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기초__1030 - 문자열

그나·2021년 10월 30일
0

그나 공부중 : JS

목록 보기
3/6

+문자열+

let myString = 'Hi Gunaci';

console.log(myString.indexOf('i')); // 1
console.log(myString.indexOf('b')); // -1
console.log(myString.lastIndexOf('i')); // 8
-> indexOF 는 앞에서 부터 요소 탐색
-> lastIndexOf 는 뒤에서 부터 요소 탐색
-> 0부터 시작되고 & 없는 요소라면 -1 로

...

console.log(myString[3]); //G
console.log(myString.charAt(3)); //G
-> 대괄호 표기와 소괄호 표기 차이

...

console.log(myString.length); //9
-> 요소의 길이 - 순서가 아니고 길이라서 1부터 시작.

...

console.log(myString.toUpperCase()); //
console.log(myString.toLowerCase()); //
->toUpperCase() 는 대문자 변환
->toLowerCase() 는 소문자 변환

...

let myString = ' Hi Gunaci ';

console.log(myString.trim()); //Hi Gunaci
console.log(myString); //(공백)Hi Gunaci(공백)
-> trim()은 양 끝에 공백 제거 후 출력

...

let myString = 'HideGunaci';

console.log(myString.slice(0, 2)); //Hi
console.log(myString.slice(3)); //eGunaci
console.log(myString.slice()); //HideGunaci
-> slice(start,end)는 start 순서 부터 end 직전까지 출력
-> slice(start)면 start 순서 부터 끝까지 출력
-> slice()라면 걍 첨부터 끝까지 출력

&&

console.log(myString.substring(2, 5)); //deG
console.log(myString.substring(2)); //deGunaci
-> substring(start,end)는 start 순서 부터 end 직전까지 출력
-> substring(start)면 start 순서 부터 끝까지 출력
-> substring()라면 걍 첨부터 끝까지 출력

...

let myString = 'HideGunaci';
console.log(myString.substr(2, 5)); // deGun

-> substr(start, length)는 start부터 length만큼 길이의 문자열이 잘려서 출력.

...

let myString = 'Gunaci';
let myArray = ['G', 'u', 'n', 'a', 'c', 'i'];

console.log(typeof myString); //string
console.log(typeof myArray); //object
console.log(myString === myArray); //false
console.log(myString == myArray); //false
-> 문자열과 배열은 다른 자료형이다

// 배열은 mutable
let myArray = ['G', 'u', 'n', 'a', 'c', 'i'];
myArray[0] = 'D';
console.log(myArray); //(6) ["D", 'u', 'n', 'a', 'c', 'i']

// 문자열은 immutable
let myString = 'Gunaci';
myString[0] = 'B';
console.log(myString); //Gunaci

profile
바보 그나 공부하는 중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