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I Learned#3

Pang·2021년 2월 28일
0

Today I Learned

목록 보기
3/4
post-thumbnail

For 반복문

for 변수 in 컨테이너 :
----<(띄어쓰기 4개나 Tap키의 여백 필요) 실행할 명령
으로 반복문을 사용한다.

※주의할 점
띄어쓰기나 Tap 둘중에 하나로 통일시켜야 한다.

Range( )

range(0, 3) #0부터 2까지 출력
range(2) #0부터 1까지 출력
range(2, 5) #3부터 4까지 출력

맨 위부터 range(0, 3), range(0, 2), range(2, 5)
이라고 뜨지만 for문과 합치면

for a in range(0, 3):
	print(a)

->
0
1
2
라는 값이 출력된다.

For 중복

for문 안에 다른 for문을 넣어서 더 다양한 값을 쉽게 출력할 수 있다.

구구단 만들기

for a in range(1, 10):
	for b in range(1, 10):
		print('{}x{}={}'.format(a, b, a*b))

->
1 x 1 = 1 . . . 1 x 9 = 9
.
.
.
9 x 1 = 9 . . . 9 x 9 = 81
모든 구구단 값이 출력된다.

Comprehension

긴 조건문을 효율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for문을 이용하여 홀수를 찾아내는 코드를 구성하려면

num = [1,2,3,4,5,6,7,8,9,10]
num2 = []
for number in num :
	if number % 2 == 1 :
		num2.append(number)
        
print(num2)

-> [1, 3, 5, 7 ,9] 홀 수 를 뽑아낼 수 있지만

[number for number in range(1,11) if number % 2 == 1]

-> [1, 3, 5, 7 ,9]

이렇게 한 줄로 똑같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응용하여

1~30 수 중에서 피타고라스 공식이 성립하는 수들의 조합 찾기

[(x, y, z) for x in range(1, 31) for y in range(1, 31) for z in range(1, 31) 
if x**2 + y**2 == z**2]

->[(3, 4, 5), (4, 3, 5), (5, 12, 13), (6, 8, 10), (7, 24, 25), (8, 6, 10), (8, 15, 17), (9, 12, 15), (10, 24, 26), (12, 5, 13), (12, 9, 15), (12, 16, 20), (15, 8, 17), (15, 20, 25), (16, 12, 20), (18, 24, 30), (20, 15, 25), (20, 21, 29), (21, 20, 29), (24, 7, 25), (24, 10, 26), (24, 18, 30)]

이렇게 출력할 수 있다.

Arithemtic (산술연산자)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나머지
** 제곱
// 몫

Operator (연산자)

Assign (할당 연산자)

= : 변수 = 값 우측에 있는 값을 좌측에 있는 변수에 넣는다.

+= : 복합 할당 연산자 a = a + 1 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 -=, *= 모두 같은 형식으로 쓰인다.

문자열 연산자

'팡' + '임'

->
'팡임'

'팡임' * 2

->
'팡임팡임'

비교 연산자

x == y는 x와 y의 값이 같은 지 묻는 것이다.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

x != y는 위에와 반대 값이 다른 지 묻는 것. 같으면 False 다르면 True

>, <, >=, <= 도 같은 맥락 큰지 작은지 크거나 같은지 묻는 것.

논리 연산자

and : x and y 양쪽 값이 둘 다 참이여야 True 나머지는 False

or : 둘 중에 하나만 참이여도 True

not : 반대 - True면 False 값이 False면 True

Membership 연산자

주로 문자에 쓰인다

x in y : y안에 x가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

ex)

name = ['팡임', '푸야']
'푸야' in name

->True

x not in y : y안에 x가 있으면 False 없으면 True

ex)

name = ['팡임', '푸야']
'푸야' not in name

-> False

profile
팡 화이토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