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머가 만료되면 함수 또는 지정된 코드 조각을 실행하는 타이머를 설정한다.
일정 시간 뒤에 원하는 동작을 할 때 사용한다.
setTimeout(code, delay, params1,..)
// code 안에는 함수도 전달할 수 있다.
// delay는 ms 단위로 입력한다.
// params는 가변인자로, 첫번째 인자로 넘어온 함수가 인자를 받는 경우, 이 함수에 넘길 인자를 명시해주기 위해서 사용한다.
// ex) setTimeout(add, 2000, 3, 4);
Timeout ID라고 불리는 숫자를 반환한다.
이 아이디는 setTimeout() 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내부적으로 생성되는 타이머 객체를 가리키고 있다. 이 값을 인자로 clearTimeout() 함수를 호출하면 기다렸다가 실행될 코드를 취소할 수 있다.
이 메서드는 이전에 설정한 시간 제한을 취소한다.
setTimeout() 를 취소하는 역할을 한다.
// 아래와 같은 형태로 사용한다.
clearTimeout(timeoutID)
// 사용 예시
function timer() {
console.log('3초 뒤에 호출될 코드입니다.');
}
let timeoutID = setTimeout(timer, 3000);
clearTimeout(timeoutID);
사용 예시의 코드를 실행하면 '3초 뒤에 호출될 코드입니다.'가 출력되지 않는다. 왜냐면 clearTimeout 메서드로 인해 3초뒤에 실행 할 것을 취소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