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CSS 기초

peter.p·2021년 12월 20일
0

HTML

목록 보기
2/8

제목과 단락태그

  • 제목 태그:
    태그 이름은 heading을 줄여서 h로 쓴다.
    <h1>~<h6>까지 있다.

  • 단락 태그:
    paragraph 를 줄여서 p로 쓴다.
    <p></p>

  • 개행:
    개형을 위해서 쓰이는 태그가 <br> (linebreak를 줄여서 쓴다.)
    닫기 태그와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 빈 태그.

  • bold 태그:
    <b> : 글자를 굵게 표현하는 태그.

  • italic 태그:
    <i> : 글자를 기울여서 표현하는 태그.

  • underline 태그:
    <u> : 글자의 밑줄을 표현하는 태그.

  • strike 태그:
    <s> : 글자의 중간선을 표현하는 태그.


anchor 태그:

  • href 속성:
    링크를 만들어 주는 속성. hypertext reference 속성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href 속성의 값은 URL.
  • target 속성.
    링크된 리소스를 어디에 표시할지를 나타내는 속성.
    속성값으로는 _self, _blank, _parent, _top
    _self는 현재 화면에 표시. target 선언이 없다면 기본적으로 self.
    _blank는 새로운 창에 표시. 외부페이지.
    _parent, _top은 거의 안쓰임.

  • 내부링크
    내부링크를 통해 내부의 특정 요소로 이동. id값을 넣고 연결해주면 된다.

컨테이너 요소:
의미없는 요소를 묶기 위한 태그.
스타일을 주거나 서버에 보내는 데이터를 담기 위한 용도로 이런 의미 없는 요소들이 사용된다.

  • div태그:
    블록 레벨 태그. 기본적으로 한 줄을 생성해서 내용표현.
  • span태그:
    인라인 레벨 태그. 블록 레벨 요소의 한 줄 안에서 표현되는 요소.
    ※p는 블록, b, i, u, s는 인라인.

리스트

  • ul태그:
    unordered list, 순서가 없는 리스트.

  • ol태그:
    ordered list, 순서가 있는 리스트.

  • dl태그:
    definition, description list, 용어와 그에대한 정의를 표현할 때 사용.
    <dl>은 용어와 설명이 하나의 세트로 항목을 이루고 하나 이상의 항목으로 리스트가 이루어지는 구조
    <dt> : 용어를 나타내는 태그
    <dd> : 용어에 대한 정의 또는 설명을 나타내는 태그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ul>
        <li>된장찌개</li>
        <li>미역국</li>
        <li>시래기국</li>
    </ul>

    <ol>
        <li>수학</li>
        <li>과학</li>
        <li>국어</li>
    </ol>

    <dl>
        <dt>설명</dt>
        <dd>무엇을 설명해드릴까요?</dd>
    </dl>
</body>
</html>

<ol>
        <li>수학시험범위</li>
            <ul>
                <li>함수</li>
                <li>미적분</li>
            </ul>
        <li>과학시험범위</li>
            <ul>
                <li>지구과학</li>
                <li>물리</li>
            </ul>
    </ol>

이미지

  • img 태그:
    문서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태그. 닫는 태그가 없다.
  • scr 속성
    이미지 경로를 나타내는 속성.
  • alt 속성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 웹 접근성 측면에서 중요한 속성. src와 더불어 반드시 들어가야하는 속성.
  • width/height 속성
    이미지의 가로/세로 크기를 나타내는 속성.
  • 상대경로와 절대경로
    상대경로는 현재 웹 페이지를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이미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로이고,
    절대경로는 실제 그 이미지가 위치한 곳의 전체 경로입니다.
<!-- 상대경로 -->
<img src="./images/pizza.png" alt="피자">

<!-- 절대경로 -->
<img src="C:/users/document/images/pizza.png" alt="피자">
<img src="http://www.naver.com/pizza.png" alt="피자">
  • 이미지 파일형식
    gif : 제한적인 색을 사용하고 용량이 적으며 투명 이미지와 애니메이션 이미지를 지원하는 형식
    jpg : 사진이나 일반적인 그림에 쓰이며 높은 압축률과 자연스러운 색상 표현을 지원하는 형식(투명을 지원하지 않는다.)
    png : 이미지 손실이 적으며 투명과 반투명을 모두 지원하는 형식
profile
꼭 웹 퍼플리셔가 될거에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