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xt vs recoil 2

otter·2022년 6월 12일
0

context vs recoil

목록 보기
2/2
post-thumbnail

Overview

이번 미션에서는 -지금까지 했던 것보다는- 대규모의 데이터를 받아와야 했다. 우리가 지금까지 받와왔던 데이터들 보단 규모가 커서 스켈레톤 UI나 LazyLoad도 꼭 적용해보자고 했다. 큰 데이터를 계속해서 받아오는 상황이 곤혹스럽게 느껴졌다. 다 백엔드가 없어서그래 탓도했지만 없는걸 뭐 어떡하나. (우리는 프론트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팀이었다.)

게다가 그 데이터를 각기 다른 컴포넌트에서 사용해야 했으므로, 비동기 로직을 어디서 처리할지도 고민이었다. 한 컴포넌트에서 받았다가 올렸다 내리나, 컨텍스트에서 하나, 각 컴포넌트에 하는 방법이 있겠다. 정도로 생각했다. 스켈레톤UI나 레이지로드는 꼭 해보고 우리 시간이 되면 데이터를 캐싱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도 적용해보자 하고 회의를 끝냈다.

그런데, 여기서 이전 포스트에서 작성했던 불편한 문제가 나왔다. 지금, 데이터를 받아오기 전 우리가 구현했던 방법은 Period, Price, Personnel 이라는 세가지 컴포넌트를 각기 다른 컨텍스트를 만들어 활용하는 방법이었다. (당연히 리렌더링 문제를 해소하고자 컨텍스트를 나눴다. 그리고 이걸 나눈 건 좋은 방법이었던 것 같다. 실제로 리렌더링 문제가 어느정도 해소되기도 했다.)

이 세가지 컨텍스트가 다 담고 있는 데이터가 필요했다. 세가지를 다 받아와 컴포넌트에서 받을 수는 없었다. 또 다른 -거리가 먼- 컴포넌트가 이 데이터를 필요로 했다. 그럼 컨텍스트를 또 만들어, 그 컨텍스트로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로직을 만들고, 컨텍스트에서 받아와 내려오는 방법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갑자기 아 이제 프로바이더를 그만 만들고 싶다.. 라는 생각에 빠져 사실 여기서 recoil 적용을 시작했다.

recoil 비동기 로직 작성해보기

recoil 공식 문서를 참고하며 진행했습니다!

거의 코드의 흐름은 recoil 공식 문서와 동일하다.

export const searchInfoState = atom({
  key: 'SearchInfoState',
  default: {
    checkIn: null,
    checkOut: null,
    minPrice: null,
    maxPrice: null,
    personnel: null,
    minLatitude: 37.474643190801984,
    minLongitude: 127.0177264600349,
    latitude: 37.507322742120685,
    longitude: 127.0494023698062,
  },
});
	// 이 atom을 통해서 데이터를 얻는다.
const cardsDataQuery = selector({
  key: 'CardsDataQuery',
  get: async () => {
    const response = await fetch(
      'URL',
    );
    const cardsData = await response.json();
    return cardsData;
  },
});
// URL이 달리질일이 없어서 selectorFamily는 적용하지 않았다.
// 언제나 무조건 한가지 URL만 사용하면 되었다.

export const filteredCardsData = selector({
  key: 'FilteredCardsData',
  get: ({ get }) => {
    const fetchedCardsData = get(cardsDataQuery);
    const currentSearchInfo = get(searchInfoState);
    // atom과 selector에 있는 값을 받아왔다! 이거 신세계인데 라는 생각이 들었다.
    const initialCondition = {
      filteredData: fetchedCardsData,
      currentSearchInfo,
    };

    const { filteredData } = filteredBySearchInfo(
      filteredByPrice,
      filteredByCoords,
      filteredByPeopleNum,
    )(initialCondition);

    return filteredData;
  },
  // 위에서 fetch 받아온 데이터를 여기서 필터해서 return했고,
  // 이 filteredData를 컴포넌트에서 사용했다.
});

여기서 새로운 게 보인다. selector이다.
recoil 공식문서에 따르면 selcotor은 다른 atom이나 selectors의 입력을 사용할 수 있는 순수함수이다. 이 상위의 atom이나 selectors가 바꾸뀌면 selector은 다시 실행되고 이게 변경되면 이를 사용하는 컴포넌트도 다시 렌더링 된다.
(defineProperty의 setter, getterr가 생각났다)

이를 통해, 컨텍스트를 사용하면서 불편함을 느꼈던 3번째 문제 - 컨텍스트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상태가 생기면 어떡하나 - 를 해결할 수 있었다. 여기서, 그냥 불러와서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값이 불리어진 atom이나 selector가 변하면 자동적으로 다시 실행되니까 흐름이 보이기 시작했다.
어떤게 어떤거와 결합되어있고, 어디에 묶여있는지 보이는 게 좀 좋았다.

Suspense, Lazy

그런데, selector을 사용해서 비동기 로직을 실행하면 Suspense, Lazy 를 사용해야한다는 오류가 났다. 미션 마감이 얼마 남지 않았다. 내가 이걸 지금 빨리 해야하는데 공부해서 할 수 있을까하는 고민을 했다. 이미 코드는 써놨고 다시 컨텍스트로 빨리 돌아갈까 하는 생각도 했다.

생각보단 쉬웠다. 다행이었다.
LazySusnpense가 있어야 작동하고, 공식문서에 따르면 Suspense는 로딩 지시기를 나타낸다.

지금, 이 데이터를 사용하는 컴포넌트들은 다음과 같았다.

const Card = ({ accommInfo }: { accommInfo: CardDataType }) => {
  const [isVisible, setIsVisible] = useState<boolean>(false);
  const [isReservationModalOpened, setIsReservationModalOpened] =
    useState<boolean>(false);

  const imgRef = useRef<HTMLImageElement>(null);
  const observer = useRef<IntersectionObserver>();

  useLayoutEffect(() => {
    observer.current = new IntersectionObserver(intersectionObserver);
    observer.current.observe(imgRef.current);
  }, []);

  const intersectionObserver = (
    entries: IntersectionObserverEntry[],
    io: IntersectionObserver,
  ) => {
    entries.forEach((entry) => {
      if (entry.isIntersecting) {
        io.unobserve(entry.target);
        setIsVisible(true);
      }
    });
  };
 // 간단히 이미지 lazyload를 적용했던 코드다. 다음이나 다다음 포스트에 정리해서
 // 올리려고 한다.
  const closeModal = (e: React.MouseEvent<SVGSVGElement>) => {
    e.stopPropagation();
    setIsReservationModalOpened(false);
  };

  return (
    <CardContainer id={accommInfo.roomId} onClick={() => setIsReservationModalOpened(true)}>
      <CardImage src={isVisible ? accommInfo.imgSrc : undefined} alt='hotels' ref={imgRef} />
      <CardText price={accommInfo.price} name={accommInfo.name} />
      <HeartIcon />
      {isReservationModalOpened && (
        <ReservationModal accommInfo={accommInfo} closeModal={closeModal} />
      )}
    </CardContainer>
  );
};

export default Card;

데이터들을 받는 Card들은 이렇게 생겼다. 근데 잘 보면 여기서 데이터를 받지 않는다.

const LazyCards = () => {
  const filteredData = useRecoilValue(filteredCardsData);
  return filteredData.map((card: CardDataType, i: number) => (
    <Card
      key={card.roomId}
      accommInfo={{
        ...card,
        imgSrc: `https://loremflickr.com/300/200/cats?${i}`,
      }}
    />
  ));
};

export default LazyCards;

LazyCards라는 새로운 컴포넌트 만들어 여기서 데이터를 받아서 위의 Card 컴포넌트 들에 전달해 주었다. 왜 이렇게 했냐고 묻는다면 안쓰면 무수한 오류가 났다

이는 React.Lazy를 써야했기 때문이다. 이 Card 컴포넌트들은 데이터를 받는 비동기 요청이 모두 끝난 뒤에 렌더링되어야 하는 컴포넌트들이다. Lazy를 통해 데이터 요청이 다 끝난뒤 카드 컴포넌트들이 렌더링 된다.

그럼 이 비동기가 진행되고 있는 Loading 상태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기존에는, 비동기 로직에서 데이터를 받아와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 여부등을 통해 isLoading, setIsLoading 등의 상태를 만들어 로딩상태를 감지했었다. 그런데 이렇게 Lazy를 쓰게 되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const Cards = () => {
  const LazyCards = lazy(() => import('./LazyCards'));
  return (
    <CardsContainer>
      <Suspense fallback={<SkeletonCards />}>
        // 여기 fallback에서 로딩중 사용할 컴포넌트를 넣어주었다.
        <CardsTitle />
        <LazyCards />
      </Suspense>
    </CardsContainer>
  );
};

export default Cards;

이렇게 Suspense가 하위에 Lazy로 추가된 컴포넌트들의 로딩상태를 감지한다. 그래서 fallback 속성에 로딩중 표시될 컴포넌트를 넣어주니 작동이 되었다.

그런데, selector을 비동기로직에 이용하는 경우에 무조건 suspense, lazy를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useRecoilValueLoadable() 훅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고 한다.

덧붙여 그럼 에러처리는 어떻게 하나 했는데, ErrorBoundary를 통해 가능했다. 이건 다음에 정리해야겠다.

그런데, 뭔가가 달라졌다.

이 프로젝트는 다량의 데이터를 계속해서 불러와야 하고 이로 인해 문제가 생길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로딩을 위해 만들어둔 스켈레톤 UI가 처음에만 나오고 나오지 않았다. 데이터 fetch를 새로 받지 않은건가? 어떻게 이게 바로바로 되는거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래의 이미지를 보면 검색조건이 달라지거나 지도의 좌표가 달라질때 카드의 로딩상태가 없다.
하지만 로딩은 검색조건이 달라오거나, 지도의 좌표가 달라지면 fetch요청을 다시 넣는 방식으로 되어있었다. 이 부분이 UI,UX적을 큰 문제가 될 수 있을거라고 생각했었다.

왼쪽의 카드들이 바로바로 달라지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사진이 똑같아서 헷갈린다면 가운데의 스크롤 + 카드 첫번째 호텔의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래서, 개발자 도구의 네트워크 탭을 확인해 보니 처음한번만 fetch를 하고 새로운 요청이 없었다.

리코일 공식문서에 따르면, selector
결과는 쿼리가 유니크한 인풋이 있을 때에만 실행되도록 캐시됩니다.라고 한다.
그렇다 그냥 캐시처리를 해버려서, 우리가 따로 캐시처리를 할 필요가 없었다. (이것도 좋은거 아닌가?라고 단순히 생각했다.) 우리의 로직은 무조건 한 URL에서만 데이터를 받아오는 로직이었으니 가능했다.

그런데, 리코일의 캐시처리관련한 부분은 문제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더 많은 것 같다.
이번 미션에서는 운좋게 얻어걸린 듯한 느낌이었고, 캐시처리를 받고 그 캐시에 따라서 re-fetch 한다던지 하는 동작을 리코일에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포스트가 많았다.

또 캐시처리를 알아보다보니 react-qeury, swr같은 개념이 등장했다 이와 엮어서 포스트를 작성해보려고 한다.

그래서 문제가 해결되었나?

해결되었다. 리코일에서 다른 상태-atom, selector-에서 값을 불러오는 기능을 통해 컨텍스트 였다면 새롭게 컨텍스트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었다. 또 문제라고 생각했던 캐시도 얻어걸린 것 처럼 해결되었다.

전 포스트와 이번 포스트까지 마치 context의 단점만 나열하고 recoil의 장점만 나열한 듯한 느낌이 든다. 그런데, 오히려 공부하면서 느꼈던 점은 context도 나름 괜찮았는데? 싶었던 것도 있다. 불편함도 있었지만 상태가 잘변하지 않고 특정부분만을 위한 context를 사용한다면 오히려 Provider도 여기는 딱 이것만 쓴다! 하고 표시해줄수도 있고 라이브러리가 아니니 대부분의 사람들도 알고있는 개념이라는 것도 좋았다.

또 이번에 컨텍스트로 작성된 부분을 리코일로 살짝 바꾸었는데 생각보단 쉽지 않았다. 이 컨텍스트가 뭐와 연결되어있고 그런 부분도 있었고 시간이 생각보다 걸리는 작업이었다. 만약 기존에 해왔던 게 컨텍스트인데 갑자기 바꾸자! 이런건 말이안될 것 같다.

결과적으론 이것저것 공부는 하겠지만 이런 거 고르는 건 역시 팀원간의 협의와 조율인 것 같다. 이것저것 공부해봐서 어떠한 상황이든 조금은 대처할 수 있도록 하자!

profile
http://otter-log.world 로 이사했어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