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차-JavaScript

코린이·2022년 4월 5일
0

엘리스 AI 트랙

목록 보기
2/7

📝JavaScript 기초

💡 JavaScript란?

-이미지 슬라이드 효과, 팝업 효과 등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여 동적인 웹사이트를 제작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 변수란?

데이터를 담는 공간, 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

var name;
name = "jack"
var name = "jack";

var 변수명 와 같이 데이터를 담을 공간을 생성하는 것을 변수 선언이라고 한다.
변수명 = "데이터" 와 같이 생성된 변수에 값을 전달하는 것을 변수 초기화라고 한다.

👉 변수명 주의 사항
✔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
✔ 최대한 자세히 작성
✔ 의미가 불명확한 단어들의 조합은 피해야함.

1.JavaScript 데이터 타입

✔ 데이터 타입

String : 문자열
Number : 숫자
Function : 함수

var fruit = function(first,second) {
	console.log(first,second)
}
function fruit(first,second){
  console.log(first,second)
}

Array : 배열
Object : 객체

//객체 데이터
var student = {
	name : "jenny",
    age : 25,
    school : "학교"
    skills : ["java","css","python"]
    }
// 객체 데이터 출력
    console.log(student.name);
    console.log(student['name']);
// 객체 데이터 변경
student.name = "Lisa"

객체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은 객체명.프로퍼티명 or 객체명["프로퍼티명"]
객체 데이터 변경 방법 객체명.프로퍼티명 = "데이터"

Boolean : 불린 (참, 거짓)
undefined : 데이터가 없는 상태, 아직 입력 x
null : 널값, 빈 데이터 지정

2.JavaScript 프로퍼티와 메서드

✔ 다양한 함수

변수명.length : 문자열 길이, 배열의 데이터 개수 구하는 함수
string.charAt(숫자) : index값에 해당하는 문자 하나 반환
string.split(separator,limit) : 문자열을 지정한 구분자로 잘라서 분할후 배열로 반환
limit는 선택 사항으로 지정하지 않으면 전체를 분할한다.

배열.push("데이터") : 배열 맨 뒤에 데이터 삽입
배열.unshift("데이터") : 배열 맨 앞에 데이터 삽입
배열.pop() : 배열 맨 뒤의 데이터 제거
배열.shift() : 배열 맨 앞에 데이터 제거

Math.abs(x) : x의 절대값 반환
Math.ceil(x) : x의 올림값 반환
Math.floor(x) : x의 내림값 반환
Math.random() : 0이상 1미만의 랜덤값 출력
Math.pow(x,y) : x의 y제곱값을 반환
Math.min(1,2,3...) : 가장 작은 값 반환
Math.max(1,2,3...) : 가장 큰 값 반환
Math.round(x) : x의 반올림한 수 반환

parseInt(string) : 문자열을 정수를 반환, 첫 글자를 정수로 변경할 수 없을시 NaN값을 리턴
parseFloat() : 문자열을 실수 형태로 변환
+"문자열" : 문자열 앞에 (+) 연산자를 붙여주면 문자열을 숫자타입으로 변환할 수 있다. "문자열" *1 또한 숫자로 변환


📝JavaScript 기초 문법 활용

1.연산자

✔ 산술 연산자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열도 산술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다.
+: 덧셈
-: 뺄셈
* : 곱셈
/ : 나눗셈
% : 나머지

✔ 증감 연산자

변수++ : 변수 출력 후 변수 + 1
변수-- : 변수 출력 후 변수 -1
++변수 : 변수 + 1 후 출력
--변수 : 변수 -1 후 출력

✔ 비교 연산자

true,false 반환
== : 값이 같다.
=== : 데이터 타입과 값이 같다.
!== : 값이 같지 않다.
>,<,>=,'<=

✔ 논리 연산자

&& : and 연산자 , 둘다 참인 경우에만 true 반환
||: or 연산자, 하나만 참이어도 true 반환


2.조건문

✔ if문

if(조건){
  수행할 명령
}
else if(조건) {
  수행할 명령
}
else {
  수행할 명령
}

3.반복문

✔ for문

for(초기화한 변수값; 조건; 증감표시){
	수행할 명령
}

for (var i = 0; i<5; i++){
  	console.log(i)
}

✔ while문

while(조건){
  수행할 명령
}

i = 0;
while (i <10){
  console.log(i);
  i++;
}

✔ do~while문

무조건 한번은 실행! do{ } 부분을 무조건 실행 후 while 조건 판별

do{ 수행할 명령 }while(조건);

var i = 5;

do {
  console.log(i)
  i++;
} while(i<10);
profile
초보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