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정하는 이유: OS에서 생성하는 파일, Log 파일등 관리 할 필요가 없는 파일이 많음.
-> 프로젝트와 관련된 모든 파일
git은 vim 이라는 에딕터를 commit/diff 할 때 자동으로 설정이 되있음
vim .gitignore
위 명령어를 사용해서 .gitignore라는 파일을 vim을 통해 편집한다.
vim창으로 들어온 화면 :
vim (cheat sheet) 같은 경우 windows/linux에서도 편집기로 많이 사용하는 만큼 활용도가 높음
a : 다음글자
i : 현재 커서
o : 윗줄
창 아래 보면 --INSERT-- 라고 입력모드 임을 확인 할수 있음
ESC: 입력모드 나가기
:wq : 저장후 나가기
ESC 누른 상황 :
창 아래 --INSERT-- > 공백 으로 변경
:wq > enter 클릭
cat :
방금전 만든 .gitignore 파일이 잘 만들어진것을 확인 완료
DS_Store, log, iml 등 확장자를 가진 파일 & temp 경로에 있는 파일들을 포함하지 않게다는 의미
touch:
. 으로 시작하는 파일들은 ls로 조회가 안됨으로 ls -al 사용
echo "test" > test.html
echo 라는 명령어는 뒤에있는 파라미터로 test.html 파일을 리다이력션을 시켜 파일을 생성
git ignore 파일을 설정 했기 때문에 status에 .DS_Store 파일은 성공적으로 생략이 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