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Database] 클러스터링 vs 리플리케이션: DB 성능 최적화의 최강자 누구?

김상욱·2024년 10월 12일
0
post-thumbnail

💡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링과 리플리케이션의 차이점 완벽 정리!

데이터베이스의 성능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클러스터링(Clustering)리플리케이션(Replication)은 유사해 보이지만, 목적과 동작 방식이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두 개념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링 (Database Clustering)

클러스터링은 여러 데이터베이스 서버(노드)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마치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처럼 동작하도록 만드는 방식입니다. 고가용성로드 밸런싱이 주된 목적입니다.

주요 특징

  • 하나의 가상 데이터베이스로 여러 서버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처럼 사용합니다.
  • 서버 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해도 다른 서버들이 서비스를 이어갑니다.
  • 여러 서버에 작업을 분산시켜 부하를 분산합니다.
  • 활성/활성(Active/Active) 또는 활성/대기(Active/Passive) 구성:
    • 활성/활성: 여러 노드가 동시에 요청을 처리합니다.
    • 활성/대기: 하나의 노드만 요청을 처리하며, 장애 시 다른 노드가 이를 대체합니다.

예시

  • MySQL NDB Cluster
  • Oracle RAC (Real Application Clusters)

🔄 데이터베이스 리플리케이션 (Database Replication)

리플리케이션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복제하여 여러 서버에 동일한 복사본을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데이터 무결성 유지읽기 성능 개선이 주된 목적입니다.

주요 특징

  • 마스터 서버에서 데이터를 복제본 서버로 복사합니다.
  • 복제본 서버에서 읽기 작업을 처리해 읽기 부하를 분산합니다.
  • 쓰기 작업은 마스터 서버에서만 수행됩니다.
  • 동기/비동기 방식:
    • 동기 리플리케이션: 마스터에서 변경된 데이터가 즉시 복제본에 반영됩니다.
    • 비동기 리플리케이션: 일정 시간 후에 데이터가 반영되어 약간의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시

  • MySQL Replication
  • PostgreSQL Streaming Replication

🔍 클러스터링과 리플리케이션의 차이점 비교

구분클러스터링(Clustering)리플리케이션(Replication)
목적고가용성, 부하 분산데이터 복제, 읽기 성능 향상, 무결성 유지
구성 방식여러 서버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처럼 구성마스터-복제본 간 데이터 복사
사용 사례장애 복구, 서비스 지속, 부하 분산백업, 읽기 작업 분산
데이터 처리여러 서버가 동시에 작업 수행쓰기는 마스터 서버에서, 읽기는 복제본에서
데이터 일관성모든 노드에서 동일한 데이터 접근동기/비동기 복제 방식

결론 🏁

  • 클러스터링고가용성부하 분산이 필요한 환경에서 사용되며, 여러 서버가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처럼 동작합니다.
  • 리플리케이션은 데이터를 여러 서버에 복제하여 읽기 성능을 높이고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유용합니다.

두 가지 기술은 각각 확장성안정성을 높이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환경에 맞게 적절히 선택해 사용해 보세요!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