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색으로 표기된 문법은 해당라인의 맨 앞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문법입니다.
프로그램을 작성할때 공백을 제외한 해당 라인의 맨 앞에 있어야 합니다.
(왼쪽/오른쪽)공백 : 필요/불필요
필요: 1개 이상 공백이 있어야합니다.
불필요: 없어도 문제 없고 있어도 문제없다는 뜻입니다.
대치 타입
자바기준으로 대치되는 타입을 말합니다.
변수값 조작
변수값 넣기
[변수명]:[넣을값]
변수값 불러오기
마지막에는 공백을 넣어야 변수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변수명][공백]
옮은 예시) :[변수명]
잘못된 예시) :[변수명]
ㅇㅈㅇ
- 타입 : 정수형
- 문법 : ㅇㅈㅇ [변수명]:[초기값]
- 대치 타입 : Integer
- 왼쪽 공백 : 불필요
- 오른쪽 공백 : 필요
예시
코드)
ㅇㅈㅇ 변수:10
ㅅㅁㅅ :변수
출력)
10
ㅇㅉㅇ
- 타입 : 쩡수형
- 문법 : ㅇㅉㅇ [변수명]:[초기값]
- 대치 타입 : Long
- 왼쪽 공백 : 불필요
- 오른쪽 공백 : 필요
예시
코드)
ㅇㅉㅇ 변수:10
ㅅㅁㅅ :변수
출력)
10
ㅇㅂㅇ
- 타입 : 블린형 (참, 거짓)
- 문법 : ㅇㅂㅇ [변수명]:[초기값]
- 대치 타입 : Boolean
- 왼쪽 공백 : 불필요
- 오른쪽 공백 : 필요
- 기타 : ㅇㅇ(참), ㄴㄴ(거짓)
예시
코드)
ㅇㅂㅇ 변수:ㅇㅇ
ㅅㅁㅅ :변수
출력)
ㅇㅇ
ㅇㅁㅇ
- 타입 : 문자열
- 문법 : ㅇㅁㅇ [변수명]:[초기값]
- 대치 타입 : String
- 왼쪽 공백 : 불필요
- 오른쪽 공백 : 필요
예시
코드)
ㅇㅁㅇ 변수:안녕
ㅅㅁㅅ :변수 하세요
출력)
안녕하세요
ㅇㄱㅇ
- 타입 : 글자형
- 문법 : ㅇㄱㅇ [변수명]:[초기값]
- 대치 타입 : Character
- 왼쪽 공백 : 불필요
- 오른쪽 공백 : 필요
예시
코드)
ㅇㄱㅇ 변수:ㅁ
ㅅㅁㅅ :변수
출력)
ㅁ
ㅇㅅㅇ
- 타입 : 실수형
- 문법 : ㅇㅅㅇ [변수명]:[초기값]
- 대치 타입 : Float
- 왼쪽 공백 : 불필요
- 오른쪽 공백 : 필요
예시
코드)
ㅇㅅㅇ 변수:10.1
ㅅㅁㅅ :변수
출력)
10.1
ㅇㅆㅇ
- 타입 : 씰수형
- 문법 : ㅇㅆㅇ [변수명]:[초기값]
- 대치 타입 : Double
- 왼쪽 공백 : 불필요
- 오른쪽 공백 : 필요
예시
코드)
ㅇㅈㅇ 변수:10.15
ㅅㅁㅅ :변수
출력)
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