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ch1 데이터의 시대

박소미·2023년 9월 24일
0

DB

목록 보기
1/14

1.1 데이터의 시대

데이터 시대(age of data)란 많은 양의 데이터가 수집, 저장되고 이 데이터가 산업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문화 등 인간의 삶 전 영역에서 활용되고 영향을 미치는 시대를 말한다.

1.2 4차 산업혁명과 데이터

4차 산업혁명의 시대란 '디지털 혁명에 기반하여 물리적 공간, 디지털적 공간 및 생물학적 공간의 경계가 희석되는 기술융합의 시대'를 의미한다.

  • 데이터(data)와 정보(information)
    데이터: 특정 주제에 대한 값(value)들을 체계적으로 모아 놓은 것
    정보: 수집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얻은 지식

1.3 데이터베이스의 등장 배경과 역사

  1. 파일을 이용하는 데이터 처리의 문제
  • 데이터 종속성: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로그램이 데이터의 구조 변화에 영향을 받는 현상

  • 데이터 무결성의 침해: 오류가 없는 정확한 값을 저장하고 있어야 함

  • 데이터 중복성과 데이터 불일치: 중복된 데이터의 내용이 서로 달라 발생하는 문제를 데이터 불일치라고 함 ex)이사 했는데 우편물이 이전 주소지로 배달

  • 데이터 표준화의 어려움: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으면 제 3자가 프로그램을 이해하기 어렵고 응용프로그램 간의 호환성 문제가 생길 수 있음

  1. 데이터베이스의 등장

    데이터베이스: 관리하고자 하는 데이터들을 한곳에 체계적으로 모아 놓은 것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 내의 파일에 직접 접근할 수 없고 DBMS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접근 가능

    ✅데이터베이스, DBMS,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차이점 기억하기
    데이터베이스: 개별 데이터 파일들을 하나로 모아놓은 데이터 덩어리
    DBMS: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와 DBM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하고 처리하는 체계

📌연습문제

  1. 많은 양의 데이터가 수집, 저장되고 이 데이터가 산업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문화 등 인간의 삶 전 영역에서 활용되고 영향을 미치는 시대를
    데이터 시대라고 한다.

  2. 디지털 혁명에 기반하여 물리적 공간, 디지털적 공간 및 생물학적 공간의 경계가 희석되는 기술융합의 시대를 4차 산업혁명의 시대라고 한다.

  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요 기술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 (4) 인터넷

  4. 데이터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관련된 기술들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 원료의 역할을 하고 있다.

  5. 데이터 경제란 데이터의 활용이 경제활동의 중요한 생산요소로 사용되는 경제구조를 뜻한다.

  6. 관리하고자 하는 데이터들을 한곳에 체계적으로 모아 놓은 것을 데이터베이스라고 하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를 DBMS라고 한다.

  7. 나이를 입력하는 항목에 580이 저장되었다. - 데이터 무결성의 침해

  8. 사원에 대한 정보가 영업부서에도 저장되어 있고 회계부서에도 저장되어 있다. - 데이터 중복성

  9. 데이터가 저장된 파일의 구조가 바뀌면 그 파일을 이용하는 프로그램도 바뀌어야 한다. - 데이터 종속성

  10. 서버에 저장된 사원 데이터를 보조기억장치에 복사하여 외부로 유출하였다. -데이터 보안성의 결여

  11. 교무처에 저장된 A학생의 주소와 고객만족센터에 저장된 A학생의 주소가 다르다. - 데이터 불일치

  1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 응용프로그램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직접 읽을 수 있다.

📖 DB 입문자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기초와 SQL - 생능출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