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컨테이너는 자바 객체의 생명 주기를 관리하며, 생성된 자바 객체들에게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말하는 자바 객체를 스프링에서는 빈(Bean)이라고 부릅니다.
개발자는 객체를 생성하고 소멸할 수 있는데, 스프링 컨테이너가 이 역할을 대신해 줍니다. 즉, 제어의 흐름을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이다.또한, 객체들 간의 의존 관계를 스프링 컨테이너가 런타임 과정에서 알아서 만들어 준다.
스프링은 실행시 객체들을 담고있는 Container가 있다.
생성자에 @Autowired가 있으면 스프링이 연관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찾아서 넣어준다. 이렇게 객체 의존관계를 외부에서 넣어주는 것을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이라 한다.
개발자가 직접 주입하는 형식이라면, @Autowired에 의해서 스프링이 주입해준다.
단일 생성자에 한해 @Autowired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제어역전(IoC, Inversion of Control)
개발자가 프레임워크의 기능을 호출하는 형태가 아니라 프레임워크가 개발자의 코드를 호출하기 때문에, 개발자는 전체를 직접 구현하지 않고 자신의 코드를 부분적으로 "끼워넣기" 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는 개발자로 하여금 구현하고자 하는 특정 분야의 기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워크가 객체의 생성, 소멸과 같은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며 스프링으로부터 필요한 객체를 얻어올 수도 있다.
객체의 의존성을 역전시켜 객체 간에 결합도를 줄이고 유연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하여 가독성 및 코드 중복, 유지보수를 편하게 할 수 있게 한다.
Plain Old java Object, 단순한 자바 오브젝트
POJO란, 객체 지향적인 원리에 충실하면서 환경과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재활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 오브젝트를 말한다.
이러한 POJO에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로직과 기능을 담아 설계하고 개발하는 방법을 POJO프로그래밍 이라고 할 수 있다.
JPA는 기존의 반복 코드는 물론이고, 기본적인 SQL도 JPA가 직접 만들어서 실행해준다.
JPA를 사용하면, SQL과 데이터 중심의 설계에서 객체 중심의 설계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다.
JPA를 사용하면 개발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클린코드로 유명한 로버트 마틴이 좋은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을 정리
SRP :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 하나의 책임이라는 것은 모호하다.
-> 클 수 있고, 작을 수 있다
-> 문맥과 상황에 따라 다르다.
-> 중요한 기준은 변경이다. 변경이 있을 때 파급효과가 적으면 단일 책임 원칙을 잘 따르는 것
OCP : 개방-폐쇄 원칙(Open/Closed Principle)
-> 확장에는 열려있고, 수정, 변경에는 닫혀있다.
LSP : 리스코프 치환 원칙(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
-> 다형성에서 하위 클래스는 인터페이스 규약을 다 지켜야 한다는 것, 다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원칙,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를 믿고 사용하려면, 이 원칙이 필요하다.
-> 단순히 컴파일에 성공하는 것을 넘어서는 이야기
ISP :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 여러 개가 범용 인터페이스 하나보다 낫다
-> 자동차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를 분리하면, 서로 수정이 되더라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인터페이스가 명확해지고, 대체 가능성이 높아진다.
DIP : 의존관계 역전 원칙(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 프로그래머는 "추상화에 의존해야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
-> 쉽게 이야기해서 구현 클래스에 의존하지 말고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라는 뜻
-> 구현체에 의존하면 변경이 아주 어려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