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React Native)과 React의 작업 방법은 대부분 비슷했다.
React를 공부하지 않고 RN을 바로 공부해도 되겠다 생각하기도 했다. (물론 React기본기를 익히면 훨씬 수월 하다)
RN 홈페이지 를 기준으로 기본적인 컴포넌트 사용법을 테스트 후, 할일 목록(Todo List)을 만들면서 생긴 이슈 및 해결법들을 순서대로 포스팅 하겠다.
RN의 코어 컴포넌트 중,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게 될 컴포넌트는 아래 5종류다.
(RN의 코어 컴포넌트는 RN Core Component를 참고하면 볼 수 있다.)
<View />
<Text />
<ScrollView />
<TextInput />
<Image />
Web으로 생각하면 div
태그다.
그래서, 레이아웃을 잡을때 이 녀석으로 한번 감싸면 된다.
div
태그도 만들었으니 안에 글을 써보자.
이러면 바로 빨간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RN은 일반 웹과 달리 텍스트를 작성하려면 Text
태그 안에 작성해야 한다.
웹에선 Div
의 높이를 지정하고, 내부의 content의 높이가 더 크다면 자동으로 스크롤이 생긴다.
RN에선 ScrollView
, FlatList
등의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스크롤 영역을 생성한다.
RN에서 사용자로부터 값을 받아야 할땐 TextInput
을 사용한다.
또한, React에선 Input
태그의 Value를 변경하고 해당 값을 가지고 오려면 useState()
를 사용해 빈 상태값을 생성후,Input
에 onChange
메소드를 이용해 Input
에 변화가 생길 때 마다 값을 갱신시켜준다.
TextInput
에는 onChangeText
메소드가 있어 별다른 작업 없이 Value
를 얻을 수 있었다.
(물론 onChange 메소드도 있다)
이미지 태그는 src
가 아닌 source
를 사용한다.
실제로 설명한 내용을 이용해 할일 목록(Todo List)를 만들었다.
이렇게 기본만 이야기하다보면 지루해 간단히 설명했고, Todo List를 만들며 RN에서 CRUD를 경험한 내용을 순서대로 포스팅 할 예정이다.
(코드를 정리 후 포스팅 예정)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