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질의응답과정 or 클라이언트끼리의 응답과정
- 인터넷은 서로 상호연결되어 있고 이런 구조를 네트워크라고 부름
- 다양한 네트워크가 등장함에 따라 TCP/IP(인터넷을 사용하면서 따라야 하는 규칙)가 등장
- 네트워크를 구상할 때 참조하기 위한 모델이 OSI 7 Layer이고 이 모델을 따르지 않을 경우 다른 일반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보장할 수 없음.
- OSI는 Open System Interconnection으로 개방형 시스템 상호 연결이라는 뜻, 즉 설계나 동작원리 공개되어 있고, 보편적으로 인정받거나 표준화된 시스템을 상호 연결하는 것
- 통신 과정을 7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지만, 실제 통신은 TCP/IP Protocol Suite 이라는 4단계로 통신을 하게 된다.
OSI 7 Layer를 나누는 이유
- OSI 의 단계를 7 Layer 의 단계별로 표준화하여 그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사용하게 되었다.
- 각 계층의 구간별로 데이터의 움직임 쉽게 파악하고,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 하기 쉽다.
- 통신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를 추적해 해결하기 쉽다.
OSI 7계층
- 7계층 Application :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입력하고 가공할 수 있다.
- 6계층 Presentation : 데이터 표현방법인 인코딩, 암호화, 압축 등을 할 수 있다.
- 5계층 Session : 연결을 관장함. 논리적인 통신회선의 생성, 유지, 종류, 관리를 담당.
- 4계층 Trnasport : 받을 대상을 명시해야함. 포트번호를 이용.
- 3계층 Network : 데이터가 어느 경로를 통해 이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경로 설정 및 IP(데이터 도착지) 지정
- 2계층 Data Link : MAC(매체 접근 제어) 주소를 이용해 .
- 1계층 Physical : 디지털 신호를 전기신호로 전송.
- Encapsulation : 각각의 과정을 내려오면서 데이터를 합치는 과정.
- Decapsulation : 수신측에서 확인하는 절차들
Reference
그림으로 배우는 네트워크 이야기 [OSI 7 Layer/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