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Language (문법/정보 총 정리)

PersesTitan·2022년 11월 24일
3

OTLanguage

목록 보기
23/24
post-thumbnail

정보

한줄 설명

이모티콘으로 제작하는 난해한 프로그래밍 언어

이름 유례

절망하는 자세인 OTL 과 언어라는 뜻인 Language가 합쳐져 만들어진 언어입니다.
OTL + Language

제작자

PersesTitan

추진 배경

제작하게 된 계기는 실용성이 존재하는 난해한 프로그래밍 언어면 재미 있을 것 같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은 제미로 시작하였지만 해당 언어 구현에 가능성을 느끼게 되었고 기능 추가 및 수정, 확장등을 진행 중입니다.

파일 확장자

OTLanguage는 .otl, .otlanguage확장자를 사용합니다.

  • 버전 3.1.2 이상부터 .otlanguage 확장자를 허용합니다.

모듈 확장자

확장자는 .otlm를 사용하며
module/operate, module/compulsion, module/alteration

동작 환경

  • MacOS
    테스트 환경: MacBook, Apple M1
  • Linux
    테스트 환경 : Red Hat
  • Window
    개발중...
  • Android
    개발중...

Download

다운로드에는 Git으로 부터 코드를 다운로드하기 때문에 원활한 설치를 위해서는 git이 설치 되어 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MacOS

cur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TLanguage/download/main/mac.sh | sh

Linux

cur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TLanguage/download/main/linux.sh | sh

Window
프로토타입 버전 윈도우 설치 파일 다운로드 링크

Android

실행

단, 설치 후 처음으로 실행할때는 실행이 느릴 수 있습니다.

대화식 모드
(셀에서는 한글 입력이 가끔 깨져서 보이기 때문에 복잡한 동작을 구현할때는 스크립트 모드를 권장합니다.)

otl

스크립트 모드

otl [파일경로]

모듈 다운로드

적용 버전 : 3.1.1
형태 : otl install <프로젝트명>
예시

otl install poison

기본적으로 poison과 같은 추가 기능들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기에 모듈을 따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LCS(Line Cleanup System)

LCS(Line Cleanup System)은 OTLanguage에 들어가있는 시스템으로 파일 전체를 간단하게 한번 읽고 실행되기전에 괄호처리 및 사용하지 않는 라인 정리등을 진행하는 시스템입니다.

특히 여러줄로 포현되어 있는 중괄호 문법을 한 줄 단위 역할 원칙에 맞추어 변경해줍니다.
원본 예시

0^10^1 {
	ㅆㅁㅆ 값 출력 = :변수명_
} <= ㅇㅈㅇ 변수명

LCS를 거친후 예제

0^10^1 (test,2,3) <= ㅇㅈㅇ 변수명

해당 특징으로 때문에 <= ㅇㅈㅇ 변수명에서 만약 타입에러가 발생하여도 0^10^1 {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에러가 출력되게 됩니다.

에러 예시
hello.otl

0^10^1 {
    ㅆㅁㅆ 안녕
} <= ㅇㅁㅇ 변수명

ㅇㅁㅇ 변수명에서 타입에러가 발생하지만 (hello.otl:1), (0^10^1 {)를 에러에서 출력하게 됩니다.


철학&원칙

기본 철학

코드가 깔끔하지 않아도 동작만 되게 하자
예초에 깔끔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아니다.

설계 철학

  1. " 와 ' 도 문자이다.
  2. 난해한 프로그래밍언어로 실용적인 동작을 구현하자
  3. 한글로 프로그래밍을 해보자

원칙

  1. One Line Role Principle - 한 줄 단위 역할 원칙
    1줄에 1개의 역할를 가지며, 1줄당 1개의 동작을 가지게 됩니다.

  2. String Non-Tokenization Principle - 문자열 비토큰화 원칙
    모든 문자는 문자이므로 " 나 ' 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3. Cut Off Zone Principle - 공간 단절의 원칙
    각 중괄호 공간은 단절 공간으로 각각 별개의 공간이 됩니다.

  4. Replace Oriented Principle - 치환 지향 원칙
    치환을 하는 방식으로 값을 사용합니다.

  5. Induction Deduction Principle - 유도 도출 원칙
    원하는 결과가 발생하지 않았을때 방법을 바꾸어서 원하는 결과를 불러오는 원칙을 말합니다.


변수

파라미터

OTLanguage에서 파라미터 단위는 []대괄호로 사용됩니다.
단, 파라미터가 1개 일때는 대괄호를 생략하고 공백을 대체 할 수 있습니다.

예시

ㅆㅁㅆ[Hello World]
ㅆㅁㅆ Hello World

위 코드는 같은 동작을 합니다.

변수명

네이밍 컨벤션

OTLanguage에서는 케밥 케이스를 사용합니다.
ex) 변수명 변수명-정의

명명 규칙

변수명은 숫자, 한글, 영어, 하이픈(-) 으로 이루어진 변수를 정의 할 수 있습니다.

변수명은 숫자로만 구현할 수 없으며, 변수명 가장 앞 글자는 문자이여야 합니다.
ex)

변수1 (O) 올바른 예
1변수 (X) 틀린 예

예약어

예약어는 이미 정의된 단어로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어를 말합니다.

  • 예약어 : ㅅㅇㅅ, ㅇㅇ, ㄴㄴ, ㅇㄴ, , , ㅇ-ㅇ, ㅈㅈㅈ, ㅈㅉㅈ, ㅈㅂㅈ, ㅈㅁㅈ, ㅈㄱㅈ, ㅈㅅㅈ, ㅈㅆㅈ

  • 사용 불가 예시 : ㅇㅅㅇ ㅅㅇㅅ:3.14

  • 참고

    예약어는 이미 사용하고 있는 존재하는 단어나 Map정의 단어와 같은 경우 아이템을 추가하는 과정중 ㅈㅁㅈ 키<<<값 과 같은 형태가 Map변수를 정의하는 형태와 일치하여 사용이 불가합니다.

    ListSet 정의 단어를 사용할때도 띄어쓰기등을 주의해주어야 합니다.

포함 불가능 단어

계산 및 분석을 진행할때 기준을 애매하게 만들 수 있는 단어들은 변수명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포함 불가능한 단어 : ㅇㅇ, ㅇㄴ, ㄴㄴ, ,
사용 불가 예시 : ㅇㅅㅇ 변ㅇㄴ수:3.14

변수의 유효 범위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변수는 전역 변수로 생성됩니다.
크게 변수는 전역 변수, 클래스 변수, 메소드 변수로 단위가 나뉘게 됩니다.

상위 변수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를 앞에 붙쳐서 상위 클래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ㅇㅁㅇ 변수명:출력1
ㅁㅅㅁ 메소드[] {
	ㅇㅁㅇ 변수명:출력2
    ㅆㅁㅆ :~변수명_
    ㅆㅁㅆ :변수명_
}
메소드[]

출력
출력1
출력2

토큰

치환 지향 원칙에 따라 값 변경은 치환을 통해 원하는 값을 유도하게 되는데 원하는 값을 얻기 위해 원하는 값을 구분을 위해서 토큰을 사용하게 됩니다.

  • 형태 :<반환값을 가지는 문법>_
    토큰은 사용하면 변경된 값이 고정되는데 때문에 $ㅅ$과 같은 반복문에서 사용하면 무한 반복문에 빠질 수 있으므로 사용할때 조심해야합니다.

버전 3.1.3
버전 3.1.3 이후 부터 일부 파라미터에서는 토큰을 생략할 수 있는데 생략하면 토큰 치환 형태보다 계산 속도가 보다 빠르며, 무한 반복문에서도 안전할 수 있습니다.

예시

ㅇㅂㅇ 블린:ㅇㅇ
ㅇㅈㅇ 정수:10
$ㅅ$ 블린 ㄸ 정수 ㅇ>ㅇ 11 {
   ㅆㅁㅆ 안녕
   블린:ㄴㄴ
}

생략가능 파라미터
생략이 가능한 파라미터 값은 숫자형, 블린형 이며 파라미터 입력값이 숫자와 블린형이여야 적용됩니다.
버전 차이로 인해서 미적용이 된 파라미터가 있을 수 있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초기값 변수

기본 타입의 변수의 초기값은 반드시 정의해주어야합니다.

  • ㅇㅁㅇ 변수명 (×)
  • ㅇㅁㅇ 변수명:값 (○)

휘발성 변수

특정 횟수많큼 사용하면 사라지는 변수를 말합니다.
변수를 생성 할때 사용할 횟수를 정의 할 수 있습니다.
출시 버전 : 3.1.0
형태 : <변수타입> [횟수]<변수명>:<초기값>

ㅇㅁㅇ [1]변수:안녕
ㅆㅁㅆ :변수_ :변수_

출력
안녕 :변수_

기본값

존재하지 않는 변수일 경우 그대로 출력이 되는데 기본값을 정의해주면 그대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출시 버전 : 3.1.0
형태 : :<동작>_<기본값>;

ㅆㅁㅆ :변수명_기본값;

출력
기본값

타입

Primitive

출시 버전 : 1.0.0

  • ㅇㅈㅇ 정수형(Integer)
  • ㅇㅉㅇ 쩡수형(Long)
  • ㅇㅂㅇ 블린형(Boolean)
  • ㅇㅁㅇ 문자형(String)
  • ㅇㄱㅇ 글자형(Character)
  • ㅇㅅㅇ 실수형(Float)
  • ㅇㅆㅇ 씰수형(Double)

데이터 표현 범위
정수형: –2,147,483,648 ~ 2,147,483,647
쩡수형: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블린형: ㅇㅇ, ㄴㄴ
글자형: \u0000 ~ \uFFFF
실수형: 3.4E–38 ~ 3.4E+38
씰수형: 4.94065645841246544E-324~1.79769313486231570E+308
문자형: -

Set

출시 버전 : 2.0.0
값을 Set의 형태로 가지게 됩니다.
중복 값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형태 : [값1, 값2]
변수 정의
<타입> <변수명>
<타입> <변수명>:[값1, 값2]
<타입> <변수명><[값1, 값2]

  • ㄴㅈㄴ 정수형(Set<Integer>)
  • ㄴㅉㄴ 쩡수형(Set<Long>)
  • ㄴㅂㄴ 블린형(Set<Boolean>)
  • ㄴㅁㄴ 문자형(Set<String>)
  • ㄴㄱㄴ 글자형(Set<Character>)
  • ㄴㅅㄴ 실수형(Set<Float>)
  • ㄴㅆㄴ 씰수형(Set<Double>)

ADD

출시 버전 : 2.0.0
Set에 값을 넣을 수 있습니다.
형태 : [변수명]<[값]

ㄴㅈㄴ 변수명
변수명<1
변수명<[2,3]
ㅆㅁㅆ :변수명_

출력
[1, 2, 3]

DELETE

출시 버전 : 2.0.0
Set의 값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형태 : <변수명>!-<인덱스>

ㄴㅈㄴ 변수명:[1,2,3]
변수명!-1
ㅆㅁㅆ :변수명_

출력
[2, 3]

GET

출시 버전 : 2.0.0
Set의 값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형태 : :[변수명]>[인덱스]_

ㄴㅈㄴ 변수명:[1,2,3]
ㅆㅁㅆ :변수명>1_

출력
1

ISEMPTY

출시 버전 : 2.0.0
Set이 비어있는지 확인합니다.
형태 : :<변수명>?_

ㄴㅈㄴ 변수명
ㅆㅁㅆ :변수명_
ㅆㅁㅆ :변수명?_
변수명<1
ㅆㅁㅆ :변수명_
ㅆㅁㅆ :변수명?_


출력
[]
ㅇㅇ
[1]
ㄴㄴ

SUM

출시 버전 : 2.0.0
Set의 총합을 구할 수 있습니다.
단, 숫자인 값을 가지는 ㄴㅈㄴ, ㄴㅉㄴ, ㄴㅅㄴ, ㄴㅆㄴ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형태 : :<변수명>+_

ㄴㅈㄴ 변수명:[1,2,3]
ㅆㅁㅆ :변수명+_

출력
6

CLEAR

출시 버전 : 2.0.0
Set값을 전부 삭제할 수 있습니다.
형태 : <변수명>!

ㄴㅈㄴ 변수명:[1,2,3]
ㅆㅁㅆ :변수명_
변수명!
ㅆㅁㅆ :변수명_

출력
[1, 2, 3]
[]

SORT

출시 버전 : 3.1.0
Set를 순서대로 정렬합니다.
형태 : <변수명>&

ㄴㅈㄴ 변수명:[3,1,2]
변수명&
ㅆㅁㅆ :변수명_

출력
[1, 2, 3]

LENGTH

출시 버전 : 3.1.0
Set의 길이를 구하게 됩니다.
형태 : :<변수명>'_

ㄴㅈㄴ 변수명:[1,2,3]
ㅆㅁㅆ :변수명'_

출력
3

CONTAINS

출시 버전 : 3.1.0
Set에 해당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합니다.
형태 : :<변수명>?<값>_

ㄴㅈㄴ 변수명:[1,2,3]
ㅆㅁㅆ :변수명?1_
ㅆㅁㅆ :변수명?5_

출력
ㅇㅇ
ㄴㄴ

List

출시 버전 : 2.0.0
값을 List의 형태로 가지게 됩니다.
Set과 다르게 중복값을 허용합니다.

데이터 형태 : [값1, 값2]
변수 정의
<타입> <변수명>
<타입> <변수명>:[값1, 값2]
<타입> <변수명><<[값1, 값2]

  • ㄹㅈㄹ 정수형(List<Integer>)
  • ㄹㅉㄹ 쩡수형(List<Long>)
  • ㄹㅂㄹ 블린형(List<Boolean>)
  • ㄹㅁㄹ 문자형(List<String>)
  • ㄹㄱㄹ 글자형(List<Character>)
  • ㄹㅅㄹ 실수형(List<Float>)
  • ㄹㅆㄹ 씰수형(List<Double>)

ADD

출시 버전 : 2.0.0
List의 값을 추가합니다.
형태 : [변수명]<<[값]

ㄹㅈㄹ 변수명
변수명<<1
변수명<<[2, 3]
ㅆㅁㅆ :변수명_

출력
[1, 2, 3]

DELETE

출시 버전 : 2.0.0
List의 값을 제거합니다.
형태 : <변수명>--<인덱스>

ㄹㅈㄹ 변수명:[1,2,3]
변수명--1
ㅆㅁㅆ :변수명_

출력
[2, 3]

GET

출시 버전 : 2.0.0
특정 List 값을 반환합니다.
형태 : :[변수명]>>[인덱스]_

ㄹㅈㄹ 변수명:[1,2,3]
ㅆㅁㅆ :변수명>>1_

출력
1

ISEMPTY

출시 버전 : 2.0.0
List가 비어있는지 확인합니다.
형태 : :<변수명>??_

ㄹㅈㄹ 변수명
ㅆㅁㅆ :변수명??_
변수명<<1
ㅆㅁㅆ :변수명??_

출력
ㅇㅇ
ㄴㄴ

SUM

출시 버전 : 2.0.0
List의 총합을 반환합니다.
단, 숫자인 값을 가지는 ㄹㅈㄹ, ㄹㅉㄹ, ㄹㅅㄹ, ㄹㅆㄹ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형태 : :<변수명>++_

ㄹㅈㄹ 변수명:[1,2,3]
ㅆㅁㅆ :변수명++_

출력
6

CLEAR

출시 버전 : 2.0.0
List값을 전부 삭제합니다.
형태 : <변수명>!!

ㄹㅈㄹ 변수명:[1,2,3]
ㅆㅁㅆ :변수명_
변수명!!
ㅆㅁㅆ :변수명_

출력
[1, 2, 3]
[]

SORT

출시 버전 : 3.1.0
List값을 정렬합니다.
형태 : <변수명>&&

ㄹㅈㄹ 변수명:[3,2,1]
변수명&&
ㅆㅁㅆ :변수명_

출력
[1, 2, 3]

LENGTH

출시 버전 : 3.1.0
List의 길이를 반환합니다.
형태 : :<변수명>''_

ㄹㅈㄹ 변수명:[1, 2, 3]
ㅆㅁㅆ :변수명''_

출력
3

CONTAINS

출시 버전 : 3.1.0
List에 값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형태 : :<변수명>??<값>_

ㄹㅈㄹ 변수명:[1, 2, 3]
ㅆㅁㅆ :변수명??1_
ㅆㅁㅆ :변수명??5_

출력
ㅇㅇ
ㄴㄴ

Map

출시 버전 : 2.0.0
키(Key)와 값(Value)가 한쌍으로 이루어진 타입입니다.
키값은 중복으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형태 : {키1=값2, 키2=값2}
변수 정의
<타입> <변수명>
<타입> <변수명>:{키1=값1, 키2=값2}
<타입> <변수명><<<{키1=값1, 키2=값2}

  • ㅈㅈㅈ 정수형(Map<String, Integer>)
  • ㅈㅉㅈ 쩡수형(Map<String, Long>)
  • ㅈㅂㅈ 블린형(Map<String, Boolean>)
  • ㅈㅁㅈ 문자형(Map<String, String>)
  • ㅈㄱㅈ 글자형(Map<String, Character>)
  • ㅈㅅㅈ 실수형(Map<String, Float>)
  • ㅈㅆㅈ 씰수형(Map<String, Double>)

CLEAR

출시 버전 : 2.0.0
Map값을 전부 삭제합니다.
형태 : <변수명>!!!

ㅈㅈㅈ 변수명:{a=1, b=2}
ㅆㅁㅆ :변수명_
변수명!!!
ㅆㅁㅆ :변수명_

출력
{a=1, b=2}
{}

DELETE

출시 버전 : 2.0.0
특정 Map값을 삭제합니다.
형태 : <변수명>!---<키 값>

ㅈㅈㅈ 변수명:{a=1, b=2}
ㅆㅁㅆ :변수명_
변수명!---a
ㅆㅁㅆ :변수명_

출력
{b=2}

ADD

출시 버전 : 2.0.0
Map값을 추가합니다.
형태1 : [변수명]<<<{키=값, 키1=값1, ...}
형태2 : [변수명] 키<<<값(버전 3.1.0)

ㅈㅈㅈ 변수명
변수명<<<{a=1}
변수명 b<<<2
ㅆㅁㅆ :변수명_

출력
{a=1, b=2}

GET

출시 버전 : 2.0.0
Map의 특정 값을 가져옵니다.
형태 : :[변수명]>>>[키]_

ㅈㅈㅈ 변수명:{a=1, b=2}
ㅆㅁㅆ :변수명>>>a_

출력
1

ISEMPTY

출시 버전 : 3.1.0
Map이 비어있는지 확인합니다.
형태 : :<변수명>???_

ㅈㅈㅈ 변수명
ㅆㅁㅆ :변수명???_
변수명 a<<<1
ㅆㅁㅆ :변수명???_

출력
ㅇㅇ
ㄴㄴ

LENGTH

출시 버전 : 3.1.0
Map의 길이를 반환합니다.
형태 : :<변수명>'''_

ㅈㅈㅈ 변수명:{a=1, b=2}
ㅆㅁㅆ :변수명'''_

출력
2

CONTAINS

출시 버전 : 3.1.0
Map에 키값을 기준으로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합니다.
형태 : :<변수명>???<키>_

ㅈㅈㅈ 변수명:{a=1, b=2}
ㅆㅁㅆ :변수명???a_
ㅆㅁㅆ :변수명???c_

출력
ㅇㅇ
ㄴㄴ

List

집합

ㅎㅈㅎ

합집합
출시 버전 : 3.1.2
파라미터 갯수 : 2개
형태 : <리스트>~ㅎ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목록

  • ㄹㅈㄹ~ㅎ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ㅉㄹ~ㅎ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ㅂㄹ~ㅎ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ㅁㄹ~ㅎ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ㄱㄹ~ㅎ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ㅅㄹ~ㅎ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ㅆㄹ~ㅎ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ㄹㅈㄹ 리스트1:[1, 2, 3]
ㄹㅈㄹ 리스트2:[4, 5]
ㄹㅈㄹ~ㅎㅈㅎ[리스트1][리스트2]
ㅆㅁㅆ :리스트1_
ㄹㅈㄹ~ㅎㅈㅎ[리스트1][[6, 7]]
ㅆㅁㅆ :리스트1_

출력
[1, 2, 3, 4, 5]
[1, 2, 3, 4, 5, 6, 7]

ㄱㅈㅎ

교집합
출시 버전 : 3.1.2
파라미터 갯수 : 2개
형태 : <리스트>~ㄱ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목록

  • ㄹㅈㄹ~ㄱ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ㅉㄹ~ㄱ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ㅂㄹ~ㄱ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ㅁㄹ~ㄱ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ㄱㄹ~ㄱ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ㅅㄹ~ㄱ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ㅆㄹ~ㄱ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ㄹㅈㄹ 리스트1:[1, 2, 3, 4]
ㄹㅈㄹ 리스트2:[4, 5]
ㄹㅈㄹ~ㄱㅈㅎ[리스트1][리스트2]
ㅆㅁㅆ :리스트1_

리스트1:[1, 2, 3, 4]
ㄹㅈㄹ~ㄱㅈㅎ[리스트1][[1, 3]]
ㅆㅁㅆ :리스트1_

출력
[4]
[1, 3]

ㅊㅈㅎ

차집합
출시 버전 : 3.1.2
파라미터 갯수 : 2개
형태 : <리스트>~ㅊ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목록

  • ㄹㅈㄹ~ㅊ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ㅉㄹ~ㅊ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ㅂㄹ~ㅊ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ㅁㄹ~ㅊ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ㄱㄹ~ㅊ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ㅅㄹ~ㅊ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 ㄹㅆㄹ~ㅊㅈㅎ[<리스트 변수명>][<리스트>]
ㄹㅈㄹ 리스트1:[1, 2, 3, 4]
ㄹㅈㄹ 리스트2:[4, 5]
ㄹㅈㄹ~ㅊㅈㅎ[리스트1][리스트2]
ㅆㅁㅆ :리스트1_

리스트1:[1, 2, 3, 4]
ㄹㅈㄹ~ㅊㅈㅎ[리스트1][[1, 3, 6]]
ㅆㅁㅆ :리스트1_

출력
[1, 2, 3]
[2, 4]

ㅂㅈㅎ

부분집합
출시 버전 : 3.1.2
파라미터 갯수 : 2개
형태 : :<리스트>~ㅂㅈㅎ[<리스트>][<리스트>]_
목록

  • ㄹㅈㄹ~ㅂㅈㅎ[<리스트>][<리스트>]
  • ㄹㅉㄹ~ㅂㅈㅎ[<리스트>][<리스트>]
  • ㄹㅂㄹ~ㅂㅈㅎ[<리스트>][<리스트>]
  • ㄹㅁㄹ~ㅂㅈㅎ[<리스트>][<리스트>]
  • ㄹㄱㄹ~ㅂㅈㅎ[<리스트>][<리스트>]
  • ㄹㅅㄹ~ㅂㅈㅎ[<리스트>][<리스트>]
  • ㄹㅆㄹ~ㅂㅈㅎ[<리스트>][<리스트>]
ㄹㅈㄹ 리스트1:[1, 2, 3, 4]
ㄹㅈㄹ 리스트2:[1, 3, 4]
ㅆㅁㅆ :ㄹㅈㄹ~ㅂㅈㅎ[리스트1][리스트2]_

리스트1:[1, 2, 3, 4]
ㅆㅁㅆ :ㄹㅈㄹ~ㅂㅈㅎ[리스트1][[1, 3, 6]]_
ㅆㅁㅆ :ㄹㅈㄹ~ㅂㅈㅎ[[1, 6]][[1, 3, 6]]_
ㅆㅁㅆ :ㄹㅈㄹ~ㅂㅈㅎ[[1, 3, 5, 6]][[1, 3, 6]]_

출력
ㅇㅇ
ㄴㄴ
ㄴㄴ
ㅇㅇ

콘솔

출력

출시 버전 : 1.0.0

ㅅㅁㅅ

형태 : ㅅㅁㅅ <출력 내용>
출력 내용을 출력합니다.

코드
ㅅㅁㅅ 안녕
ㅅㅁㅅ 하세요?

출력
안녕하세요?

ㅆㅁㅆ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ㅆㅁㅆ <출력 내용>
개행 문자가 들어간 출력 내용을 출력합니다.

코드
ㅆㅁㅆ 안녕
ㅆㅁㅆ 하세요?

출력
안녕
하세요?

ㅅㅁㅆ

출시 버전 : 3.0.0
형태 : ㅅㅁㅆ <출력 내용>
탭(\t)이 들어간 출력 내용을 출력합니다.

코드
ㅅㅁㅆ 안녕
ㅅㅁㅆ 하세요?

출력
안녕		하세요?

ㅆㅁㅅ

출시 버전 : 3.0.0
형태 : ㅆㅁㅅ <출력 내용>
공백(" ")이 들어간 출력 내용을 출력합니다.

코드
ㅆㅁㅅ 안녕
ㅆㅁㅅ 하세요?

출력
안녕 하세요?

강제 출력

출력 내용을 유지하며 출력합니다.
강제 출력은 우선순위가 최상위이기 때문에 입력한 내용에 영향없이 그대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ㅅㅁㅅ!

출시 버전 : 2.0.0
형태 : !ㅅㅁㅅ! <출력 내용>
출력 내용을 수정 없이 출력합니다.

ㅇㅈㅇ 변수명:1234
!ㅅㅁㅅ! :변수명_
!ㅅㅁㅅ! :ㅅㅇㅅ_

출력
:변수명_:ㅅㅇㅅ_

!ㅆㅁㅆ!

출시 버전 : 2.0.0
형태 : !ㅆㅁㅆ! <출력 내용>
개행 문자가 들어간 출력 내용을 수정 없이 출력합니다.

ㅇㅈㅇ 변수명:1234
!ㅆㅁㅆ! :변수명_
!ㅆㅁㅆ! :ㅅㅇㅅ_

출력
:변수명_
:ㅅㅇㅅ_

!ㅅㅁㅆ!

출시 버전 : 3.0.0
형태 : !ㅅㅁㅆ! <출력 내용>
탭(\t)이 들어간 출력 내용을 수정 없이 출력합니다.

ㅇㅈㅇ 변수명:1234
!ㅅㅁㅆ! :변수명_
!ㅅㅁㅆ! :ㅅㅇㅅ_

출력
:변수명_		:ㅅㅇㅅ_

!ㅆㅁㅅ!

출시 버전 : 3.0.0
형태 : !ㅆㅁㅅ! <출력 내용>
공백(" ")이 들어간 출력 내용을 수정 없이 출력합니다.

ㅇㅈㅇ 변수명:1234
!ㅆㅁㅅ! :변수명_
!ㅆㅁㅅ! :ㅅㅇㅅ_

출력
:변수명_ :ㅅㅇㅅ_

입력

ㅅㅇㅅ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ㅅㅇㅅ_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용 예시

ㅆㅁㅆ :ㅅㅇㅅ_

입력
10
출력
10

논리연산

기호

ㅇㅇ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ㅇㅇ
참(true)를 의미합니다.

ㄴㄴ

출시 버전 : 1.0.0
형태 : ㄴㄴ
거짓(false)를 의미합니다.

ㅇㄴ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ㅇㄴ
반전(not)를 의미합니다.

  • ㅇㄴ ㅇㅇ => ㄴㄴ
  • ㅇㄴ ㄴㄴ => ㅇㅇ

출시 버전 : 1.0.0
형태 :
또는(or)을 의미합니다.

  • ㅇㅇ ㄸ ㅇㅇ => ㅇㅇ
  • ㅇㅇ ㄸ ㄴㄴ => ㅇㅇ
  • ㄴㄴ ㄸ ㄴㄴ => ㄴㄴ

출시 버전 : 1.0.0
형태 :
그리고(and)를 의미합니다.

  • ㅇㅇ ㄲ ㅇㅇ => ㅇㅇ
  • ㅇㅇ ㄲ ㄴㄴ => ㄴㄴ
  • ㄴㄴ ㄲ ㄴㄴ => ㄴㄴ

비교 연산자

ㅇ>ㅇ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ㅇ>ㅇ
보다 클때 ㅇㅇ을 반환

  • 1ㅇ>ㅇ2 => ㄴㄴ
  • 2ㅇ>ㅇ1 => ㅇㅇ

ㅇ<ㅇ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ㅇ<ㅇ
보다 작을때 ㅇㅇ을 반환

  • 1ㅇ<ㅇ2 => ㅇㅇ
  • 2ㅇ<ㅇ1 => ㄴㄴ

ㅇ=ㅇ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ㅇ=ㅇ
값이 같을때 ㅇㅇ을 반환

  • 1ㅇ=ㅇ1 => ㅇㅇ
  • 1ㅇ=ㅇ0 => ㄴㄴ

ㅇ>=ㅇ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ㅇ>=ㅇ
값이 크거나 같을때 ㅇㅇ을 반환

  • 1ㅇ>=ㅇ1 => ㅇㅇ
  • 1ㅇ>=ㅇ2 => ㄴㄴ
  • 2ㅇ>=ㅇ1 => ㅇㅇ

ㅇ<=ㅇ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ㅇ<=ㅇ
값이 작거나 같을때 ㅇㅇ을 반환

  • 1ㅇ<=ㅇ1 => ㅇㅇ
  • 1ㅇ<=ㅇ2 => ㅇㅇ
  • 2ㅇ<=ㅇ1 => ㄴㄴ

숫자

연산자

우선 순위

%, *, /를 먼저 계산한 뒤에 +, -가 계산이 됩니다.
먼저 계산을 하고 싶다면(, )사이에 식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ㅇ+ㅇ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ㅇ+ㅇ
덧셈(+)을 의미합니다.
각 값을 더한 값을 구하게 됩니다.

  • 1ㅇ+ㅇ1 => 2

ㅇ-ㅇ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ㅇ-ㅇ
빼기(-)를 의미합니다.
각 값을 뺀 값을 구하게 됩니다.

  • 2ㅇ-ㅇ1 => 1

ㅇ*ㅇ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ㅇ*ㅇ
곱하기(*)를 의미합니다.
각 값을 곱한 값을 구하게 됩니다.

  • 2ㅇ*ㅇ1 => 2

ㅇ/ㅇ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ㅇ/ㅇ
나누기(/)를 의미합니다.
각 값을 나눈 값을 구하게 됩니다.

  • 10ㅇ/ㅇ2 => 5

ㅇ%ㅇ

출시 버전 : 1.0.0
형태 : ㅇ%ㅇ
나머지(%)를 의미합니다.
각 값을 나눈 나머지값을 구하게 됩니다.

  • 10ㅇ%ㅇ3 => 1

ㅇㅁㅇ (문자열)

ㅉㅇㅉ

출시 버전 : 3.1.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1.2
Join를 의미합니다.
형태 : :ㅇㅁㅇ~ㅉㅇㅉ[값][리스트]_

ㄹㅈㄹ 리스트:[1,2,3,4]
ㅆㅁㅆ :ㅇㅁㅇ~ㅉㅇㅉ[ ][리스트]
ㅆㅁㅆ :ㅇㅁㅇ~ㅉㅇㅉ[,][리스트]

출력
1 2 3 4
1,2,3,4

ㅅㅍㅅ

출시 버전 : 3.1.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1.2
Split를 의미합니다.
문자열을 조건기준으로 나눕니다.
형태 : :ㅇㅁㅇ~ㅅㅍㅅ[문자열][조건]_

ㅆㅁㅆ :ㅇㅁㅇ~ㅅㅍㅅ[안ㅁ녕ㅁ하ㅁ세ㅁ요][ㅁ]_

출력
[안, 녕, 하, 세, 요]

ㅆㅍㅆ

출시 버전 : 3.1.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1.2
Split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조건값은 정규식에 의존합니다.
형태 : :ㅇㅁㅇ~ㅆㅍㅆ[문자열][조건]_

ㅆㅁㅆ :ㅇㅁㅇ~ㅆㅍㅆ[안 녕 하 세 요][\s]_

출력
[안, 녕, 하, 세, 요]

CONTAINS

출시 버전 : 3.1.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1.2
형태 : :ㅇㅁㅇ~?[문자1][문자2]_
문자1에 문자2가 포함되어 있으면 ㅇㅇ를 반환하고 포함되어있지 않으면 ㄴㄴ를 반환합니다.

ㅆㅁㅆ :ㅇㅁㅇ~?[안녕하세요.][안]_
ㅆㅁㅆ :ㅇㅁㅇ~?[안녕하세요.][ㄴ]_

출력
ㅇㅇ
ㄴㄴ

EQUALS

출시 버전 : 3.1.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1.2
형태 : :ㅇㅁㅇ~=?[문자1][문자2]_
문자1과 문자2가 일치하면 ㅇㅇ를 반환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ㄴㄴ를 반환합니다.

ㅆㅁㅆ :ㅇㅁㅇ~?[안][안]_
ㅆㅁㅆ :ㅇㅁㅇ~?[안][녕]_

출력
ㅇㅇ
ㄴㄴ

Lower

출시 버전 : 3.2.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2.0
형태 : ㅇㅁㅇ~ㅅㅁㅅ <값>
문자를 모두 소문자로 만들어줍니다.

ㅆㅁㅆ :ㅇㅁㅇ~ㅅㅁㅅ aA_

출력
aa

Upper

출시 버전 : 3.2.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2.0
형태 : ㅇㅁㅇ~ㄷㅁㄷ <값>
문자를 모두 대문자로 만들어줍니다.

ㅆㅁㅆ :ㅇㅁㅇ~ㄷㅁㄷ aA_

출력
AA

Index

출시 버전 : 3.2.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2.0
형태 : ㅇㅁㅇ~ㅇㅊㅇ[<문자열 값>][<찾을 문자>]
문자열 값에서 찾을 문자의 위치를 정수형으로 반환합니다.
만약 존재하지 않으면 -1를 반환합니다.

ㅆㅁㅆ :ㅇㅁㅇ~ㅇㅊㅇ[aaa.aaa.aaa][.]_
ㅆㅁㅆ :ㅇㅁㅇ~ㅇㅊㅇ[aaa.aaa.aaa][!]_

출력
3
-1

LastIndex

출시 버전 : 3.2.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2.0
형태 : ㅇㅁㅇ~ㅇㅈㅇ[<문자열 값>][<찾을 문자>]
문자열 값에서 찾을 문자의 위치를 뒤에서 부터 찾으며 정수형으로 반환합니다.
만약 존재하지 않으면 -1를 반환합니다.

ㅆㅁㅆ :ㅇㅁㅇ~ㅇㅈㅇ[aaa.aaa.aaa][.]_
ㅆㅁㅆ :ㅇㅁㅇ~ㅇㅈㅇ[aaa.aaa.aaa][!]_

출력
7
-1

SubString

출시 버전 : 3.2.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2.0
형태1 : ㅇㅁㅇ~ㅋㅌㅋ[<문자열 값>][<위치 값>]
형태2 : ㅇㅁㅇ~ㅋㅌㅋ[<문자열 값>][<위치 값1>][<위치 값2>]
형태1은 위치 값에서 마지막까지 잘라서 출력하고, 형태2 위치 값1부터 위치 값2까지의 값까지를 잘라서 반환합니다.

ㅆㅁㅆ :ㅇㅁㅇ~ㅋㅌㅋ[Hello World][3]_
ㅆㅁㅆ :ㅇㅁㅇ~ㅋㅌㅋ[Hello World][3][6]_

출력
lo World
lo

조건문

?ㅅ?문

출시 버전 : 2.0.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1.2
형태 : ?ㅅ? <블린형> {...}
if문으로 블린형이 ㅇㅇ이면 {...} 내용을 실행하고 ㄴㄴ이면 통과를 합니다.

0^10^1 {
		ㅆㅁㅆ :ㅁ_
}<=ㅇㅈㅇ ㅁ

?ㅈ?문

출시 버전 : 2.1.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1.2
형태 : ?ㅈ? <블린형> {...}
else if문으로 ?ㅈ?앞에는 반드시 ?ㅅ?를 먼저 정의 해주어야 합니다.

?ㅉ?문

출시 버전 : 2.1.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1.2
형태 : ?ㅉ? <블린형> {...}
else문으로 ?ㅈ?앞에는 반드시 ?ㅈ? 또는 ?ㅉ?를 먼저 정의 해주어야 합니다.


반복문

^^문

출시 버전 : 2.0.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1.2
형태1 : <숫자1>^<숫자2>^<숫자3> {...} <= <타입> <변수명>
형태2 : ^<리스트>^ {...} <= <타입> <변수명>
형태3 : <숫자1>^<숫자2>^<숫자3> {...}
형태4 : ^<리스트>^ {...}
for 문으로 형태1, 형태3 에서는 숫자1부터 숫자3 만큼 증가하여 숫자2미만이 될때까지 루프를 돌면서 실행하게 됩니다.

마지막에 <= <타입> <변수명>를 넣어주게 되면 증가하는 값을 정의하여 가져 올수도 있습니다.

형태 3

0^10^1 {
	ㅆㅁㅆ :ㅁ_
}<=ㅇㅈㅇ ㅁ

출력
0
1
2
3
4
5
6
7
8
9

형태 2

^[1, 3, 5]^ {
	ㅆㅁㅆ :ㅁ_
}<=ㅇㅈㅇ ㅁ

출력
1
3
5

$ㅅ$문

출시 버전 : 3.1.0
형태 : $ㅅ$ <블린> {...}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1.2
while문으로 블린이 ㅇㅇ일 때 {...}를 동작하며, ㄴㄴ일때 루프를 빠져 나오게 됩니다.

ㅇㅈㅇ 포지션:0
$ㅅ$ ㅇㄴ :포지션_ ㅇ=ㅇ 10 {
	포지션: :포지션_ ㅇ+ㅇ 1
    ㅅㅁㅅ Hello
}

출력
HelloHelloHelloHelloHelloHelloHelloHelloHelloHello

반복문 제어

cut off zone원칙으로 ?ㅅ?안에 반복문 제어문을 사용하여도 ?ㅅ?존 안에서는 반복문 존에 영향이 가지 않으므로 반복문제어문이 가지고 있는 문법을 통해 조건을 맞추게 됩니다.

ㅂㅇㅂ

출시 버전 : 3.1.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1.2
형태1 : ㅂㅇㅂ
형태2 : <블린>?ㅂㅇㅂ
break와 같은 동작으로 해당 라인이 실행 되면 루프문에서 빠져나가게 됩니다.

형태2같이 정의하게 된다면 ㅇㅇ일때는 해당 루프문을 빠져나가지만 ㄴㄴ이라면 빠져나가지 않습니다.

0^10^1 {
	ㄴㄴ?ㅂㅇㅂ
	ㅆㅁㅆ 패스
    ㅇㅇ?ㅂㅇㅂ
}

출력 
패스

ㅋㅇㅋ

출시 버전 : 3.1.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1.2
형태1 : ㅋㅇㅋ
형태2 : <블린>?ㅋㅇㅋ
continue와 같은 동작으로 해당 라인이 실행 되면 다음 루프문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형태2같이 정의하게 된다면 ㅇㅇ일때는 해당 루프문을 빠져나가지만 ㄴㄴ이라면 빠져나가지 않습니다.

ㅇㅂㅇ ㅂ:ㄴㄴ
0^10^1 {
	ㅂ::ㅁ_ㅇ>ㅇ5
    :ㅂ_?ㅋㅇㅋ
	ㅆㅁㅆ 패스 :ㅁ_
}<=ㅇㅈㅇ ㅁ

출력
패스 0
패스 1
패스 2
패스 3
패스 4
패스 5

시스템

ㄲㅌㄲ

출시 버전 : 2.1.1
형태 : ㄲㅌㄲ
코드를 강제 종료합니다.

ㄲㅌㄲ

=_=

출시 버전 : 2.1.1
형태 : =_= <정수>
(정수 값 / 1000) 초 만큼 멈추게 합니다.

=_= 1000

(1초 정지)

ㅍㅅㅍ

출시 버전 : 3.0.0
형태 : ㅍㅅㅍ <파일 경로>
파일 경로에 있는 코드를 실행합니다.

test/test2.otl

ㅆㅁㅆ :안녕_

main.otl

ㅇㅁㅇ 안녕:테스트
ㅍㅅㅍ test~test2

출력
테스트

메소드

ㅁㅅㅁ

메소드를 정의합니다.
안정화 버전 : 3.1.2
형태 : ㅁㅅㅁ <메소드명><파라미터> {...}

ㅁㅅㅁ 메소드명[] {
	ㅆㅁㅆ 메소드 출력
}

메소드명[]

출력
메소드 출력
ㅁㅅㅁ 메소드명[ㅇㅁㅇ 파라미터] {
	ㅆㅁㅆ 출력 :파라미터_
}

메소드명[값]

출력
출력 값
ㅇㅁㅇ 파라미터:안녕
ㅁㅅㅁ 메소드명[ㅇㅁㅇ 파라미터] {
	ㅆㅁㅆ :~파라미터_
	ㅆㅁㅆ :파라미터_
}

메소드명[하세요.]

출력
안녕
하세요.

클래스

ㅋㅅㅋ

출시 버전 : 3.2.0
최신 업데이트 버전 : 3.2.0
형태 : ㅋㅅㅋ <클래스명><파라미터> {...}
클래스 안에는 메소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동작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ㅇㅈㅇ 정수:1
ㅋㅅㅋ 클래스명[] {
    ㅇㅈㅇ 정수:2
    ㅆㅁㅆ 클래스 생성됨
    ㅁㅅㅁ 메소드명[] {
        ㅇㅈㅇ 정수:3
        ㅆㅁㅆ :정수_
        ㅆㅁㅆ :~정수_
        ㅆㅁㅆ :~~정수_
    }
}

클래스명[]
클래스명~메소드명[]

출력
클래스 생성됨
3
2
1

기타 정보

개발 환경

  1. Visual Studio Code
    VSCODE Download Link
    OTLanguage Marketplace

  2. Vim
    Vim Download Link

Github 저장소

PersesTitan Github
OTLanguage Github

Github 뱃지

HTML

<img src="https://raw.githubusercontent.com/OTLanguage/.github/main/image/OTLanguage-flat.svg"/>
<img src="https://raw.githubusercontent.com/OTLanguage/.github/main/image/OTLanguage-flat-square.svg"/>
<img src="https://raw.githubusercontent.com/OTLanguage/.github/main/image/OTLANGUAGE-for-the-badge.svg"/>
<img src="https://raw.githubusercontent.com/OTLanguage/.github/main/image/OTLanguage-plastic.svg"/>
<img src="https://raw.githubusercontent.com/OTLanguage/.github/main/image/OTLanguage-social.svg"/>

MarkDown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TLanguage/.github/main/image/OTLanguage-flat.svg)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TLanguage/.github/main/image/OTLanguage-flat-square.svg)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TLanguage/.github/main/image/OTLANGUAGE-for-the-badge.svg)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TLanguage/.github/main/image/OTLanguage-plastic.svg)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TLanguage/.github/main/image/OTLanguage-social.svg)

출력


내용 수정 및 추가 예정
22/11/10 - ver 3.1.1

  • poison 동작 문제 확인
  • 확장자 에러 메세지 표시 문제
  • $ㅅ$ 동작 문제 확인

22/11/14 - ver 3.1.2

  • poison 동작 문제 해결
  • 확장자 에러 메세지 표시 문제 해결
  • $ㅅ$ 동작 문제 확인 해결
  • 메소드 문제 해결
  • 연산 속도 상향과 문법 간편화

22/11/23 - ver 3.2.0

  • install 버전 업
  • ㅇㅁㅇ index 추가
  • ㅇㅁㅇ lastIndex 추가
  • ㅇㅁㅇ subString 추가
  • 숫자 Abs 추가
  • 숫자 Min, Max 추가
  • 클래스 문법 추가
  • LCS (Line Cleanup System) 최적화

22/12/07 - ver x.x.x

  • 윈도우 프로토타입 버전 업로드
profile
안녕하세요 페르세스 티탄입니다! 부족한 부분이 많이 있겠지만 잘부탁드립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