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한해 동안에 많은 일들이 있었고 그 과정에서 배운점들이 많았습니다. 그것에 비례해 아쉬운 것들도 많았는데 2025년에도는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회고록을 작성하려 합니다.
개발자라는 길을 선택했을 때 기술블로그를 작성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던 것들 중에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많은 분들이 회고록을 작성하며 좋았던 점과 아쉬운 점을 정리하여 성장에 필요한 계획을 세우는 것이였습니다.
지금까지 되돌아 보았을 때 성실한 블로그 포스팅은 하지 못하였지만 올해에는 양질의 블로그를 만든다는 각오를 다지며 작성해보겠습니다
작년 입사 후 처음 맞게 된 AI 프로젝트를 2024년 11월에 마무리하였다.
내가 맡아 진행하였던 프로젝트는 수처리 분야의 AI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으로 결론만 말한다면 어려움도 많았지만 기간내에 잘 해결하였다. 산업 현장에서의 AI 프로젝트 성공 경험은 되돌아 봤을 때 좋은 경험이였다고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아직은 제조업과 같은 산업현장에서는 AI를 접목한 프로그램이 흔하지는 않고 수처리 분야는 실제로 적용되는 케이스가 처음이기도 하였다.
최근들어 LLM을 기반으로 많은 AI 서비스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을 하고 있고 그에 맞는 수요와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로 인해 LLM 이외에 분야들도 많은 기회들이 생겨나고 있다. 현재 재직중인 회사는 주로 자동화 관련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곳이지만 지금까지 도전하지 못한 산업분야에 AI를 접목한다는 아이디어로 사업을 수주하는 경우가 많아져 여러 지원을 지원받는 팀이 되고 있다.
다시 돌아와 이번 프로젝트에서의 경험은 산업 현장에서의 사용자들은 부정적인 태도를 보여주시는 경우가 많았다. 그분들의 입장에서는 지금까지 잘하고 있던 업무들인데 굳이 AI라고 하는 잘모르는 시스템을 적용한다고 하니 신뢰도 안가고 번거로운 업무라는 생각을 하셨던거 같다.
그리고 무엇보다 안정성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하셨다. 나 또한 업무를 진행하며 최대한 안정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을 하였고 초기 아이디어에서 현장 사람들의 피드백을 수용하며 많은 수정을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는 AI가 모든 것을 대체해주는 것이 아닌 사용자들의 편리함을 위한 방향으로 완성하였고 근무자들의 평가는 해당 지역의 설비 특성상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하여 기대 안하였지만 굉장히 만족하며 사용해 주신다고 하였다.
2024년에는 정보처리기사, ADsP, SQLD 등의 자격증을 취득하였고 2025년에는 ADP를 목표로 하고 있다.
AI 개발 업무를 진행하면서 느꼈던 것들은 아쉬웠던 부분들은 나의 역량을 조금 더 키워야한다는 생각이다. 내가 아는 만큼 업무의 진행속도가 달라지며 내가 이해하는 만큼 결과물의 퀼리티 또한 달라지는 것을 알고리즘을 수정하며 느겼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직장을 다니며 AI 특수대학원에 진학하여 이론 공부를 하며 기초를 탄탄하게 하고 연구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총 4군데의 대학원에 지원하였지만 아쉽게도 모든 곳에서 불합격 통보를 받았다.
준비를 제대로 못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고 현업을 하고 있다는 생각에 방심하였다.
그리고 어떠한 개념을 설명한다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것이며, 설명하는 것은 대충 아는 지식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느꼈다. 또한 질문에 대해 잘모르는 개념이라는 핑계를 대지 않더라도 두서없이 설명하는 내자신을 보았다. 앞으로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라도 이러한 역량을 충분히 보충할 필요가 있다고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