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테스트 위한 Python 기본 문법 정리

jinhan han·2024년 8월 13일
0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실수 표현 정확도 한계 0.3 + 0.6=0.899..

a = 0.3 + 0.6  ## a결과 0.8999
if a == 0.9: 
  print(True)
else:
  print(False)  # 결과 : False

해결 방법 : round(수, 표시 소수 자리 수) 반올림 권장
함수(변수) 형태는-> 변수 = 함수(변수) 형태로 할당해야 변수값 변경됨

a = round(0.3 + 0.6, 1) # 0.9

str, list, tuple, dict, set

--- str ---

생성 = "Hello" - or - 'world' - or - str(123)

인덱싱, 슬라이싱 가능
특정 인덱스 값 변경 불가 (immutable)

변환

문자열을 리스트로 변환
list_from_str = list("Hello")

문자열을 튜플로 변환
tuple_from_str = tuple("Hello")

문자열을 집합으로 변환 (중복 제거)
set_from_str = set("Hello")

--- list ---

생성 = [1, 2, 3] - or - list( [1, 2, 3] )

  • 인덱싱, 슬라이싱 가능 (순서가 있음)
  • 원소 중복 가능
  • 특정 인덱스 값 변경 가능 (mutable)
  • 원소 추가(append, insert) 제거(remove) 가능

변환

리스트를 문자열로 변환
str_from_list = ''.join(['a', 'b', 'c'])

리스트를 튜플로 변환
tuple_from_list = tuple([1, 2, 3])

리스트를 집합으로 변환
set_from_list = set([1, 2, 2, 3])

리스트를 dict로 변환

dict_from_list = {i: list_data[i] for i in range(len(list_data))} 
# {0: 'a', 1: 'b', 2: 'c'}

--- tuple ---

생성 = (1, 2, 3) - or - tuple((1, 2, 3))

  • 인덱싱, 슬라이싱 가능 (순서가 있음)
  • 원소 중복 가능
  • 특정 인덱스 값(=한번 선언된 값) 변경 불가 (immutable)
  • 원소 추가(append, insert) 제거(remove) 불가

변환

튜플을 문자열로 변환
str_from_tuple = ''.join( ('a', 'b', 'c') )

튜플을 리스트로 변환
list_from_tuple = list( (1, 2, 3) )

튜플을 집합으로 변환
set_from_tuple = set( (1, 2, 2, 3) )

튜플을 dict로 변환

dict_from_tuple = {i: tuple_data[i] for i in range(len(tuple_data))}
# {0: 'a', 1: 'b', 2: 'c'}

--- dict ---

생성 = {'name': 'Min', 'age': 12} - or - dict({'name': 'Min', 'age': 12}) - or - dict(a=1, b=2, c=3) - or - dict( [ ('a', 1), ('b', 2), ('c', 3) ] )

  • 'key' : 'value'의 쌍을 데이터로 갖는 자료형
  • 인덱싱 불가 (순서가 없음)
  • 'key'는 중복 불가. 중복 시 뒤에 선언된 값 사용
  • dict 원소 추가, 삭제 가능
  • 'key'값으로 'value'값 조회, 수정 O(1) → 리스트보다 성능이 좋음
  • 키와 값의 자료형 모두 통일하지 않아도 되고 섞어서 사용 가능

--- set ---

생성 = set([1, 2, 2, 3]) - or - {1, 2, 3} - or - s = set() → 빈 중괄호 {}는 dict 클래스가 생성되므로 주의

  • 인덱싱 불가 (순서가 없음) → for i in s 로 출력해보면 어떤 값이 먼저 나올지 모름
  • 원소 중복 불가 (key 값)
  • 원소 추가, 제거, 조회 가능
  • 원소로 조회 O(1)
  • default가 오름차순 정렬

변환

집합을 문자열로 변환
str_from_set = ''.join(set(['a', 'b', 'c']))

집합을 리스트로 변환
list_from_set = list({1, 2, 3})

집합을 튜플로 변환
tuple_from_set = tuple({1, 2, 3})

--- list 2개를 key, value로 하여 dictionary 생성 ---

key = ['Alex', 'Jess', 'Dilan', 'Mei', 'Teddy']
value = [80, 90, 95, 67, 88]
key_val = [key, value]   ##2중 어레이[['Alex', 'Jess', 'Dilan', 'Mei', 'Teddy'], [80, 90, 95, 67, 88]]
##zip(*변수)로 unzip을 하여 dict로 변환
landmark_dict = dict(zip(*key_val))

출력 결과

{'Alex': 80, 'Jess': 90, 'Dilan': 95, 'Mei': 67, 'Teddy': 88}

--- dictionary를 list 2개 key, value로 생성 ---

my_dict = {'a': 1, 'b': 2, 'c': 3}
keys = list(my_dict.keys())
values = list(my_dict.values())

출력 결과

print(keys)   # ['a', 'b', 'c']
print(values) # [1, 2, 3]

--- dictionary를 zip(*)을 활용하여 list 2개 key, value로 생성 ---

keys, values = zip(*my_dict.items()) # zip으로 생성된 결과는 튜플이므로 list로 변환
keys = list(keys)
values = list(values)
print(keys)   #['a', 'b', 'c']
print(values) #[1, 2, 3]

--- 리스트 컴프리핸션을 이용하여 변환 ---

	my_dict = {'a': 1, 'b': 2, 'c': 3}
	keys = [k for k in my_dict.keys()]
	values = [v for v in my_dict.values()]
	print(keys)   # ['a', 'b', 'c']
	print(values) # [1, 2, 3]

문자열 (str)

문자열 내장함수

▶ lower ▶ upper

s = "HapPineSS"
#소문자 casting된 문자열 반환
s=s.lower()  # happiness
s=s.upper() # HAPPINESS

▶ find ▶ count

# "s"가 위치한 index 찾기
# 여러 개일 경우 가장 앞쪽 index
print(s.find("s")) # 7
# 문자열 내의 "s"의 개수
print(s.count("s")) # 2

▶ replace ▶ split

#문자 변환
s = "Hello, World!"
s_new = s.replace("World", "Python")  # "Hello, Python!"
#주어진 문자열을 쉼표로 분할하여 리스트로 변환
s = "apple,orange,banana"
words = s.split('orange')  ##['apple', 'orange', 'banana']

문자열 2개 연결하기

a = "ABC" + "DEF"
b = "Hello"
c = "World"
print(a) # ABCDEF
print(b + " " + c) # Hello World

리스트(list)

▶ 빈 리스트 생성 ▶ 리스트 2개 연결

arr1 = []
arr2 = list() #2가지 모두 빈 리스트가 생성된다.
arr1 = [1, 2]
arr2 = [3, 4, 5]
arr = arr1 + arr2 # [1, 2, 3, 4, 5]

▶ 리스트 생성과 동시에 초기화 ▶ append

arr = []
for i in range(1,11):
    arr.append(i)
print(arr) # [1, 2, 3, 4, 5, 6, 7, 8, 9, 10] 생성
arr2 = list(range(1, 11))
print(arr2) # [1, 2, 3, 4, 5, 6, 7, 8, 9, 10] 생성

▶ insert

# arr.insert(i, v) : i번 인덱스에 v 추가
arr.insert(3, 7) # [1, 2, 3, 7, 4, 5, 6, 7, 8, 9, 10]

▶ pop ▶ remove ▶ del

##### arr1.pop() : 마지막 원소 꺼내기 (꺼낸 값 반환)
##### arr1.pop(i) : i번 인덱스 값 꺼내기 (꺼낸 값 반환)
##### arr.pop() : 마지막 원소 꺼내기 (꺼낸 값 반환)
##### arr.pop(i) : i번 인덱스 값 꺼내기 (꺼낸 값 반환)
print(arr.pop()) # 10
print(arr) # [1, 2, 3, 7, 4, 5, 6, 7, 8, 9]
print(arr.pop(3)) # 7
print(arr) # [1, 2, 3, 4, 5, 6, 7, 8, 9]
##### arr1.remove(v) : v 값을 찾아서 제거
##### 없는 값을 제거할 경우 ValueError: list.remove(x): x not in list 에러 발생
arr.remove(5) # [1, 2, 3, 4, 6, 7, 8, 9]
print(arr)
del arr[6]   # 6번 (7번째) index 원소 삭제
print(arr) # [1, 2, 3, 4, 6, 7, 9]

▶ index ▶ min, max, sum

print(arr.index(7)) # 5  7이라는 값의 인덱스 순서
print(sum(arr)) # a의 모든 원소의 합 32
print(max(arr)) # a의 원소 중 최대 값 9
print(min(arr)) # a의 원소 중 최소 값 1

▶ sort ▶ reverse

a = [1, 3, 2, 7, 5] # 원본 리스트 정렬 (리스트 a 자체 정렬)
a.sort() # 오름차순 [1, 2, 3, 5, 7]
a.sort(reverse=True) # 내림차순 [7, 5, 3, 2, 1]
##### 정렬된 새로운 리스트 반환 (리스트 a는 원본 유지, 정렬된 리스트 b로 반환)
a = [1, 3, 2, 7, 5]
b = sorted(a)
c = sorted(a, reverse=True) # 내림차순
print(a) # [1, 3, 2, 7, 5]
print(b) # [1, 2, 3, 5, 7]
print(c) # [7, 5, 3, 2, 1]
a = [1, 3, 2, 7, 5] #### 리스트 원소 순서 뒤집기
a.reverse() # [5, 7, 2, 3, 1]

▶ clear

a.clear() # 빈 리스트로 만들기

리스트 활용하기

▶ len

a = [1, 2, 3, 4]
len(a) # 리스트 원소의 개수 출력. 4
for i in range(len(a)):
  print(a[i])
for x in a:
  print(x)

▶ enumerate

a = [12, 19, 34, 21, 50]
for x in enumerate(a):
  print(x) # (0, 12)\n (1, 19)\n ... (4, 50)\n 튜플로 출력
for x in enumerate(a):
  print(x[0], x[1]) # 0 12\n 1 19\n ... 4 50\n 
for i, val in enumerate(a):
  print(i, val) # 0 12\n 1 19\n ... 4 50\n

▶ all, any

a = [11, 12, 42, 38, 7] ## all(iterable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등)
## 모든 요소가 참이면 True, 하나라도 거짓이면 False
a = [11, 12, 42, 38, 7]
if all(60 > x for x in a):
  print("모든 원소가 60 미만입니다.") ## all(iterable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등)
## 요소가 하나라도 참이면 True, 전부 거짓이면 False
if any(10 > x for x in a):
  print("20미만인 원소가 존재합니다.")

2차원 리스트

▶2차원 리스트 초기화

# N*M 2차원 리스트 초기화 할 때 (세로 N & 가로 M)
n = 5  # 세로 크기
m = 4  # 가로 크기
default_value = 0
# N*M 2차원 리스트 초기화 (세로 N & 가로 M)
array = [[default_value] * m for _ in range(n)]
# 결과 확인을 위한 출력
for row in array:
    print(row)
## [0, 0, 0, 0]
## [0, 0, 0, 0]
## [0, 0, 0, 0]
## [0, 0, 0, 0]
## [0, 0, 0, 0]

▶특정 영역의 값 계산 ▶각 행의 합

n = 4
m = 4
array =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 (1, 1)에서 (2, 2)까지의 합 (인덱스는 0부터 시작)
sum_value = 0
for i in range(1, 3):
    for j in range(1, 3):
        sum_value += array[i][j]
print("Sum of submatrix:", sum_value) ##34  [6,7] [10,11]의 합
####
#### 각 행의 합
for row in array:
    row_sum = sum(row)
    print("Row sum:", row_sum)
##Row sum: 10
##Row sum: 26
##Row sum: 42
##Row sum: 58

튜플 (tuple)

▶튜플 생성 및 초기화 ▶튜플에 원소 추가

t = (1, 2, 3, 4, 5) ##생성
t1 = (1, 2, 3)
t2 = (4, 5)
t3 = t1 + t2

▶튜플 인덱스로 값 조회 ▶튜플 값 존재 여부 확인

print(t[3]) # 4
print(t[1:4]) # (2, 3, 4)
t[3] = 2 # Error. 변경 불가, 불가능한 문법
print(1 in t) # True
print(9 in t) # False

▶ count ▶ index

t = (1, 2, 2, 3, 3, 4)
print(t.count(2)) ## "2"의 갯수 반환
print(t.index(4)) ## 특정 값의 인덱스 반환. 
# 여러 개면 가장 앞쪽 인덱스, 없으면 에러
print(t.index(2)) # 1

딕셔너리 (dict)

▶‘key’로 문자열, 정수형, 실수형, 불린형 모두 사용 가능
▶‘value’로는 추가로 리스트, 딕셔너리까지도 사용 가능
▶딕셔너리 초기화

### dict 초기화
data = dict()
data['사과'] = 'Apple'
data['바나나'] = 'Banana'
data['코코넛'] = 'Coconut'
#### 딕셔너리 key만, value만 리스트로
data.keys() # key만   ##출력 : dict_keys(['사과', '바나나', '코코넛'])
data.values() # value만    ##출력: dict_values(['Apple', 'Banana', 'Coconut'])

집합(set)

▶ add ▶ update ▶ remove

s = {1, 2, 3}
# set.add(v) 새로운 원소 추가
s.add(4) # {1, 2, 3, 4}
#####
# set.update(v) 새로운 원소 여러 개 추가 (수정 보다는 여러 개 추가 개념)
s.update([5,7]) # {1, 2, 3, 4, 5, 7}
#####
a = {1, 2, 3}
# set.remove(v) 원소 삭제
s.remove(4) # {1, 2, 3, 5, 7}

Python 코테 cheat sheet

한 줄에 여러 개의 숫자 입력 받기

~~~~~~~[입력 예시]~~~~~~~
1 2 3 4
a, b, c, d = map(int, input().split())
print(a, b, c, d) # 1, 2, 3, 4
~~~~~~~[입력 예시]~~~~~~~
1 3 5 7 9 10
a = list(map(int, input().split()))
print(a) # [1, 3, 5, 7, 9, 10]
~~~~~~~[입력 예시]~~~~~~~
A B C D E
a = list(input().split())
print(a) # ['A', 'B', 'C', 'D', 'E']

리스트 중복 제거 & 정렬

a = [3, 1, 5, 8, 5, 10, 7, 1]
print(a)
b = list(set(a)) # [1, 3, 5, 7, 8, 10]
c = sorted(list(set(a))) # [1, 3, 5, 7, 8, 10]
d = sorted(list(set(a)), reverse=True) # [10, 8, 7, 5, 3, 1]

리스트 전체 합과 평균 구하기

N = int(input()) # 개수
a = list(map(int, input().split())) # 점수 리스트 입력
total = sum(a)
avg = int(round(total/N, 0)) # 평균을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리스트 반복문에서 리스트의 원소 여러 번 사용할 때

score = [80, 83, 95, 87, 93, 71]
for i, val in range(N):
  if val < 90: # "score[i] < 90" 대신 짧고 편하게 사용 가능
    print("B")
  elif val < 80:
    print("C")
  elif val < 70:
    print("D")

리스트 원소 개수 세기 (딕셔너리 활용)

 s = [1, 3, 4, 2, 3, 4, 1, 3]
cnt = {} # dictionary 생성
for x in s:
  if x in cnt:
    cnt[x] += 1
  else:
    cnt[x] = 1

딕셔너리 value로 key값 찾기

for key, value in cnt.items():
  if value == "찾을 value 값":
    print(key, end=' ') # value에 해당하는 key 값 출력

두 변수 값 바꾸기 (swap) + 딕셔너리 ‘key’ 또는 ‘value’로 존재 여부 확인

##swap
a,b = b,a
# 키 존재 여부 확인
if '사과' in data:
    print("키 '사과'가 존재합니다.")
# 값 존재 여부 확인
if 3 in data.values():
    print("값 3이 존재합니다.")

딕셔너리를 key 또는 value 기준으로 정렬

a = {'Tom': 90, 'Liz': 75, 'John': 67, 'Mia': 92}
print(a.keys()) # dict_keys(['Tom', 'Liz', 'John', 'Mia'])
print(list(a.keys())) # ['Tom', 'Liz', 'John', 'Mia']
print(sorted(a.keys())) # ['John', 'Liz', 'Mia', 'Tom']
print(sorted(a.keys(), reverse=True)) # ['Tom', 'Mia', 'Liz', 'John']
# 튜플 자료형으로 리턴
print(sorted(a.items())) 
# 결과 : [('John', 67), ('Liz', 75), ('Mia', 92), ('Tom', 90)]
print(sorted(a.items(), reverse=True)) 
# 결과 : [('Tom', 90), ('Mia', 92), ('Liz', 75), ('John', 67)]
# 람다식 key값 기준 정렬
print(sorted(a.items(), key=lambda x: x[0])) 
# 결과 : [('John', 67), ('Liz', 75), ('Mia', 92), ('Tom', 90)]
print(sorted(a.items(), key=lambda x: x[0], reverse=True)) 
# 결과 : [('Tom', 90), ('Mia', 92), ('Liz', 75), ('John', 67)]
# 람다식 value값 기준 정렬
print(sorted(a.items(), key=lambda x: x[1]))
# 결과 : [('John', 67), ('Liz', 75), ('Tom', 90), ('Mia', 92)]
print(sorted(a.items(), key=lambda x: x[1], reverse=True))
# 결과 : [('Mia', 92), ('Tom', 90), ('Liz', 75), ('John', 67)]

2차원 리스트 입력 받기

'''
[입력 예시]
5
0 2 1 1 0
1 1 1 1 2
0 2 1 2 1
0 2 1 1 0
0 1 1 1 2
'''
n = int(input())
arr = list(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이분 탐색
중앙값을 찾아서 비교해서 중앙값 전/후로 나누어서 다시 탐색을 반복

a.sort() # 먼저 정렬
lt = 0 # 시작 값
rt = n-1 # 끝 값
##와일문 제한
while lt <= rt:
  mid = (lt + rt) // 2
  if a[mid] < m:
    lt = mid + 1
  elif m < a[mid]:
    rt = mid - 1
  elif m == a[mid]:
    print(mid+1)
    break

python list 2개로 dictionary를 생성하기

key = ['Alex', 'Jess', 'Dilan', 'Mei', 'Teddy']
value = [80, 90, 95, 67, 88]
key_val = [key, value]
landmark_dict = dict(zip(*key_val))
### 결과 : {'Alex': 80, 'Jess': 90, 'Dilan': 95, 'Mei': 67, 'Teddy': 88}

python list가 비어있는지 확인

arr = []
if not arr:
  print("empty")
 ##
if arr:
  print("not empty")

python list의 마지막 요소 가져오기/제거하기

arr = [1, 3, 5, 2, 4]
print(arr[-1]) # 4
arr.pop()
print(arr)  ##[1, 3, 5, 2]

str -> 중복제거 set -> String으로 변환

my_string = "aavvccccddddeee"
# converting the string to a set
temp_set = set(my_string)
# stitching set into a string using join
new_string = ''.join(temp_set)
print(new_string)
## 결과 :vcdae

열을 짧게 구성 + 빠르게 행렬 구성

n = 3
my_list = [0]*n # n denotes the length of the required list
# [0, 0, 0, 0]
print(my_list)
print([my_list]*3)

도움될만한 링크 : https://velog.io/@jeong_yooony/Code-Up-%ED%8C%8C%EC%9D%B4%EC%8D%AC-100%EC%A0%9C

참조 링크:
https://choiiis.github.io/python/for-coding-test/

profile
개발자+분석가+BusinessStrategist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