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 - 11주차

Lellow_Mellow·2022년 11월 7일
0

[강의] 전자상거래

목록 보기
7/7
post-thumbnail

🔔 학교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공부를 위해 정리한 글입니다. 혹여나 틀린 부분이 있다면 지적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7. 메타버스 기반 전자상거래

7.1 메타버스 개요

메타버스 개념

메타버스(metaverse)metauniverse의 합성어로 닐 스티븐슨의 SF 소설인 Snow Crash에 최초로 등장하였다.

미국 미래 가속화연구재단의 정의

  • 물리세계와 가상세계가 융합, 교차, 결합하는 공간

세컨드라이프(Second Life)

  • Linden Lab에서 개발
  • 2000년대 중후반 메타버스 서비스로 유행
  • 아바타를 이용하여, 린든 달러라는 독자적 화폐가 존재
  • 컨텐츠부족과 모바일 중심으로의 이동, 기술의 한계로 쇠퇴

최근 메타버스는 5GAR, VR 등의 기술을 바탕으로 여가생활과 경제활동을 하는 가상융합공간이 되었으며, 현실세계의 경제, 사회, 문화 활동과 연결되는 개념이 되었다. 다시 말해 초연결, 초지능, 초실감의 융합으로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무너지는 초세계라 할 수 있다.

이전의 Metaverse 1.0에는 가상현실 게임의 등장으로 제시되었으며, Metaverse 1.5는 AR, VR을 바탕으로 현실과 가상간의 경험 공유가 가능해진 시기이며, 현재의 Metaverse 2.0은 실시간성, 지속성을 가지며 현실과 공존하는 형태가 되었다.

메타버스 유형

미국 미래가속화연구재단에 의해 2가지 차원에 의해 크게 4가지 유형의 메타버스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아래와 같다.

메타버스 특징

다양한 전문가들이 메타버스의 핵심 특징에 대해 정의하였으며 이는 아래와 같다.

Amazon IT-미디어 전문가 Matthew Ball

Roblox의 CEO Dave Baszucki

고선영

김상균

주요 메타버스 플랫폼

현재 메타버스는 크게 플랫폼게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 제페토, 디센트럴랜드, 매쉬 / 로블록스, 마인크래프트, 포트나이트 등으로 예시를 들 수 있다. 앞으로 기반 기술인 5G과 가상화폐의 발달로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7.2 메타버스 비즈니스 모델

메타버스에서 제공 가능한 비즈니스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다양한 서비를 제공할 수 있으며, Dawn Xue는 이를 크게 10개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메타버스 서비스 10가지

1. NFT 예술작품 판매

  • 갤러리는 가장 보편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며, NFT와 예술작품의 긴밀한 연관성 때문

2. VOX 판매

  • 갈라게임즈 타운스타를 기반으로 만든 최초의 아바타로 NFT 캐릭터인 VOX 판매

3. 건설업

  • 메타버스 토지를 소유한 조직이 본사 건물을 건설하기 위해 전문팀 고용, 메타에스테이트나 복셀아키텍츠와 같은 건설 서비스 등장

4. 광고

  • 가장 인기 있는 수익 창출 방법으로, 가상공간에 옥외 배너광고 등 다양한 방법으로 광고 가능

5. 필지(parcel) 임대

  • 부동산처럼 디지털 필지를 매매 혹은 임대

6. 몰입감 제공

  • 실사에 가까운 디자인과 3D 기기들을 바탕으로 몰입감 있는 경험이 가능

7. 게임 제공

  • 가상성으로 쉽게 통합되며, 포트나이트, 로블록스와 같이 메타버스 플랫폼의 한 축임
  • 아이템 자체가 NFT이기 때문에 NFT에 투자하여 동시에 게임을 즈릴 수 있음

8. 의류 판매

  • 꾸준히 온라인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판매 방식도 진화하고 있음
  • Gucci는 Wanna와 기술 제휴를 통해 AR 스니커즈 피팅 서비스인 AR 트라이온 기능을 도입

9. 온라인 노래방

  • 지인들뿐 아니라 전 세계 누구라도 만나 함께 노래를 부르는 것이 가능

10. 데이터 서비스

  • 거래가 발생하는 모든 분야에 대한 데이터를 지원하기를 원하는 수요가 존재
  • 이에 대응하여 전문 데이터 분석 제공업체의 부상

메타버스 서비스 수익 모델

메타버스 서비스는 게임과 SNS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크게 4가지로 나뉜다.

메타커머스 유형

메타커머스(metacommerce)는 가상공간에서 제품, 서비스를 체험 및 구매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를 의미하며, Enture 컨설팅이라고도 한다.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실재감 있는 가상 쇼핑 경험을 제공하며, 이는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다.

4가지 유형

1. 기존 메타버스 플랫폼 안에서 브랜드 체험공간을 제공

  •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제품을 소개하고 오프라인 방문 유도가 가능함

2. 기존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유형

  • MZ세대를 대상으로 상품 접근성 강화를 목적으로 둠

3. 브랜드 체험을 위한 가상공간을 자체 구축하는 경우

  • 익숙한 오프라인 기반 콘텐츠를 제공하여 경계를 완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흥미 유발로 방문 유도

4. 자체 구축한 가상체험을 통한 구매 지원을 제공하는 경우

  • 실제 착용의 어려움을 해결하며, 제품에 대한 편리한 접근과 체험을 제공하여 고객 구매 경험을 높임

7.3 메타버스 전자상거래

Gucci

  • 로블록스와 구찌 가든 아키타이프라는 가상 전시회 진행, 한정판 아이템 판매
  • 제페토와 제휴하여 구찌 빌라 마련, 브랜드 홍보 전용공간 구축
  • 와일드라이프 스튜디오와 제휴하여 캐릭터 의상 출시

Louis Vuitton

  • 라이엇 게임즈와 캐릭터 의류, 신발 등 한정판 아이템 제작, 출시하여 1시간만에 매진

NIKE

  • 제페토와 제휴하여 패션 아이템 출시
  • 에픽게임즈의 포트나이트와 협력하여 아바타 신발 아이템 출시
  • 로블록스와 협업해 나이키랜드 구축, 아이템 출시

YG / Big Hit

  • 제페토에 소속 연예인에 특화된 가상공간을 만들도 아바타 배치하여 사인회, 공연 이벤트 진행

LG

  • 동물의 숲 게임 공간에 TV 소개와 이벤트를 개최하는 올레드 섬 마련

DIA TV

  • 제페토와 제퓨를 맺어 유튜버의 제페토 진출과 인플루언서의 유튜브 진출 상호 협력 추진

순천향대학교

  • 점프VR에 본교 대운동장을 구현하여 아바타로 입학식 진행

한국관광공사

  • 제페토에 익선동, 한강공원 등 관광지 가상공간을 만들고 홍보 이벤트 진행

8. 전자상거래 구축

8.1 쇼핑몰 구축 절차

웹사이트 개발 절차는 형태와 사이트의 성격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며 일반적으로는 비슷한 절차를 통해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RFI

  • Request Fot Information

RFP와 개발계약

제안요청서(Request for Proposal)

  • 클라이언트가 개발사에게 제공, 희망하는 개략적인 요구사항을 전달
  •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 추진 일정, 예산, 평가기준 등 정확한 명시가 필요
  • 제안서 품질 향상과 개발시간 의견 충돌 방지 가능
  • RFQ(Request For Quotation, 견적 요청서)를 같이 전달하기도 함

제안서(Proposal)

  • RFP를 참고하여 제안서를 작성, 개발범위와 내용, 인력투입계획, 일정 계획을 포함
  • 사이트의 방향성과 주요 컨셉, 개발과정, 견적서등의 내용도 포함

개발사 선정 및 개발계약서 작성

  • 제안서의 평가와 검토작업 후 의사결정
  • 업체 선정 이후 개발계약서 체결하며, 금액과 범위, 하자보수, 납기 관련 조항을 포함
  • 개발범위와 인력투입계획, 예산소요 계획또한 포함

사이트 전략 및 컨셉 설정

전체 개발 프로세스 중 가장 중요한 단계로, 전략과 컨셉, 목표와 마케팅, 이벤트, 홍보 전략, 운영 전략 등 명확한 정의가 필요한 단계이다.

profile
festina lenta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