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베이스 개요1-1. 자료(Data)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한 단순한 사실이나 값1-2. 정보(Information)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형태자료를 가공(처리)해서 얻을 수 있는 결과를 의미1-3. 데이터베이스어느 한 조직체
SQL문1-1. 기능에 따른 분류데이터 정의어(DDL) \-> Data Definition Language \-> 테이블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구조를 생성하거나 수정 또는 제거 \-> Create, Alter, Drop, Rename, Truncate데이터 조작어(
DBMS 설치1-1. DBMS 설치확인 명령어 sqlplus system/12341-2. hr 계정 lock 풀어주기1-3. hr 계정 password 세팅 및 접속 권한 주기alter user hr identified by 1234;grant connect, reso
SELECT EMPLOYEE_ID , FIRST_NAME , LAST_NAME , EMAIL FROM EMPLOYEES e ;\-- 조건 where\-- 문자열은 '(홑따옴표)로 감싼다SELECT EMPLOYEE_ID , FIRST_NAME FROM
SELECT \* FROM EMPLOYEES e ;SELECT EMPLOYEE_ID , FIRST_NAME , LAST_NAME FROM EMPLOYEESWHERE LAST_NAME = 'Smith'AND FIRST_NAME = 'William';employee
LAST_NAME 첫 글자가 A 인 사원들의 LAST_NAME 을 조회한다.매니저가 없는 사람들의 LAST_NAME 및 JOB_ID 를 조회한다.커미션을 버는 모든 사원들의 LAST_ANME, 연봉 및 커미션을 조회한다. 연봉 역순 정렬한다.\-- concat(char
having절where 절에서는 집계함수를 사용할 수 없다.having절은 집계함수를 가지고 조건비교를 할 때 사용된다.group by 절과 많이 쓰인다.\-- HAVING\-- where 절에서는 집계함수를 사용할 수 없다.\-- having절은 집계함수를 가지고 조
1\. Join 조인1-1. 조인이란?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서로 연결해서 데이터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두 개의 테이블을 마치 하나의 테이블인 것처럼 보여주는 것이다.1-2. 조인의 기본 사용 방법두 개의 테이블에 하나라도 같은 컬럼이 있어야 한다.두 컬럼의
1\. join1-1. left outer join왼쪽 테이블이 기준이 된다.조인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가 조인 당하는 테이블에 있으면 해당 데이터를, 부재하면 Null로 select 된다.1-2. right outer join오른쪽 테이블이 기준이 된다.조인 조건에
1\. join1-1. left outer join왼쪽 테이블이 기준이 된다.조인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가 조인 당하는 테이블에 있으면 해당 데이터를, 부재하면 Null로 select 된다.1-2. right outer join오른쪽 테이블이 기준이 된다.조인 조건에
서브쿼리(SubQuery)MainQuery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름을 붙인 거메인쿼리를 구성하는 소단위 쿼리Select, Insert, Delete, Update절에서 모두 사용 가능서브쿼리의 결과 집합을ㄹ 메인쿼리가 중간 결과값으로 사용서브쿼리 자체는 일반쿼리와 다를
Oracle date type1-1. 데이터 타입데이터 타입이란 컬럼이 저장되는 데이터 유형을 말한다. 기본 데이터 타입은 문자형, 실수, 소수 자료형 등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타입이다.1-2. 문자 데이터 타입1-3. 고정 길이 vs 가변 길이가변 길이란, 실제 입력된
1\. DDL(Data Definition Language)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하기 위한 테이블 생성, 삭제 같은 명령어create : 테이블 생성drop : 테이블 삭제alter : 테이블 수정truncate : 테이블에 있는 모든 데이터 삭제
1\. COMMIT & ROLLBACK1-1. COMMIT모든 작업을 정상적으로 처리하겠다고 확정하는 명령어이다.트랜잭션의 처리 과정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기 위해서, 변경된 내용을 모두 영구저장한다.COMMIT을 수행하면 하나의 트랜잭션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TRAN
1\. 데이터 제어어(DCL)사용자에게 권한을 생성 혹은 권한 삭제 같은 명령어grant : 권한 생성revoke : 권한 삭제
1\. 컬럼 속성(무결성 제약조건)not null : 널 값이 입력되지 못하게 하는 조건unique : 중복된 값이 입력되지 못하게 하는 조건check : 주어진 값만 허용하는 조건 primary key : not null + unique + i
1\. 뷰(view)1-1. 뷰란?하나의 가상 테이블이라고 생각하면 된다.작업을 하다보면 자주 조회하는 데이터들이 있다. 한 테이블에 데이터가 있으면 조회하기 편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여러 테이블을 join하여 가져오고 쿼리가 복잡한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1\. 시퀀스(Sequence)1-1. 시퀀스란?연속적인 번호를 만들어주는 기능시퀀스란 자동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순번을 반환하는 데이터베이스 객체다.보통 PK값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예를 들어 게시판에 글이 하나 추가될 때마다 글 번호(PK)가 생겨야
1\. index 1-1. 인덱스란조회 속도를 향상시킥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검색 기술색인이라는 뜻으로 해당 테이블의 조회 결과를 빠르게 하기 위해 사용한다.즉, 인덱스가 필요한 이유는 인덱스를 생성해 줌으로써 조회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1-2. 인덱스의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