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che Tomcat를 클릭하여 다운로드 할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왔다면 왼쪽에 Download
에서 tomcat 8
을 클릭합니다.
tomcat 8
을 클릭하면 위와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Binary Distributions
하위에 Core
아래에 있는 zip
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습니다.
저는 d:/tomcat
경로에 다운로드받은 압축파일을 옮긴 후 압축을 풀어주었습니다.
apache-tomcat-8.5.60
폴더를 제외하고는 개인적으로 설치한것이기 때문에 무시하셔도 됩니다.
이제 설치를 완료했으니, 환경변수에서 경로를 설정해주겠습니다.
Window검색창에서 sysdm.cpl
을 입력하고, 상단탭에서 고급을 클릭하여 환경변수로 들어갑니다.
환경변수에서 하단의 시스템 변수쪽에서 새로만들기를 클릭하고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변수 이름 : CATALINA_HOME
변수 값 : apache-tomcat-8.5.60 폴더 경로
Apache Tomcat을 설치하고 경로설정까지 완료했으니 Terminal을 이용하여 서버를 실행시켜 보겠습니다.
window + R
을 눌르고 cmd
를 입력하여 터미널을 열어줍니다.
터미널에서 cd %catalina_home%
이라고 입력하고 d:
을 입력하면 시스템 환경변수에 설정해놓은 catalina_home
경로로 이동됩니다.
그리고 cd bin
을 입력하여 bin
디렉토리 안으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bin
디렉토리는 binary file
들이 위치한 폴더입니다.
내부에는 확장자가 .bat
.sh
등으로 된 파일들이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파일들은 Terminal에서 명령어를 실행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제 startup.bat
를 입력하면 Terminal한 개 더 띄워질겁니다.
아마 대부분의 분들에게 위와같은 에러메세지가 나올것입니다.
한글이 깨져서 나오지만 중요한부분은 org.apache.catalina.LifecycleException
과 java.net.BindException: Address already in use: bind
부분입니다.
Exception의 종류와 원인을 알려주는 부분입니다.
Lifecycle Exception이고 원인은 Connector가 사용하는 주소를 이미 누군가가 사용하고 있어서 에러가 발생한것 같습니다.
에러를 해결하기 위해서 tomcat디렉토리 안에있는 conf
디렉토리에서 server.xml
을 열어보겠습니다.
conf
디렉토리는 configuration
의 줄임말로 환경설정 파일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입니다.
server.xml
에서 69 Line
쯤에 <Connector>
라는 태그가 걸린 부분을 보면 port=8080
이라고 적혀있습니다.
아까 발생했던 에러는 이미 누군가가 808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발생한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9090
번으로 포트번호를 변경해주고 다시 톰캣을 실행시켜보겠습니다.
server.xml
을 변경한 후 Terminal을 종료했다가 다시 켜서 실행해야 합니다.
혹시나 포트번호를 변경했는데도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면 포트번호를 다시 바꿔야합니다.
만약 실행시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이제 브라우저를 열어서 구동중인 톰캣서버에 접속해보겠습니다.
주소창에 localhost:portnumber(9090)
을 입력해서 위와같은 화면이 나온다면 정상적으로 톰캣서버가 실행중인 것입니다.
만약 server.xml
에서 connector
의 port를 80
으로 했다면 뒤에 portnumber는 생략하고 localhost
만 입력해도 됩니다.
또한 localhost
와 같은 의미로 127.0.0.1:9090
을 주소창에 입력해도 됩니다.
127.0.0.1
은 loopback address
로써 localhost
와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제 문제없이 서버를 동작시켜봤다면 다시 Terminal로 돌아가서 shutdown.bat
을 입력하여 서버를 종료시켜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