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분해할당(Destructuring assignment)

Park Bumsoo·2022년 3월 25일
0

구조분해할당

구조분해할당은 JavaScript에서 사용하는 표현식이다.
즉 작성한 코드를 더 간결하고 보기쉽게 해주면서
최종적으로 협업에 유용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배열의 구조분해할당

배열에서의 구조분해할당을 설명하기전에 아래의 배열을 봐보자

	const Array = ["one", "two", "three"]
     
    console.log(Array[0]) // "one"
    console.log(Array[1]) // "two"
    console.log(Array[2]) // "three"

지금까지의 배열은 위와 같은 형식으로 작성했으며
배열명.[인덱스]를 통해서 값을 호출해왔다.
위 배열에 구조분해할당을 사용하면

	const Array = ["one", "two", "three"]
	const[a, b, c] = Array
    
    console.log(a) // "one"
    console.log(b) // "two"
    console.log(c) // "three"

위와 같이 지정된다.
즉 a = "one", b = "two", c = "three"에 할당을 하여 구조를 변경하여 줬다.

따라서 구조분해 할당을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시 배열.[]를 일일이 쓸 필요가 없어지며 코드가 간결해지며 보기 편해지게된다.

위와같이 짧은 예시에선 큰 의미를 가지지는 않지만 사용 여하에 따라서는 보다 간결하게 구조를 바꿔준다.

profile
프론트엔드 주니어 개발자(React, Next.js)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