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란 무엇인가요?

김상욱·2024년 12월 22일
0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란 무엇인가요?

What?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은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웹 콘텐츠(예: 이미지, 동영상, CSS, JavaScript 파일 등)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시스템입니다. 기본저긍로, 원본 서버(예: 여러분의 Java/Spring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직접 콘텐츠를 제공하는 대신, CDN의 여러 엣지 서버가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서 콘텐츠를 캐싱하여 제공하게 됩니다.

Why?

  • 사용자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CDN 엣지 서버에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로딩 시간을 단축시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울에 있고 CDN 서버도 서울에 있다면 콘텐츠 전송이 더 빠르게 이루어집니다.
  • 트래픽이 증가해도 원본 서버에 부담을 덜어줍니다. 여러 엣지 서버가 콘텐츠를 분산해서 제공하므로, 서버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여러 서버에 콘텐츠가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 서버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서버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서비스의 다운타임을 최소화하느 데 도움이 됩니다.
  • DDos 공격 방어, SSL 인증서 관리 등 보안 기능을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How use?

  1. 정적 자산 재공
  • Java/Spring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미지, CSS, JavaScript 같은 정적 파일을 CDN에 호스팅하면, 서버 부하를 줄이고 콘텐츠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Spring에서는 ResourceHandler를 설정하여 정적 자산을 CDN에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WebConfig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Override
    public void addResourceHandlers(ResourceHandlerRegistry registry) {
        registry.addResourceHandler("/static/**")
                .addResourceLocations("https://your-cdn-domain.com/static/")
                .setCacheControl(CacheControl.maxAge(365, TimeUnit.DAYS));
    }
}
  1. API 응답 캐싱
  • 특정 API 응답을 CDN에 캐싱하여 반복적인 요청 시 빠른 요청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자주 변경되지 않는 데이터에 유용.
  1. 이미지 및 미디어 처리
  •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나 동영상을 CDN에 저장하고 제공함으로써, 백엔드 서버의 스토리지 및 처리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1. SEO 및 사용자 경험 향상
  • 페이지 로딩 속도는 검색 엔진 최적화(SEO)에 영향을 미치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빠른 로딩 속도는 사용자의 이탈률을 줄이고, 애플리케이션의 평판을 높일 수 있습니다.

CDN 통합 예시

  1. CN 제공업체 선택
  • 대표적인 CDN 제공업체로는 Cludflare, AWS CloudFront, Akamai 등이 있습니다.
  • 각 제공업체의 설정 가이드를 참고하여 도메인과 CDN을 연결합니다.
  1. 정적 파일 배포
  • 애플리케이션의 정적 파일을 CDN에 업로드하거나, CDN이 원본 서버에서 자동으로 가져가도록 설정합니다.
  1. 애플리케이션 설정
  • Spring 설정 파일이나 프론트엔드 코드에서 정적 파일의 URL을 CDN 도메인으로 변경합니다.
  1. 테스트 및 최적화
  • CDN을 통해 콘텐측 제대로 제공되는지 테스트하고 캐싱 전략등을 최적화합니다.

신입 Java/Spring 백엔드 개발자로서 CDN을 실습해보는 것은 실제 프로젝트에서의 성능 최적화와 확장성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다음은 취업 준비와 실무 경험에 유용한 몇 가지 실습 아이디어와 단계별 가이드입니다.

1. 간단한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 생성 및 정적 자산 호스팅

목표: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정적 파일(이미지, CSS, JavaScript)을 CDN을 통해 제공하도록 설정합니다.

단계별 가이드:

  1.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 Spring Initializr를 사용하여 새로운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 필요한 의존성으로 Spring Web을 추가합니다.
  2. 정적 자산 추가:

    • src/main/resources/static 디렉토리에 이미지, CSS, JavaScript 파일을 추가합니다.
    • 예: src/main/resources/static/images/logo.png, src/main/resources/static/css/style.css
  3. CDN 제공업체 선택 및 설정:

    • 예시: AWS CloudFront 사용
      • AWS 계정에 로그인하고 S3 버킷을 생성합니다.
      • 정적 자산을 S3 버킷에 업로드합니다.
      • CloudFront 배포를 생성하여 S3 버킷을 원본으로 설정합니다.
      • CloudFront 도메인 이름(예: d1234abcdef.cloudfront.net)을 확보합니다.
  4. Spring Boot에서 CDN 사용하도록 설정:

    • WebConfig 클래스를 생성하여 정적 자산의 위치를 CDN으로 변경합니다.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config.annotation.ResourceHandlerRegistr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config.annotation.WebMvcConfigurer;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CacheControl;
      import java.util.concurrent.TimeUnit;
      
      @Configuration
      public class WebConfig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Override
          public void addResourceHandlers(ResourceHandlerRegistry registry) {
              registry.addResourceHandler("/static/**")
                      .addResourceLocations("https://d1234abcdef.cloudfront.net/static/")
                      .setCacheControl(CacheControl.maxAge(365, TimeUnit.DAYS));
          }
      }
  5.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브라우저에서 정적 자산이 CDN을 통해 로드되는지 확인합니다.
    • 네트워크 탭에서 자산의 Request URL이 CloudFront 도메인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2. API 응답 캐싱 구현

목표: 특정 API 엔드포인트의 응답을 CDN에서 캐싱하여 응답 속도를 향상시키고 서버 부하를 줄입니다.

단계별 가이드:

  1. API 엔드포인트 생성:

    • 예를 들어, /api/data 엔드포인트를 생성하여 JSON 데이터를 반환합니다.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Map;
      
      @RestController
      public class DataController {
          @GetMapping("/api/data")
          public Map<String, String> getData() {
              Map<String, String> data = new HashMap<>();
              data.put("message", "Hello, CDN!");
              return data;
          }
      }
  2. CDN에서 API 응답 캐싱 설정:

    • CloudFront 배포에서 /api/data 경로를 캐싱하도록 설정합니다.
    • Cache Behavior를 추가하거나 수정하여 /api/* 패턴을 캐시하도록 설정합니다.
    • TTL(Time To Live)을 적절히 설정하여 데이터가 너무 자주 갱신되지 않도록 합니다.
  3. Spring Boot에서 캐시 제어 헤더 설정:

    • API 응답에 캐시 관련 헤더를 추가하여 CDN이 응답을 캐싱하도록 지시합니다.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CacheControl;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ResponseEntit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Map;
      import java.util.concurrent.TimeUnit;
      
      @RestController
      public class DataController {
          @GetMapping("/api/data")
          public ResponseEntity<Map<String, String>> getData() {
              Map<String, String> data = new HashMap<>();
              data.put("message", "Hello, CDN!");
      
              return ResponseEntity.ok()
                      .cacheControl(CacheControl.maxAge(60, TimeUnit.SECONDS))
                      .body(data);
          }
      }
  4. 테스트 및 검증:

    • /api/data 엔드포인트를 호출하고 CloudFront의 캐싱 동작을 확인합니다.
    • 반복적인 요청 시 응답 시간이 단축되고, 원본 서버의 로드가 줄어드는지 확인합니다.

3. 사용자 업로드 파일 CDN 통합

목표: 사용자가 업로드한 파일(예: 프로필 사진)을 CDN을 통해 제공하여 서버의 스토리지 및 처리 부담을 줄입니다.

단계별 가이드:

  1. 파일 업로드 기능 구현:

    • Spring Boot에서 파일 업로드를 처리하는 엔드포인트를 생성합니다.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o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Param;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multipart.MultipartFile;
      import java.io.File;
      import java.io.IOException;
      
      @RestController
      public class FileUploadController {
          @PostMapping("/upload")
          public String uploadFile(@RequestParam("file") MultipartFile file) throws IOException {
              // 파일을 로컬 서버에 저장하거나 S3 같은 스토리지에 업로드
              String uploadDir = "/path/to/upload/dir/";
              File dest = new File(uploadDir + file.getOriginalFilename());
              file.transferTo(dest);
              return "File uploaded successfully!";
          }
      }
  2. S3 버킷 설정 및 CloudFront와 연동:

    • AWS S3 버킷을 생성하고, 업로드된 파일을 S3에 저장하도록 설정합니다.
    • CloudFront 배포를 생성하여 S3 버킷을 원본으로 설정합니다.
  3. Spring Boot에서 업로드된 파일 URL을 CDN 도메인으로 반환:

    • 파일 업로드 후, CDN 도메인을 통해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URL을 생성합니다.

      @RestController
      public class FileUploadController {
          private final String cdnDomain = "https://d1234abcdef.cloudfront.net/uploads/";
      
          @PostMapping("/upload")
          public String uploadFile(@RequestParam("file") MultipartFile file) throws IOException {
              String uploadDir = "/path/to/upload/dir/";
              File dest = new File(uploadDir + file.getOriginalFilename());
              file.transferTo(dest);
      
              String fileUrl = cdnDomain + file.getOriginalFilename();
              return "File uploaded successfully! Access it here: " + fileUrl;
          }
      }
  4. 테스트 및 검증:

    • 파일을 업로드하고, 반환된 CDN URL을 통해 파일이 제대로 제공되는지 확인합니다.
    • 파일 접근 속도가 향상되었는지, 서버 부하가 감소했는지 모니터링합니다.

4. 캐싱 전략 최적화 및 모니터링

목표: CDN의 캐싱 전략을 최적화하고, 성능을 모니터링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단계별 가이드:

  1. 캐시 제어 헤더 이해 및 설정:

    • Cache-Control, Expires, ETag 등의 헤더를 적절히 설정하여 CDN이 최적의 캐싱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예를 들어, 자주 변경되지 않는 자산에는 긴 TTL을 설정하고, 자주 변경되는 데이터에는 짧은 TTL을 설정합니다.
  2. CDN 로그 및 분석 도구 사용:

    • CloudFront의 로그CloudWatch를 활용하여 CDN의 성능과 캐싱 효율을 모니터링합니다.
    • 캐시 히트율(Cache Hit Ratio)을 분석하여 캐싱 전략을 조정합니다.
  3. 자동화된 배포 파이프라인 구축:

    • CI/CD 도구(Jenkins, GitHub Actions 등)를 사용하여 정적 자산을 자동으로 CDN에 배포하도록 설정합니다.
    • 변경 사항이 발생할 때마다 자동으로 캐시를 무효화(Invalidate)하여 최신 자산이 제공되도록 합니다.

5. CDN을 활용한 보안 강화 실습

목표: CDN의 보안 기능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합니다.

단계별 가이드:

  1. SSL/TLS 설정:

    • CloudFront에서 SSL 인증서를 설정하여 HTTPS를 통해 안전하게 콘텐츠를 전송합니다.
    • Let's Encrypt나 AWS Certificate Manager를 사용하여 무료 SSL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2. DDoS 방어 설정:

    • CloudFront는 AWS Shield와 연동되어 DDoS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 추가적인 보안 설정을 통해 악의적인 트래픽을 필터링합니다.
  3. Access Control 설정:

    • 특정 IP 주소나 지리적 위치에서만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합니다.
    • Signed URLs이나 Signed Cookies를 사용하여 인증된 사용자만 특정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합니다.

실습 결과물 및 포트폴리오 구성

포트폴리오에 포함할 수 있는 결과물:

  • GitHub 리포지토리: 설정 파일, 코드, 배포 스크립트 등을 포함한 프로젝트 코드를 공개합니다.
  • 데모 링크: 실제로 CDN을 통합한 애플리케이션의 데모 사이트 링크를 제공합니다.
  • 설명 문서: 프로젝트의 목표, 구현 과정, 사용한 기술 스택, 직면했던 문제와 해결 방법 등을 상세히 기록합니다.
  • 성능 비교: CDN 도입 전후의 성능(로딩 속도, 서버 부하 등)을 비교한 자료를 포함합니다.

결론

CDN을 실습하는 과정은 단순히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성능과 보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배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위의 실습들을 통해 CDN의 다양한 기능을 체험하고, 이를 Java/Spring 애플리케이션에 효과적으로 통합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취업 면접 시 강력한 포트폴리오로 어필할 수 있으며, 실무에서도 큰 자산이 될 것입니다. 실습을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최적화하는 과정에서 문제 해결 능력도 함께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응원합니다! 성공적인 취업을 기원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