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v. 2 - 피로도
문제 링크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7946
XX게임에는 피로도 시스템(0 이상의 정수로 표현합니다)이 있으며, 일정 피로도를 사용해서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각 던전마다 탐험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필요 피로도"와 던전 탐험을 마쳤을 때 소모되는 "소모 피로도"가 있습니다. "최소 필요 피로도"는 해당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 가지고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피로도를 나타내며, "소모 피로도"는 던전을 탐험한 후 소모되는 피로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최소 필요 피로도"가 80, "소모 피로도"가 20인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서는 유저의 현재 남은 피로도는 80 이상 이어야 하며, 던전을 탐험한 후에는 피로도 20이 소모됩니다.
이 게임에는 하루에 한 번씩 탐험할 수 있는 던전이 여러개 있는데, 한 유저가 오늘 이 던전들을 최대한 많이 탐험하려 합니다. 유저의 현재 피로도 k와 각 던전별 "최소 필요 피로도", "소모 피로도"가 담긴 2차원 배열 dungeons 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유저가 탐험할수 있는 최대 던전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필요 피로도
만을 기준으로 하여 정렬하여 풀이하면, 소모 피로도
에 따라 결과값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어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완전탐색을 위해 DFS
를 활용하였습니다.
우선, 탐함한 던전의 최대값을 저장할 result
변수를 선언합니다. 그리고, 각 던전의 탐험 여부를 저장할 visited
배열을 선언하여 false
로 초기화합니다. 이후, DFS
를 진행합니다.
현재 탐함할 던전이 이전에 방문한 적이 없고, 남은 피로도로 탐험할 수 있다면, 해당 던전의 방문 여부를 true
로 변경한 후, 해당 던전부터 DFS
를 다시 시작합니다.
그리고 매번 이제까지 방문한 던전의 개수를 result
와 비교하여, 더 클 경우에는 result
의 값을 변경해줍니다. 이를 바탕으로 작성한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function solution(k, dungeons) {
let result = -1;
let visited = new Array(dungeons.length).fill(false);
function DFS(energy, counter) {
dungeons.forEach((v, i) => {
if(!visited[i] && energy >= v[0]) {
visited[i] = true;
DFS(energy - v[1], counter + 1);
visited[i] = false;
}
});
result = Math.max(result, counter);
}
DFS(k, 0);
return resul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