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 k8s] TIL 1-1-5

Peppie·2022년 8월 5일
0

1. 리눅스 설치

Linux 설치 유형

컴퓨터에 직접 설치 (Bare Metal 유형)

  • 기본 OS로 설치: 컴퓨터 전원 on 시에 기본적으로 실행되는 OS를 Linux로 설정
  • 멀티부팅 방식을 사용한 설치: 컴퓨터 전원 on 시에 사용할 OS 선택 후 해당 OS 사용

가상머신에 설치

  • 가상머신: SW로 물리적 HW를 대신하여 처리하는 머신 (컴퓨터),
    현재 사용하는 컴퓨터의 물리적인 CPU가 Hypervisor (가상화, virtualization) 기능을 지원해야 함
  •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된 가상PC에 OS를 설치하여 사용
  • 가상PC 생성 프로그램은 現 OS 관점에서는 하나의 프로그램일뿐
    -장점: 여러 OS 동시 사용가능; 하나의 물리적 컴퓨터 자원을 여러 OS가 나눠서 사용
    -단점: 처리 속도, resource 사용 측면에서.

클라우드 (Cloud) 환경에 설치 (가상머신)

  • 클라우드 사업자가 운영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가상PC를 생성하여 OS를 설치,운영하는 방법
  • 기본적으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클라우드에 접속해서 사용
  • 장점: 사용자가 직접 하드웨어나 OS 설치없이 바로 사용가능 및 사용한 만큼만 비용 지불
    -> 적은 초기투자비용; 다만 운영비 증가 가능성 염두 (클라우드는 후불제)

가상 Application 실행환경을 구성하여 사용

: Application 실행환경에 대한 virtualization 환경

  • 물리적 컴퓨터 자원이나 OS Kernel을 공유하면서 Application 실행 환경을 독립된 가상 환경에서 동작하는 방법 => Docker
  • Application 개발/실행환경 동일 유지 -> Application 배포,관리 편의성 증대

VirtualBox 프로그램을 이용한 가상 PC 생성

VirtualBox 머신에서 새로 생성

  • 가상머신 (PC) 이름과 운영체제 종류 선택
    -가상머신 이름: Linux-Ubuntu1804LTS (예시)
    -운영체제: Ubuntu (64bit)
  • 가상머신 메모리 크기 결정: 넉넉하면 4096MB / 여유롭지 못하면 2048MB 권장
  • 가상머신 보조기억장치 사용방식 결정: 새 가상하드 디스크 만들기
  • 가상머신 보조기억장치 종류
    -가상머신이 사용하는 보조기억장치 파일형식을 결정하는 메뉴
    -VDI (VirtualBox Disk Image)
  • 가상머신 보조기억장치를 물리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동적할당: 전체크기 범위에서 사용한 만큼만 실제 물리공간을 사용하는 방식
  • 가상머신 보조기억장치 파일과 기타 관련 파일 저장위치 및 보조기억장치 크기 저장
    -보조기억장치 파일을 가성머신 이름과 동일하게 부여
    -보조기억장치 크기: 100 GB
  •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최종적으로 가상머신 생성

생성된 가상머신에 대한 설정

가상머신 선택 후 설정 화면 진입

일반 탭

가상머신 / 파일 저장위치 관련 설정 변경

시스템 탭

가상머신 부팅 순서, CPU 구성관련 내용설정 변경

  • 부팅 순서: OS 이미지를 찾는 순서
  • 프로세서: 프로세서 코어 개수 변경, PAE/NX 사용하기 체크
  • 가속: VT-X/AMD-V 사용하기 및 네스티드 페이징 사용하기 체크
    (만약 해당 항목 사용하기가 비활성화된 경우는 현재 사용 컴퓨터의 CPU가 Virtualization을 지원하지 않거나 BIOS 상에 virtualizaion 미지원일수도, 이 방법으로도 해결 가능)

저장소 탭

  • 최초 가상머신 생성시에는 OS 미설치상태
  • 최초 가상머신 생성 후 OS 설치과정 수행하고 가상머신 사용
  • 컨트롤러 IDE에 설치할 OS 이미지파일 지정

네트워크 탭

가상머신이 동작할 네트워크 환경 선택, 기본적으로는 NAT으로 설정

VirtualBox 네트워크 종류

  • NAT : 가상머신 내부 네트워크에서 호스트 머신 외부 NW (인터넷) 단방향연결
    -호스트 내부 네트워크와의 통신 및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가 가상머신과 통신하는 것 불가능
  • NAT 네트워크 : NAT + 내부 네트워크
  • 어댑터에 브리지 : 호스트머신과 동등하게 외부 NW (인터넷) 연결
    -IP 주소 할당은 외부로부터
  • 내부 네트워크 : 호스트머신 내부 NW와만 통신 가능
  • 호스트 전용 어댑터: 호스트머신과 내부 NW와만 통신 가능 (외부 NW와 통신불가능)
  • 일반 드라이버 : 거의 사용 X 예) UDP 터널 네트워크 등
  • 연결되지 않음 : 네트워크 미사용 (Link Down)

생성된 가상머신에 Linux 설치

VirtualBox 가상머신 실행 시작

Linux 배포판 설치 시작

Ubuntu 설치

  • 언어 선택 : English
  • Install Ubuntu 선택하면 설치 시작
  • Keyboard layout : default 사용
  • 설치할 프로그램 종류 및 업데이트 유무 : Minimal Installation만 선택
  • Ubuntu를 설치할 보조기억장치 format 및 partition 설정 선택
    : Erase disk and install Ubuntu 선택 후 install now
    -Linux 최소 파티션 : / (root) 파티션과 swap 파티션
  • 시간대 설정 : Seoul
  • 사용자 정의 단계 : Ubuntu는 root 사용자에 대한 별도설정이 설치시에는 불가능
    (일반 사용자에 대한 정보만 설정)
    -Computer name은 domain 형식으로 부여하는 것을 권장
    -username은 로그인시 사용하는 이름
    -password 설정
    -로그인 시 password 입력으로 선택
  • 설치

CentOS 설치

CentOS 설치 가상머신 생성 : Linux-CentOS7
CentOS 설치 설정 내용

  • 시간대 : 서울
  • 키보드
  • 언어
  • 설치할 미디어
  • 설치할 OS 범위 : Gnome Desktop
  • root / 일반 유저 패스워드 등록
  • Network & Hostname : Network On, 호스트네임 설정은 예) worker-centos.example.com

VirtualBox 사용시 용어

Host OS

VirtualBox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환경의 OS

Guest OS

가상머신에서 동작하는 OS

공유폴더

Host OS와 Guest OS 사이에서 데이터를 공유할 때 사용할 폴더

Linux 사용자

  • 관리자 (root) : Linux의 모든 기능 사용 가능, user id는 무조건 root로 고정
  • 일반 사용자 : 말 그대로 일반적인 사용자를 의미, user id는 임의결정

2. TIF

드디어 기나긴 첫번째 주가 끝났다. 첫번째 주 답게 기본적인 이론 위주였고, 아직까진 무난히 소화하고 있다. 앞으로 어떻게 될진 가봐야 알겠지만 그래도 최대한 최선을 다해야지. 훗날의 내가 헤매지 않길 바란다. 헤매더라도 가급적 최소한으로만...ㅎ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