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v. 2 - 튜플
문제 링크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4065
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tuple)이라고 합니다.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튜플(n-tuple)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a1, a2, a3, ..., an)이 주어질 때(단, a1, a2, ..., an은 자연수),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 '}'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튜플이 (2, 1, 3, 4)인 경우 이는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
는 모두 같은 튜플 (2, 1, 3, 4)를 나타냅니다.
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주어진 집합은 원소가 1개인 것부터 n
개까지 모든 경우가 담겨있습니다.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기 때문에, 길이 순으로 정렬되지 않으며, 각 원소들도 튜플의 순서에 따라 배열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문자열을 배열 형태로 변경한 후, 길이를 기준으로 정렬하고 새롭게 추가된 원소를 순서대로 찾아 배열에 저장하는 것으로 결과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이기 때문에 가능한 방식입니다.
function solution(s) {
let answer = [];
const tuple = s.slice(2, s.length - 2).split("},{").map((v) => v.split(','));
tuple.sort((a, b) => a.length - b.length);
tuple.forEach((array) => {
array.forEach((v) => {
if(!answer.includes(Number(v))) answer.push(Number(v));
})
});
return answer;
}
주어진 문자열을 배열로 표현하는 것은 JSON.parse
를 이용해서 더 간단하게 해결이 가능합니다. 또한 set
을 이용하여 풀이할 수 있습니다.
function solution(s) {
let tuple = JSON.parse(s.replace(/\{/g, '[').replace(/\}/g, ']'));
tuple.sort((a, b) => a.length - b.length);
const array = tuple.reduce((s, v) => s.concat(v), []);
return [...new Set(arr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