 저장해두는곳을 말하고 로컬저장소는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것을 "로컬 저장소" 라고 하고 서버나 네트워크에 있는 저장소를 "원격 저장소" 라고 한다. ( 기본적으로 로컬 저장소에 저장한뒤 원격 저장소로 보낸다 )

깃허브 사용 방법

  • git init = > 새로운 git 저장소를 만드는 명령어 ( 명령어 실행시 현재 디렉토리가 git 저장소로 변한다 )
  • git add = > 작성한 파일을 인덱스로 추가하는 명령어 ( 인덱스는 커밋 준비를 하기 위해 변경내용을 임시로 저장하는 장소 )
  • git commit -m "file name"= > 인덱스에 추가한 파일을 커밋하는 명령어 ( 인덱스에 추가 된 파일을 로컬 저장소에 저장 )
  • git push = >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 파일을 원격 저장소로 푸시 하는 명령어

이렇게 하면 기본적인 깃허브 사용법이다.

profile
도비코딩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