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팅
-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수많은 경로 중에서 한 가지 경로를 결정하는 기술
정적 라우팅
동적 라우팅
- 변화하는 상황에 맞추어 라우터가 경로를 재설정
라우팅 테이블
- 네트워크 상의 모든 라우터들은 목적지에 따라 패킷을 보낼 Interface를 선 계산 해야 하는데, 이를 계산해 정리해 놓은 테이블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 유지, 업데이트, 전달하는 프로토콜
구성
- 라우팅 테이블
- 패킷을 목적지로 라우팅할 때 참조하는 테이블
- 목적지 주소, Output Interface, Metric 값
- 메시지
- 라우터 간 라우팅을 위해 교환하는 메시지
- 이웃 도달 메시지, 라우팅 정보
- 메트릭(Metric)
- 라우팅 테이블 생성 및 업데이트 시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기술
- 경로 길이, 홉(Hop) 수, 대역폭, 비용, 신뢰성
라우팅 프로토콜 분류
정적 vs 동적
정적 라우팅
- 수동식, 사람이 일일이 경로 입력
- 라우터 부하를 줄인다 ↔️ 관리자의 관리부담 증가
- 고속 라우팅 가능
- 정해진 경로 문제 발생시 라우팅 불가
동적 라우팅
- 라우터가 스스로 라우팅 경로를 동적으로 결정
- RIP, IGRP, EIGRP, OSPF, BGP
내부 vs 외부
AS(Autonomous System)
- 일정규모의 한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
- 관리자의 관리하에 있는 라우터 집합
내부 라우팅(Interior Gateway Protocol)
- AS 내에서의 라우팅을 담당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 RIP, IGRP, OSPF, EIGRP
외부 라우팅(Exterior Gateway Protocol)
- 서로 다른 AS 사이에서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
- BGP
알고리즘(테이블 관리 방식)별 분류
Distance Vector 알고리즘
- 목적지까지 가는데 필요한 거리, 방향만을 인접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 (인접 라우터)
- RIP, IGRP, EIGRP, BGP
Link State 알고리즘
-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를 SPF(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을 통해 모든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 (모든 라우터)
- OSPF
주요 라우팅 프로토콜 비교
구분 | RIP | OSPF | BGP |
---|
알고리즘 | 거리값 기반 | 최소링크비용 | 거리값 기반 |
계산단위 | HOP단위 경로 | Area(연속된 망 집합) | AS(관리도메인) |
정보기록 | 라우팅 테이블 | LSA | 프리픽스목록 |
특징 | HOP 제한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 TCP 활용(서브넷 집합) |
정보수집 | 30초 주기 | 필요시 변경 정보 수집 | 필요시 변경 정보 수집 |
적용규모 | 소규모 | 대규모망(도메인내) | 대규모망(도메인간) |
reference
https://needjarvis.tistory.com/159
https://mindstation.tistory.com/172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nackji80&logNo=221431942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