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일반적인 성공 상태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됨GET 요청 성공시 주로 사용새로운 리소스 생성 성공POST 요청 성공시 주로 사용생성된 리소스의 URI를 응답에 포함요청은 성공했지만 응답 본문 없음DELETE 요청 성공시 주로 사용잘못된 요청 구문이나 형식JSON 형식
Enumerating objects: 605, done.Git이 푸시할 객체(object) 개수를 세고 있음.총 605개의 객체(파일 변경 사항, 커밋 정보 등)를 찾아서 처리할 준비가 완료됨.Counting objects: 100% (605/605), done.푸시할
개발하다 보면 콘솔에 객체 데이터를 출력할 때 예상과 다르게 보일 때가 있다.특히, 브라우저 콘솔과 VS Code 터미널에서 다르게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를 정리해보았다.일반적으로 객체를 출력할 때 이렇게 작성한다.하지만 환경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브라우저 콘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이 로직은 프론트엔드에서 처리해야 할까, 백엔드에서 처리해야 할까?" 하는 고민에 빠지곤 합니다.오늘은 실제 사례를 통해 이러한 결정을 어떻게 내릴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사용자가 생성한 매치에 본인이 다시 참여 신청하는 것을 제한해야
엔드포인트는 API에서 특정 기능이나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고유한 URL이라고 생각하면 됨.웹 서비스나 API에서 클라이언트(예: 웹 브라우저나 모바일 앱)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정 주소라고 볼 수 있음.예를 들어:회원 정보 조회: GET /member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다 보면 이런 의문이 들 때가 있습니다."로그아웃은 그냥 로컬 스토리지에서 토큰만 지우면 되는 거 아닌가?"얼핏 보면 그렇게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서버에 로그아웃 요청을 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한 보안 절차입니다.로컬에서 토큰을 삭제해도, 해당
right: 0만으로는 원하는 정렬이 안되는 이유부모 요소에 position: relative 필요더 현대적이고 유연한 방식부모-자식 관계가 명확함text-align: right: 인라인 요소 정렬margin-left: auto: 블록 요소 오른쪽 정렬Grid 시스템
React Native로 앱을 개발하던 중 흥미로운 상황에 직면했습니다.매칭 목록 화면에서 사용자가 자신이 만든 매칭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하고 있었는데, 각 매칭의 hostId와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ID를 비교해야 했습니다.문제는 로그인 API 응답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간의 통신에서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습니다.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오는 응답은 JWT를 사용해 안전하게 암호화되어 있는데, 정작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보내는 로그인 요청은 왜 평문 비밀번호를 그대로 전송할까요?이러한 의문점을 시작으로, 안전한 로그인 시
HTTP 헤더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주고받는 메타데이터입니다.우리가 택배를 보낼 때 송장에 받는 사람 정보, 주의사항 등을 적는 것처럼, HTTP 통신에서도 부가 정보가 필요합니다.데이터의 형식을 알려주는 헤더서버에게 "이 데이터는 JSON 형식이에요" 라고 알려주는
최상위 도메인(TLD)이란?(- 주요 TLD 유형(- 많이 사용되는 TLD 목록(- 이메일 유효성 검사와 TLD(- 이메일 정규식 패턴 이해하기(최상위 도메인(Top-Level Domain, TLD)은 인터넷 도메인 이름 시스템의 가장 높은 계층에 있는 도메인으로,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