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ipt> </script> 내에 작성예) 1부터 10까지 출력하는 프로그램
function printNumber(count) {
for (var i = 1; i <= count; i++) {
console.log(i);
}
}
printNumber(10);
()), 세미콜론(;), 중괄호({}), 플러스 기호(+)| 예제 | |
|---|---|
| 6variable | (❌)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 |
| student_ID | (⭕️) |
| _CODE | (⭕️) |
| if | (❌) 예약어는 사용 불가 |
| %calc | (❌) % 사용 불가 |
| bar, Bar | (⭕️) bar와 Bar는 서로 다른 식별자 |
세미콜론(;)으로 문장과 문장을 구분
한 줄에 한 문장만 있는 경우, 세미콜론은 생략 가능
| 예제 | |
|---|---|
| i = i + 1 | (⭕️) 한 줄에 한 문장만 있는 경우 생략 |
| j = j + 1; | (⭕️) 문장 끝에 세미콜론 사용 |
| k = k + 1; m = m + 1; | (⭕️) 한 줄에 여러 문장 |
| n = n + 1 p = p + 1 | (❌) 첫 번째 문장 끝에 세미콜론 필요 |
// 1부터 10까지 숫자를 출력
printNumber(10);/*
1부터 10까지
숫자를 출력
*/5;반드시 따옴표로 묶여 있음
'안녕하세요. 저는 문자열입니다.';
// 참(true) 또는 거짓(false)이 될 수 있는 값
true;// var 변수 이름;
var score;
var year, month, day;
age = 21; // var 없이 변수 age 선언
// let 변수 이름;
// const 변수 이름;
let score;
const year, month, day; // const는 선언하는 순간 값을 초기화해야 함, 실행X
| 키워드 | 설명 |
|---|---|
| var | 이미 존재하는 변수와 같은 이름으로 변수 선언 시, 에러 발생하지 않음 변수 선언 전에 변수 사용 시, 에러 발생하지 않음 변수 생성 시, 초기값을 설정하지 않아도 됨 변수 값 재할당 가능 |
| let | 이미 존재하는 변수와 같은 이름으로 변수 선언 시, 에러 발생 변수 선언 전에 변수 사용 시, 에러 발생 변수 생성 시, 초기값을 설정하지 않아도 됨 변수 값 재할당 가능 |
| const | 이미 존재하는 변수와 같은 이름으로 변수 선언 시, 에러 발생 변수 선언 전에 변수 사용 시, 에러 발생 변수 생성 시, 반드시 초기값 설정 변수 값 재할당 불가능 |
age = 5;
var age;
console.log(age);
5
let age = 5;
let phone;
phone = 1234;
console.log(age);
console.log(phone);
5
1234
변수 호이스팅 불가능
age = 5;
let age;
console.log(age);
실행 결과
Uncaught ReferenceError: Cannot access 'age' before
initialization
// 'age'를 초기화하기 전에 접근할 수 없음
if문 내에서 var로 선언한 변수는 접근 가능(함수가 아니기 때문), 유리상자처럼 안이 보임
if(true) {
var age = 5;
}
console.log(age);
실행 결과
5
함수 내에서 var로 선언한 변수는 해당 함수 내에서만 접근 가능, 종이상자처럼 안이 보이지 않음
function person(){
var age = 5;
}
console.log(age);
실행 결과
Uncaught ReferenceError: age is not defined
// age가 정의되지 않음
let, const로 선언한 변수
if(true) {
let age = 5;
}
console.log(age);
실행 결과
Uncaught ReferenceError: age is not defined
// age가 정의되지 않음
var 나이 = 12; // 나이라는 변수를 생성과 동시에 초기화
이미 ‘나이’라는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var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음
나이 = 13;
⇠ 13
var score // 정상적인 변수 선언
int score // 에러, 변수 타입을 사용하지 않음
score = 66; // 정수 저장 가능
score = 'high' // 문자열 저장 가능


| 연산자 | 내용 |
|---|---|
| ++a | a를 1 증가한 후, a 값 사용 |
| —a | a를 1 감소한 후, a 값 사용 |
| a++ | a를 사용한 후, a 값 1 증가 |
| a— | a를 사용한 후, a 값 1 감소 |
| 연산자 | 내용 |
|---|---|
| a = b | b 값을 a에 대입 |
| a += b | a = a + b와 동일 |
| a -= b | a = a - b와 동일 |
| a *= b | a = a * b와 동일 |
| a /= b | a = a / b와 동일 |
| a %= b | a = a % b와 동일 |
var 점수 = 10;
점수 += 7; // 점수 = 점수 + 7
⇠ 17
점수 -= 3;
⇠ 14
| 연산자 | 값 |
|---|---|
| && | AND |
| || | OR |
| ! | NOT |
| A | B | A && B |
|---|---|---|
| 참 | 참 | 참 |
| 참 | 거짓 | 거짓 |
| 거짓 | 거짓 | 거짓 |
| 거짓 | 참 | 거짓 |
var 샤워하기 = true;
var 가방챙기기 = false;
샤워하기 && 가방챙기기;
⇠ false
var 샤워하기 = true;
var 가방챙기기 = true;
샤워하기 && 가방챙기기;
⇠ true
| A | B | A |
|---|---|---|
| 참 | 참 | 참 |
| 참 | 거짓 | 참 |
| 거짓 | 거짓 | 거짓 |
| 거짓 | 참 | 참 |
var 사과챙기기 = true;
var 오렌지챙기기 = false;
사과챙기기 || 오렌지챙기기;
⇠ true
| A | !A |
|---|---|
| 참 | 거짓 |
| 거짓 | 참 |
var 주말인가요 = true;
var 샤워해야하나요 = !주말인가요;
샤워해야하나요;
⇠ false
&& > ||
var 주말인가요 = false;
var 샤워하기 = true;
var 사과챙기기 = false;
var 오렌지챙기기 = true;
var 나가야하나요 = !주말인가요 && 샤워하기 && (사과챙기기 || 오렌지챙기기);
나가야하나요;
⇠ true
| 연산자 | 내용 |
|---|---|
| a < b | a가 b보다 작으면 true |
| a > b | a가 b보다 크면 true |
| a ≤ b | a가 b보다 작거나 같으면 true |
| a ≥ b | a가 b보다 크거나 같으면 true |
| a == b | a가 b와 같으면 true |
| a ≠ b | a가 b와 같지 않으면 true |
var 키 = 165;
var 키제한 = 150;
키 > 키제한;
⇠ true
var 키 = 150;
var 키제한 = 150;
키 > 키제한;
⇠ false
var 키 = 150;
var 키제한 = 150;
키 >= 키제한;
⇠ true
var 키 = 150;
var 키제한 = 120;
키 < 키제한;
⇠ false
var 키 = 120;
var 키제한 = 120;
키 <= 키제한;
⇠ true
두 값이 완전히 같습니까? 라는 뜻
등호 한 개(=)는 변수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에 저장하라는 뜻
var 비밀숫자 = 5;
var 아이언맨추측 = 3;
비밀숫자 === 아이언맨추측;
⇠ false
var 헐크추측 = 7;
비밀숫자 === 헐크추측;
⇠ false
var 토르추측 = 5;
비밀숫자 === 토르추측;
⇠ true
이중 등호(==) 사용
var 문자열숫자 = "5";
var 진짜숫자 = 5;
문자열숫자 === 진짜숫자;
⇠ false
// 원본 데이터의 타입까지 생각해서 비교(엄격하게 비교)
문자열숫자 == 진짜숫자;
⇠ true
조건 ? 참일_때의_결과 : 거짓일_때의_결과
var x = 5;
var y = 3;
var big = (x > y) ? x : y;
big;
⇠ 5
문자열 앞뒤로 따옴표를(”, ‘) 붙임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var 숫자아홉 = 9;
var 문자열아홉 = "9";var 나이 = 5; // 숫자 저장
나이 = "다섯살"; // 문자열 저장사전에서 뒤에 나오는 문자열이 크다고 판단
var name = "kitae";
var res1 = (name == "kitae"); // res1 = true
var res2 = (name > "park"); // res2 = false
var 인사 = "안녕하세요.";
var 내이름 = "정수아";
인사 + 내이름;
⇠ "안녕하세요.정수아"
var 인사 = "안녕하세요.";
인사.concat("정수아입니다.");
⇠ "안녕하세요.정수아입니다."
var 인사 = "안녕하세요. ";
var 내이름 = "정수아";
인사 + 내이름;
⇠ "안녕하세요. 정수아"
문자열의 앞 뒤 공백을 제거
예시
var name = " sooa ";
name = name.trim();
⇠ 'sooa'
"동해물과백두산이마르고닳도록".length;
⇠ 14
var 자바 = "자바";
자바.length;
⇠ 2
var 스크립트 = "스크립트";
스크립트.length;
⇠ 4
var 자바스크립트 = 자바 + 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length;
⇠ 6
var 인사 = "안녕하세요";
인사[0];
⇠ "안"
charAt(n) 함수
var 인사 = "안녕하세요.";
인사.charAt(0); // 안
인사.charAt(1); // 녕
인사.charAt(2); // 하
인사.charAt(3); // 세
인사.charAt(4); // 요
인사.charAt(5); // .
slice(a, b) 함수
| 매개변수 | 설명 |
|---|---|
| 첫 번째 매개변수(a) | 잘라내기가 시작되는 부분의 인덱스 |
| 두 번째 매개변수(b) | 잘라내기가 끝나는 글자의 바로 다음 인덱스 |
문자열에서 2번 글자부터 5번 글자 전까지 잘라내기

replace() 함수
replace(찾을 문자열, 변경할 문자열)
var every = "Boys and Girls";
var replace = every.replace("and", "or");
replace;
⇠ "Boys or Girls"
빈 칸을 기준으로 every 문자열을 "Boys", "and", "Girls"로 분할
var every = "Boys and Girls";
var sub = every.split(" ");
결과
sub[0]
⇠ "Boys"
sub[1]
⇠ "and"
sub[2]
⇠ "Girls"
영어로 된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변경
숫자나 한글에는 적용 안 됨
예시
"Hello there, how are you doing?".toUpperCase();
⇠ "HELLO THERE, HOW ARE YOU DOING?"
영어로 된 모든 글자를 소문자로 변경
예시
"hELlo THERE, How ARE yOu doINg?".toLowerCase();
⇠ "hello there, how are you doing?"