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받은 문자열의 원소를 하나씩 빼서 새로운 문자열에 저장하다가 주어진 영단어를 포함하게 되는 시점(ex. 첫번째 : 1 , 두번째 : 17 , 세번째 17o , 네번째 : 17on , 다섯번째 : 17one일때 다섯번째)에 매칭된 영단어의 크기만큼 뒷자리를 제거하고 해당하는 숫자를 더해주면 되지 않을까 싶다. 정리해보자면
String
형태의 temp
를 만든다.s
의 원소들을 하나씩 빼서 temp
에 저장한다.temp
가 영단어를 포함하는 순간 해당하는 영문자의 크기만큼 이전 글자들을 삭제하고레고레고
어찌저찌 돌아가서 테스트도 통과하긴하는데 정말 마음에 안들고 비효율적인 코드다. 이걸 하나하나 조건문으로 만드는건 테스트를 푸는 의미도 없고 뭔가 다른 방법이 있을 것 이다. 구글을 좀 찾아보자.
source : https://kotlinlang.org/api/latest/jvm/stdlib/kotlin.text/replace.html
문자열을 치환해주는 replace
라는 메소드가 있었다...! 이걸 사용하면 아주 간단해질 것 같은 예감...!
레고레고
이정도는 되어야 좀 맘에든다 ㅋㅋㅋㅋ 휴 너무 쓸데없이 시간 낭비를 많이 한 것 같다. 테스트도 해보자.
테스트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