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R vs. CSR

박다솔·2021년 9월 28일
0

기술 면접

목록 보기
2/10

Rendering

웹페이지 접속 시, 페이지를 화면에 그려주는 것

SSR(Server Side Rendering)

클라이언트 측 또는 유니버설 앱을 서버의 HTML로 렌더링
완성된 HTML을 서버에서 그려서 클라이언트로 렌더링 하는 것
SSR은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줄 페이지를 모두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페이지를 보여주는 방식이다.

  • 초기 화면 로드, 첫 렌더링의 시간이 짧다.
  • 서버를 이용해서 페이지를 구성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에서 구성하는 CSR(client-side rendering)보다 페이지를 구성하는 속도는 늦어진다.
  •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를 쉽게 구성 할 수 있다.
  • SSR을 사용하면 프런트엔드 영역과 백엔드 영역을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CSR(Client Side Rendering)

브라우저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렌더링. 일반적으로 DOM을 사용.

  • 페이지, JavaScript를 읽고 화면에 그려야하므로 전체적인 페이지 완료 시점이 SSR보다 느려진다.
  •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필요한 부분만 필요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서 추가로 요청하여 재구성하므로 렌더링 속도가 빠르다.

Reference

렌더링이란?
웹 렌더링
어서 와, SSR은 처음이지?
SSR, CSR 차이

profile
매일 성장하는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