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ig

박태영·2024년 6월 13일
0

git

목록 보기
16/44

git config

  • git의 설정을 관리하는데 쓰이는 명령어

  • git config --global <key> [value] 형식으로 사용되고 key만 주게 되면 값의 확인을,value까지 주게 되면 해당 key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 --global옵션을 주게되면 전역 설정을 할 수 있다.
    • git config user.name test 를 입력하면 해당 git 프로젝트 안에선 test지만 --global 을 입력한 전역 설정을 부르면 전역 설정된 값이 나오게 된다.
  1. git config [--global] --list 설정값 리스트 보기
  2. git config -e 를 입력하면 에디터로 설정 값을 수정 할 수 있다.
    • ℹ️ 기본 에디터를 VScode로 바꾸려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code --wait"
      • --wait :editor 수정하는동안 cli 정지

기타 유용한 전역 설정들

  1. mac과 windows의 enter 호환 설정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윈도우: true / 맥: input)
    • mac과 windows의 enter읽는 방법이 달라 경우에 따라 변화가 없는데 줄바꿈 때문에 다르게 인식할 수 있는 경우를 막는 설정
  2. git pull 이용할때 기본 설정을 rebase로 할지 no-rebase로 할지 설정하기
    • git config pull.rebase false|true
  3. 최초 push할때 원격 브랜치 명을 로컬 브랜치와 동일하게 하기
    • git config --global push.default current
  4. 단축키 설정하기
    • git config --global alias.(단축키) "명령어"
    • ex) git config --global alias.rh 'reset --hard'
      • rh가 reset --hard의 단축키가 됨
profile
어른 아이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