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 있는 네트워크 관련 글들을 읽고 정리해본 글입니다. 잘못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OSI_모형
"OSI 모형(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SI 7 계층이라고 한다."
출처: 위키백과
먼저 계층을 나눈 모습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계층을 나누는 목적은 아래 문장을 먼저 생각하고 뒤에서 더 설명하겠습니다.
Layer | Description |
---|---|
Application | 최종 목적지에 해당하는 계층으로 여러 프로토콜이 존재합니다. 흔히 사용하는 브라우저, 메일 등이 이 계층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
Presentation | 데이터 형식 차이 등 코드 번역을 위한 계층입니다. MIME 인코딩, 암호화와 같은 동작이 이뤄지는 계층입니다. |
Session | 데이터 통신을 위한 논리적 연결입니다. 창구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양 끝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할 수 있도록 그에 대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전송 단위는 세그먼트입니다. |
Transport | 양 끝의 사용자가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줍니다. |
Network | IP 주소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전송 단위는 패킷입니다. 라우팅 장비를 통해 사설 네트워크 내 연결되어 있는 기기 간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습니다. 공유기를 생각하면 쉽습니다. 개인적으로 위키백과 설명이 잘 와닿기 때문에 해당 내용을 아래에 남기겠습니다. |
DataLink | 물리주소 MAC가 이 계층에 해당하며, 포인트 투 포인트 사이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합니다. 전송 단위는 프레임입니다. |
Physical | 통신 케이블, 허브 등 통신 장비에 해당합니다. 비트 단위로 수신, 전달합니다. |
아래는 위키백과의 네트워크 계층 설명입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OSI_모형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은 여러개의 노드를 거칠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으로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달하고, 그 과정에서 전송 계층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QoS)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
출처: 위키백과
이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으로 아래 두 가지를 먼저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에서 설명한 OSI 7계층의 목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OSI_모형
"이 모델은 프로토콜을 기능별로 나눈 것이다.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만을 이용하고,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한다. '프로토콜 스택' 혹은 '스택'은 이러한 계층들로 구성되는 프로토콜 시스템이 구현된 시스템을 가리키는데, 프로토콜 스택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둘의 혼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위 계층들은 하드웨어로, 상위 계층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
출처: 위키백과
위키백과의 설명 중 정의와 목적은 충분한 설명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직접 유추해봐야 합니다.
위 내용으로 설명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앞서 설명한 내용은 추상적이기 때문에 구체화된 설명이 필요합니다. 내용을 작성하던 중 잠시 TCP/IP 관련 책에 나오는 계층 설명을 보려고 했는데, 각 계층은 프로토콜의 집합임을 알 수 있는 그림이 있습니다. 각 계층별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아래처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애플리케이션 계층: HTTP, HTTPS, POP3, SMTP, FTP, Telnet, SSH, SMB, DHCP, DNS, SSL
- 트랜스포트 계층: TCP, UDP
- 인터넷 계층: IP, ICMP, IPsec
- 네트워크: ARP, 이더넷, PPP
출처: 'TCP/IP 쉽게, 더 쉽게'
개인적으로 이해하는 바로는 OSI 7 계층이란 네트워크 통신에서 흐름을 갖는 단계를 순서에 따라 층으로 나타내고, 각 층에 프로토콜이 담겨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흐름과 동시에 각 층은 프로토콜의 집합인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